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이 최종
[주요 업무]
1.
상품 판매기획 및 프로모션 관리
-가공식품 기획 및 개발
-시장 트렌드 및 경쟁사 분석
2.
매출관리
-판매 채널 운영 관리(스마트 스토어, 쿠팡 등 이커머스)
-채널별 판매 동향 파악
[앞으로의 목표]
수업을 통해서 실무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면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을 향상시켜서 기획 및 판매 계획을 수립할 때 정보처리 및 활용 능력의 활용이 원활히 되었으면 한다.
이진우 최종
희망 직무: AE, 퍼포먼스 마케터
지원동기: 1.다양한 브랜드를 접해볼 수 있는 기회
2. 현재 마케팅 트렌드에 맞는 직무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함
주요 업무: 광고 운영(네이버,메타,구글 등등)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SNS, 검색 광고, VA)
리포팅(일,월별 보고서 작성)
브랜드 전략(브랜딩 등등)
직무 역량: 1. 커뮤니케이션 역량(클라이언트 및 팀원)
2. 데이터 분석 역량(인사이트 도출의 근거)
3. 매체 운영(SA,DA)
새롭게 알게 된 점: 퍼포먼스마케터가 가져야 할 데이터 분석 역량 범위
캠프를 통해 발전시키고 싶은 부분:
1.
커뮤니케이션 역량- 다양한 생각을 가진 참가자분들과 적극적으로 의견 교류를 하면서 같이 목표를 해결해보는 경험을 좀 더 늘리자.
2.
강점 분석- 그 과정에서 내가 가진 강점이 뭔지 더 분석해보자.(나에 대한 이해도)
3.
데이터 분석 역량- 다양한 툴 활용 능력을 길러내서 실무에서도 응용할 수 있을 정도의 역량을 갖춰 보자.
4.
매체 운영, 광고 집행(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실 집행 경험을 늘려보고, 실무적 역량을 갖춰내고 싶다.)
직무 역랑: 1. 시장에 대한 이해도, 트렌드 파악(데이터가 있더라도 그것을 분석해 낼 수 있는 시각이 필요)
2. 툴 사용 능력
3. 실무 투입 가능한 인재상(포트폴리오 보강 및 실무 능력)
발전 희망 부분:
1.
실 집행 과정을 거치고 싶다.
//김승인//
희망 직무: 일반 마케터, AE(자영업 컨설팅 중심)
알아 가는 중..
이유: 최종적인 목표가 유통이기 때문
유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설명에 설득력을 더하고 싶다( 데이터 분석 등등)
—> 하고 싶은 자영업 컨설턴트 채용 정보를 컨설턴트 주요업무와 필요 역량으로 정리했음
—> 마케터와의 공통적인 역량을 비교해봄
—> 찾아보았을 때 큰 회사를 맡는 것이 아닌데도 ‘컨설턴트’라는건 마케팅, 인사, 재무, 회계 등 전부를 해야하는 직업.
1.
사람들과의 소통 / 전문가와 비전문가와의 차이점 파악을 통해 필요 역량 강화
2.
데이터를 보는 능력
3.
콘텐츠 마케터와의 협업 방법
4.
기획 능력
5.
현장 실무에 대한 가상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