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데이터 분석0

Tags
Archive
ETA
Main Task
Sub Task
담당자
메모
상태
In progress
생성 일시
2025/06/16 10:27
우선 순위
진행률 %
Task : 연령대에 따른 독서 상관관계
가설 1. 연령대가 높을수록 추천 도서 클릭률이 높을 것이다.
가설 2. 연령대가 높을수록 유료 구독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다.
가설 3. 연령대가 높을수록 더 오래 독서를 했을 것이다.
실행 및 진행 사항 정리
연령대별 회원 수
연령대별 추천 클릭률
30대,60대는 평균보다 높으며, 40대는 평균보다 낮은 클릭률
30대(70.8)>60대(69.7)>50대(66)>20대(65.2)>10대(64.9)>40대(62.6)
연령대별 프리뷰 이용률
30대, 60대는 평균보다 현저히 낮음
50대(74)>40대(69.6)>20대(69.5)>10대(67.5)>60대(61.8)>30대(57.5)
! 추천 클릭률과 프리뷰 이용률이 상이한 이유?
연령대별 구독 플랜 이용자 수
모든 연령대에서 체험판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가장 많음.
60대의 경우 월간 구독과 체험판 이용자 수가 동일
연령대, 플랜별 평균 독서 중단 위치
10대~30대 : 단권결제 → 체험판 → 월간 구독 순
40대,50대 : 월간구독 → 단궐결제 → 체험판 순
60대 : 체험판 → 단권결제 → 월간구독 순
연령대별 평균 독서 중단 위치
60대가 53.4로 평균을 웃돌았고, 10대 이하의 경우는 47.9로 평균 대비 낮은 모습
연령대별 평균 이탈 위치
→ 연령대가 높을 수록 초기 이탈률이 적음. 연령대가 낮은 경우 초기 이탈률은 높으나, 후반 이탈률이 낮고 완독률이 높음
→ 연령대가 적을 수록 이탈 이유가 너무 김, 지루함을 선택한 비중이 적을 것
⇒ 10~30대 이용자보다 40~60대 이용자의 너무 김,지루함의 이탈사유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
결과
가설 1. 연령대가 높을수록 추천 도서 클릭률이 높을 것이다.
30대(70.8)>60대(69.7)>50대(66)>20대(65.2)>10대(64.9)>40대(62.6)
추천 도서 클릭률은 연령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30대가 가장 높고 40대가 가장 낮은 것을 보아 이 외의 요인이 있을 것이라 생각됨.
프리뷰 이용률의 경우에는 추천도서 클릭률 결과와 반대되는 양상을 보임
가설 2. 연령대가 높을수록 유료 구독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다.
전 연령대가 체험판을 이용하는 인원이 가장 높았음. 비율로 분석하면 연령대의 높낮이에 따라 유료 플랜을 사용하는 비율이 눈에 띄게 달라지는 양상은 없었음.
60대의 경우 체험판과 월간 구독 이용자가 동일함
가설 3. 연령대가 높을수록 더 오래 독서를 했을 것이다.
20대~50대까지의 독서 평균 중단 위치의 경우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10대는 47로 평균보다 3 낮게, 60대는 53으로 평균보다 3 높게 나오는 결과를 도출해냈음
이 외 특이 사항
초반 - 중반 - 후반으로 나누어서 연령대별 이탈 위치를 확인했을 때, 10대가 초반 이탈률이 가장 높고 60대가 가장 낮은걸로 확인됨. 반대로 후반 이탈률은 20대와 10대가 가장 낮고, 60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됨.
⇒ 이에 따라, 이탈 사유가 ‘너무 김’, ‘지루함’을 이유로 이탈하는 연령대는 10대가 가장 낮고 60대가 가장 높을 것으로 추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