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정리
퍼포먼스 마케터 뿐만 아니라 마케팅 역량이 필요한 직무인 자영업 컨설턴트, 식품MD에 대해서 스터디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자영업 컨설턴트
좋은 점
•
"데이터 기반의 사고"를 필요역량으로 언급한 것이 좋아요. 프랜차이즈 컨설팅이나 상권 분석에서 POS 데이터, 유동인구, 매출추이 분석 등 데이터 활용이 꼭 필요하니까요.
추가로 고려할 점
•
"GA 툴 활용"이 잘 언급되었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자영업자들은 툴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GA 활용 능력도 중요하지만, GA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클라이언트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설명하는 능력'이 더 중요할 것 같아요.
•
자영업 컨설턴트라는 직무가 너무 광범위해요. 어떤 분야에 특화된 직무인지를 명시하면 구체적인 업무와 필요 역량에 대해 공부하며 직무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컨설턴트"는 고객을 교육하는 일에 가깝다고 볼 수 있어요. 사업에 대한 폭넓은 지식도 중요하지만, 특정 분야에 대해 고객의 수준에 맞춰 설명하고 실행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에요.
식품 MD
좋은 점
•
제품 기획부터 홍보까지 MD가 하는 업무 전반을 잘 설명해주셨어요.
•
특히 데이터 기반 분석을 토대로 담당 상품의 매출을 극대화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역량이라고 볼 수 있어요.
추가로 고려할 점
•
SCM 역량의 경우, 보통은 공급망을 관리하는 담당자가 따로 있어요. 담당 MD는 제품을 소싱하고 판매하는 업무에 좀 더 많은 비중이 있답니다.
•
보통 IT 기반의 커머스 회사에서 UX라고 하면 웹/앱 내에서의 소비자 경험을 지칭하고, 주로 디자이너와 PO가 해당 업무를 담당해요.
•
식품 MD는 소비자에게 상품을 사도록 설득하는 업무를 하기 때문에, '상품이 팔리는 이유'를 잘 파악하고 소구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이에요.
퍼포먼스 마케터
좋은 점
•
검색 광고(SA), 디스플레이 광고(DA), 리포팅, 데이터 분석 등 실제 마케터가 매일 하는 업무가 구체적으로 잘 정리되었어요.
•
수행하는 업무에 따라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도 잘 작성해주셨어요.
추가로 고려할 점
•
GA4 활용 능력도 중요하지만, 특정 툴에 국한된 능력보다는 이벤트 기반 데이터와 고객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도 중요해요. 두 데이터를 기반으로 파이어베이스, 앱스플라이어, 앱플리튜드 등 다양한 툴을 사용하기 때문이에요.
•
퍼포먼스 마케터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도 일부 관여하겠지만, 전환률 개선을 위한 CTA, 소재 테스트 중심의 전략 수립이 더 주된 역할이에요.
•
퍼포먼스 마케터는 '돈 쓴 만큼 성과가 나오는가'를 설득해야 하는 직무예요. 단순 실행보다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훈련이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