선정 아티클
개인 요약
김민준
김태혁
이상혁
정지은
현지수
성연서
김상규
[주제]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과 데이터 분석 과정
•
데이터의 정의
•
데이터 분석의 정의
•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
•
데이터 분석 과정
•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술
[아티클 요약]
-정성적 데이터: 숫자가 아닌 데이터,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오디오 등
-정량적 데이터: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
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해결책과 전략을 세울 수 있다.
① 명확한 목표 설정
•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하는 이유 생각 (문제 상황 설정)
② 원시 데이터 수집
•
인구통계적 정보나 리뷰 등의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
③ 데이터 정제
•
데이터 분석가가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는 단계
•
데이터 구조 이해, 누락 데이터 확인 등
•
관련이 없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하면 데이터 분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짐
④ 데이터 분석
•
기술적 분석 / 진단적 분석 / 예측 분석 / 처방적 분석
⑤ 결과 공유
•
데이터 시각화 (표, 그래프, 지도 등)
•
데이터를 취합하고 그 안에서 의미 있는 이야기를 도출해 결과 제시
[인사이트]
전체적인 데이터 분석 과정을 짚을 수 있는 기사였습니다. 데이터 분석이 왜 필요한지 다시 한 번 되새기고, 구체적으로 어떤 순서를 통해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는지 파악하였습니다. 데이터 분석가가 ‘데이터 정제’ 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들인다고 하는데, 이 부분을 위해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나 관련 지식을 제대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깔끔한 시각화를 위해 Tableau에 대한 공부도 추가적으로 하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성연서
팀원 전체의 인사이트
[공통 인사이트]
팀원 한명한명의 인사이트를 요약해보았을때 공통된 인사이트, 모두가 공감하는 인사이트를 짧게 요약해주세요.
데이터의 중요성과 데이터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그리고 데이터 분석가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지를 이해하게 됐고, 어떤 지식을 갖춰야 하는지 파악하여 공부해야 하는 분야를 알게 되었다.
[의미 있었던 의견]
생각해보지 못했으나 팀원의 의견으로 인해 알게된 의견 혹은 다른 생각에 대한 부분을 요약해주세요.
•
최종적인 결론을 내기 위해 이야기를 잘 엮어야 한다는 것과 어느 도메인을 선택해야 할 지 고민해봐야 한다는 생각을 새롭게 하게 되었다.
•
데이터 정제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련 지식의 필요성도 새롭게 알게 되었고, 부족한 통계학 지식과 도구 활용 능력을 키워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