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정리
•
침착하고 밝은 목소리가 발표에 집중하게 만들어 끝까지 잘 들을 수 있어요.
•
마케터 업무가 한장으로 요약되어 있는데 실무의 흐름이 실제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어 정확한 자료를 조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
팀원별로 퍼포먼스 마케터가 되고 싶은 이유를 장표에 넣은 점이 인상적이었고 파이 차트로 데이터를 시각화한 점도 눈에 띄었어요.
•
다만 발표의 핵심 주제가 “직무 스터디”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전체 장표 구성에서 팀원 소개가 많았던 점이 조금은 아쉬워요.
1. 전략 수립
잘한 점
•
"광고 매체 선정"과 "타겟층 설정"은 캠페인의 핵심 시작점이에요.
•
"A/B 테스트 콘텐츠 준비"를 작성해주신 이유가 퍼포마의 핵심 역량 중 하나인 "성과 개선" 때문이라면 해당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어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
"광고 카피 준비"에서 단순 문구보다, "전환 중심의 메시지 설계"(예: 긴급성 강조, 혜택 강조 등)라는 이해가 있으면 좋겠어요.
•
"광고 예산 배분", "목표 지표 설정"(CPA, ROAS 기준)이 추가되면 더욱 완성도가 높아질 거예요.
2. 전략 실행
잘한 점
•
매체별 모니터링을 작성하신 게 기본적으로 광고를 운영해보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실제로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는 알고리즘, 타겟팅 구조 등이 다르기도 하고 매체별 유저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매체 별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
캠페인 실행 후에는 초기 1~2일 동안 성과 지표(CTR, CPC 등)를 확인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도 예산을 효율적으로 소비하기 위해서 중요한 부분이에요.
3. 전략 분석
잘한 점
•
A/B 테스트 반복과 중간 성과 확인은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분석 루틴 중 하나예요. 결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새로운 테스트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이에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
광고 성과를 어떤 기준으로 확인하는지 찾아보면 해당 직무에 대한 이해를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 단순 클릭률이 아니라 캠페인 목적에 따라 구매 전환률, ROAS 등을 중심으로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유입 키워드별 성과, 소재별 성과 등을 분석하는 경우도 많아요.
4. 성과 분석
잘한 점
•
KPI, ROAS, 데이터 시각화, 리포트는 실제 실무자가 매주/매월 작성하는 핵심 업무예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
"광고 전환율이 낮다면 어떻게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을까?", "ROAS가 높아도 매출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는데, 그럴 땐 어떤 의사결정을 할까?"와 같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따라 어떤 결정을 하는 게 좋을지 고민해보면 퍼포마적 사고를 갖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