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arch
📁

수빈 튜터님 서면 피드백

진행일자
2025/05/16
선택
피드백
특이사항

 피드백 정리

침착하고 밝은 목소리가 발표에 집중하게 만들어 끝까지 잘 들을 수 있어요.
마케터 업무가 한장으로 요약되어 있는데 실무의 흐름이 실제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어 정확한 자료를 조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팀원별로 퍼포먼스 마케터가 되고 싶은 이유를 장표에 넣은 점이 인상적이었고 파이 차트로 데이터를 시각화한 점도 눈에 띄었어요.
다만 발표의 핵심 주제가 “직무 스터디”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전체 장표 구성에서 팀원 소개가 많았던 점이 조금은 아쉬워요.

1. 전략 수립

잘한 점
"광고 매체 선정"과 "타겟층 설정"은 캠페인의 핵심 시작점이에요.
"A/B 테스트 콘텐츠 준비"를 작성해주신 이유가 퍼포마의 핵심 역량 중 하나인 "성과 개선" 때문이라면 해당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어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광고 카피 준비"에서 단순 문구보다, "전환 중심의 메시지 설계"(예: 긴급성 강조, 혜택 강조 등)라는 이해가 있으면 좋겠어요.
"광고 예산 배분", "목표 지표 설정"(CPA, ROAS 기준)이 추가되면 더욱 완성도가 높아질 거예요.

2. 전략 실행

잘한 점
매체별 모니터링을 작성하신 게 기본적으로 광고를 운영해보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실제로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는 알고리즘, 타겟팅 구조 등이 다르기도 하고 매체별 유저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매체 별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캠페인 실행 후에는 초기 1~2일 동안 성과 지표(CTR, CPC 등)를 확인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도 예산을 효율적으로 소비하기 위해서 중요한 부분이에요.

3. 전략 분석

잘한 점
A/B 테스트 반복과 중간 성과 확인은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분석 루틴 중 하나예요. 결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새로운 테스트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이에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광고 성과를 어떤 기준으로 확인하는지 찾아보면 해당 직무에 대한 이해를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 단순 클릭률이 아니라 캠페인 목적에 따라 구매 전환률, ROAS 등을 중심으로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유입 키워드별 성과, 소재별 성과 등을 분석하는 경우도 많아요.

4. 성과 분석

잘한 점
KPI, ROAS, 데이터 시각화, 리포트는 실제 실무자가 매주/매월 작성하는 핵심 업무예요.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점
"광고 전환율이 낮다면 어떻게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을까?", "ROAS가 높아도 매출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는데, 그럴 땐 어떤 의사결정을 할까?"와 같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따라 어떤 결정을 하는 게 좋을지 고민해보면 퍼포마적 사고를 갖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