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유저수 =31 명, 평균 보다 높으면 굵은 글씨
이탈률 100%
9- 중저가형 제품 + 광고 신규 유입 + 리뷰와 할인 노출 x
: 광고의 한계
이탈률 90% 이상 보유
1- 저가형 제품+ 광고 신규 유입+ 리뷰와 할인 노출 x
14- 중저가형 제품 + 자연 복귀 유저 +할인
이탈률 80% 이상 보유
10 - 중저가형 제품 + 광고 신규 유입 + 할인
13- 중저가형 제품 + 광고 복귀 유저 + 리뷰와 할인 노출 x
이탈률 70% 이상 보유
5- 저가형 제품 + 검색 신규 유입+ 할인
6- 저가형 제품 + 광고 복귀 유저 + 할인
11- 중저가형 제품 + 검색 신규 유입 + 리뷰와 할인 노출 x
12- 중저가형 제품 + 검색 신규 유입 + 할인
:
이탈률 60% 이상 보유
4- 저가형 제품+ 검색 신규 유입+ 리뷰와 할인 노출x
7- 저가형 제품 + 자연 복귀 유저 + 할인
8- 저가형 제품 + 검색 복귀 유저 + 할인
이탈률 50%(성공적인 전략?)
3- 저가형 제품 + 자연 신규 유저 + 할인 ( 유저수도 많음)
시나리오
1. 이탈률이 매우 높은 경우(90~100%)
9- 중저가형 제품 + 광고 신규 유입 + 리뷰와 할인 노출 x
1- 저가형 제품+ 광고 신규 유입+ 리뷰와 할인 노출 x
: 광고만으로는 신규 유입의 장바구니 전환을 이루어 내기 힘듬.
2. 줄어든 이탈률(80%)
10 - 중저가형 제품 + 광고 신규 유입 + 할인
13- 중저가형 제품 + 광고 복귀 유저 + 리뷰와 할인 노출 x
: 여전히 광고 유입의 비중이 높음.
복귀 유저의 광고 영향 및 할인이 이탈률에 미친 긍정적 영향 검토
3. 이탈률 70%대
11- 중저가형 제품 + 검색 신규 유입 + 리뷰와 할인 노출 x
12- 중저가형 제품 + 검색 신규 유입 + 할인
: 기존 중저가형 제품과 다르게 ‘검색 신규’ 형태의 패턴이 이탈률 축소에 영향
4. 저가형 제품과 이탈률의 상관 관계
광고로 유입 되지 않은 저가형 제품들은 꾸준하게 이탈률이 하락하고는 있다.
(검색+자연) 이 두 가지 형태와 저가형 제품이 합쳐진다면 ?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도


.png&blockId=2142dc3e-f514-8052-ab5d-d1f228fbe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