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정리
① 직무에 대한 이해도
퍼포먼스 마케터의 정의와 주요 역할, 필요한 도구 및 역량을 명확히 정리하여 직무 자체에 대한 이해도 전달은 충분히 이뤄졌습니다.
특히 성과지표(ROAS, CPA 등)나 실제 활용 툴(Google Ads, GA 등)에 대한 언급이 실무 중심의 관점을 잘 보여줬습니다.
⇒ 제안: 산업별 퍼포먼스 마케터의 차이(예: 게임 vs 이커머스 등)나 채용공고 기반 역할 정리가 더해졌다면 현실감 있는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상품 중심보다는 "고객 행동 데이터 기반 분석" 측면이 조금 더 부각되면 좋겠습니다.
② 자료 구성/논리 구조
1~5단계의 구조적 목차 구성(정의 → 업무 → 역량 → 프로세스 → 소감)이 발표 흐름을 명확히 했고, 시각적 배치도 깔끔했습니다.
핵심 메시지가 각 장마다 분명히 드러났습니다. 예: "성과 중심의 광고 운영", "BI툴 기반 인사이트 도출"
⇒ 제안: 일부 발표 자료는 텍스트 중심으로 되어 있어 시각적 강조 요소(아이콘, 예시 도식, 흐름도 등)를 보완하면 청중의 이해도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발표 장표에 준비되지 않은 내용을 지나치게 길게 발표하는 부분을 보완주면 앞으로 매우 좋은 PT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③ 자료에 대한 견해
실무 직무에 대한 전반적 조사와 정리는 우수했습니다.
튜터가 실무에서 중요시하는 요소들(전환률 최적화, A/B 테스트 운영 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을 잘 짚었습니다.
⇒ 제안: 작성하신 자료도 매우 만족 스럽지만 추가로 산업군별 차이, 채용 트렌드, 데이터 중심 사례를 보완하면 더욱 완성도 높은 발표가 될 것입니다.
④ 앞으로 함께할 5개월
"데이터로 고객을 읽고, 회사의 성장을 설계하다"는 팀의 결론이 강력한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개별 마인드셋도 매우 진솔했으며, 단순한 흥미를 넘어서 구체적인 학습 방향과 실행 의지가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