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
•
가설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진행하기
•
세운 가설을 팀원들과 공유하기
이탈률 먼저 구해보기
•
장바구니 이탈률: 장바구니 포기율 = 1 - (주문 건수 / 생성된 장바구니 수) (purchase_completed (구매 완료 여부) / add_to_cart (장바구니 추가 여부))
•
장바구니 담기 이탈률 = 1- (행동했으나 장바구니에 담지 않은 유저 / 전체 행동 유저)
•
장바구니 담기 전환율 = 1 - (행동하여 장바구니에 담은 유저 / 전체 행동 유저)
분석 흐름
•
페르소나 설정
•
특정 유저 행동을 페르소나별로 구분하여 장바구니 담기 전환율 분석
◦
어떤 행동이 장바구니에 담게 만들었는지 분석해서 가설 설계
◦
어떤 행동을 하는 유저가 주로 장바구니에 담지 않았는지 분석하여 저해하는 요소 제거(가설 설계)
#1. 페르소나 구성 전 New / Returning 유저 이탈률 비교- 유의미한 결과가 있는지 먼저 확인
1) 기존 유저 장바구니 담기 이탈률 : 52.8%
2) 신규 유저 장바구니 담기 이탈률 : 71.2%
#2. 페르소나 구성(체류 시간 기준은 정해야할듯)
1. New 유저 페르소나
1) 충동구매형 - ad 유입, 상세페이지 체류시간 짦음(빠르게 이탈)
2) 목적형: search 유입, 상세페이지 체류시간 김, 리뷰 클릭 있음
3) 할인형: ad 유입, 할인 노출 있음
4) 불신형 - ad/search 유입, 상세페이지 체류시간 김, 리뷰 클릭 있음, 할인 노출 있음
2. Returning 유저 페르소나
1) 목적형: organic/search 경로, 리뷰 클릭 있음
2) 탐색형: 상세페이지 체류시간 김, 리뷰 클릭 있음, 할인 노출 있음
3) 고민형: organic/search 경로, 리뷰 클릭 있음, 할인 노출 있음
4) 재구매형: organic 유입, 할인 노출 있음
3. 추가 페르소나
1) 할인 민감형: ad 유입, 할인 노출 있음
2) 가격대 민감형(가격비교형): search/organic 유입, 할인 노출 있음, 가격대 mid - high 구간
•
초안 기반 가설 검증 진행
•
가설 초안을 기반으로 ZEP 출석해서 데이터셋 정리 및 분석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