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
브레인 스토밍(가설 정의)
실행 및 진행 사항 정리
•
모바일 사용자 중 theme_mode를 custom으로 설정한 이탈자는, 직접 환경 설정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UX 불편을 해결하지 못해 이탈했을 가능성이 있다.
•
이북리더기 사용자가 초반(5% 이내)에서 이탈한 경우, 기기 성능 또는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콘텐츠 이용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
50대 이상 고연령층의 이탈률이 높은 것은 가독성이나 인터페이스 불편 등 연령 특화 UX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재웅티비
1.
기기 테마 별로 완독율이 다를 것이다
2.
자기 계발로 한 권 단위로 책을 구매하는 2030과 그 외 연령대의 이탈률은 다를 것이다
3.
40대 이상 기계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의 이탈이 많을 것이다
4.
구독료 별로 이탈률이 다를 것이다
5.
독서에 시간 투자를 못하는 현대 사회인(20-50)들이 많을 것이다
큐엘
a . 나이가 많을 수록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이 많을 것이다.
b. eReader를 사용할 경우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이 적을 것이다.
c. free_trial로 이용하는 경우 자발적 이탈이 많을 것이다.
d. mobile로 이용하는 경우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이 많을 것이다.
e. 검색으로 직접 들어온 경우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석미느
1.
기기 화면 설정에서 custom으로 설정 한사람은 ux불편의 이유로 이탈할 비율이 적을 것이다.
2.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기술 이슈로 인해 이탈한 사람의 비율이 높을 것이다.
3.
추천e-book을 클릭하고도 자발적인 이유(지루함/너무 김) 등으로 이탈한 사람의 비율이 높다면 추천e-book시스템 결함이 존재할 것이다.
4.
열람한 책 유입 경로가 홈 메인 배너/추천 등의 경로일 때 미리 보기를 클릭 한 사람이 안 한 사람보다 이탈율이 낮을 것이다.
5.
연령층(경제적 상황)(성인/미성년자)에 따라 구독 유형이 비싸질수록 이탈율이 낮아질 것이다.
정무느
1.
개별 구매가 완독을 할 경향이 높으며 낮은 구간에서의 이탈율은 대부분 구독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 구독에서 개별 구매로 소비 전환을 이끌어내면 완독율이 늘어날 것이다.
2.
미리보기 페이지를 읽지 않는 독자일 수록 이탈율이 초기 이탈율이 높으며 구독 형태를 한 독자일수록 미리보기 페이지를 읽지 않을 것이다.
:: 구독을 하는 독자들에게 필수적으로 미리보기페이지를 제공한다.
3.
주말이 제일 완독율이 높을 것이다.
:: 주말 전용 이벤트를 열어 완독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결과
1.
eReader 사용자가 초반(5% 이내)에서 이탈한 경우, UX 불편 또는 기술 문제로 인해 콘텐츠를 이탈했을 가능성이 있다.
2.
50대 이상 고령층의 이탈률이 높은 것은 가독성이나 인터페이스 불편 등 연령 특화 UX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3.
구독료 별로 이탈률이 다를 것이다
4.
최근 6개월이내 미접속자의 이탈이유 분석
5.
사용 기기에 따라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률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데이터 부족)
6.
검색으로 직접 들어온 경우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7.
추천e-book을 클릭하고도 자발적인 이유(지루함/너무 김) 등으로 이탈한 사람의 비율이 높다면 추천e-book시스템 결함이 존재할 것이다.
8.
열람한 책 유입 경로가 홈 메인 배너/추천 등의 경로일 때 미리 보기를 클릭 한 사람이 안 한 사람보다 이탈률이 낮을 것이다.
9.
연령층(경제적 상황)에 따라 구독 유형이 비싸질수록 이탈율이 낮아질 것이다.
10.
개별 구매가 완독을 할 경향이 높으며 낮은 구간에서의 이탈률은 대부분 구독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11.
주말이 제일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12.
기기 화면 설정에서 custom으로 설정 한사람은 ux불편의 이유로 이탈할 비율이 적을 것이다.
역할 분담
•
디바이스 & UX 관련(인영)
◦
eReader 사용자가 초반(5% 이내)에서 이탈한 경우, 기기 성능 또는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콘텐츠 이용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
50대 이상 고연령층의 이탈률이 높은 것은 가독성이나 인터페이스 불편 등 연령 특화 UX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완료) 나이
◦
사용 기기에 따라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률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
기기 화면 설정에서 custom으로 설정한 사람은 ux불편의 이유로 이탈할 비율이 적을 것이다. (완료) 설정
•
추천 관련 (니엘)
◦
검색으로 직접 들어온 경우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
검색으로 직접 들어온 경우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
열람한 책 유입 경로가 홈 메인 배너/추천 등의 경로일 때 미리 보기를 클릭 한 사람이 안 한 사람보다 이탈률이 낮을 것이다.
•
구독 관련 (재웅)
◦
구독료 별로 이탈률이 다를 것이다
◦
연령층(경제적 상황)(성인/미성년자)에 따라 구독 유형이 비싸질수록 이탈율이 낮아질 것이다.(완료) 나이
◦
개별 구매가 완독을 할 경향이 높으며 낮은 구간에서의 이탈률은 대부분 구독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
시간 관련 (정문)
◦
독서에 시간 투자를 못하는 현대 사회인(20-50)들이 많을 것이다(완료) 나이
◦
주말이 제일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필요) 최근 기록
•
연령 관련 (석민)
◦
50대 이상 고령층의 이탈률이 높은 것은 가독성이나 인터페이스 불편 등 연령 특화 UX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
연령층(경제적 상황)(성인/미성년자)에 따라 구독 유형이 비싸질수록 이탈율이 낮아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