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

독서 시점/시간대 분석

Tags
Archive
ETA
2025/06/19
Main Task
Sub Task
담당자
메모
상태
Done
생성 일시
2025/06/16 10:20
우선 순위
진행률 %
Task
- 장기 미접속자(6개월 이상)의 이탈사유와 전체 이탈 사유가 동일 할 것이다. - 독서에 시간 투자를 못하는 현대 사회인(20-50)들이 많을 것이다 - 주말이 제일 완독률이 높을 것이다.
Python
복사
실행 및 진행 사항 정리
1.
시각화 (코멘트 : 9월 - 10월, 11월 - 12월 사이 변동 이유 분석 필요

장기 미접속자(6개월 이상)의 이탈 사유와 전체 이탈 사유가 동일 할 것이다.

자발적 이탈 추이는 전체 접속자 수와는 부분적으로, UX나 기술 이슈와는 큰 관련이 없어 보인다.
갑자기 인원이 증가한 이유를 찾기가 힘들다.
봄(4월: 도서관 주간), 가을(9월: 독서의 달), 연말(12월)에는 이벤트 영향으로 이용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모바일 서점 플랫폼은 아니나 도서관 또한 독서를 하는 공간이라고 가정하면 9월에 급증하는 그래프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음, 내부적인 요인보다는 외부적인 요인이 더 많이 있을 수 있다.
1.
장기 미접속자 분류 기준 및 분포 월 별 접속자 수는 9~12월에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전체적으로 균등 ->상/하반기로 나누어 이탈자 분석
전체 사용자 957명 중 466명(약 49%)이 6개월 이상 미접속 -> 장기 이탈자에 대한 별도 전략 필요.
전체 사용자의 이탈 이유 비율과 6개월 이상 미접속자의 이탈 이유 비율에 변화가 있었으나
그러나 이를 일반화 하기엔 변화가 미미
=> “불편이 개선되지 않아 그대로 이탈했다”(장기간 가입 이탈/단기간 가입 이탈)는 가설을 세워 검증하고자 했지만 개별 사용자 이력(가입일)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검증 불가
=> 6개월 이상 미접속자 대상 구독 무료 체험, 할인 쿠폰, 알림 메시지 등 리타게팅 전략이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다.
자발적 이탈 사유(추천 실패, 너무 김, 지루함)에 맞춘 전략 필요: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개선, 특정 기간 동안 미접속자/미구매자에 한한 할인 이벤트 사용자 맞춤 리마인드 푸시/ 메세지 알림
2.
요일 별 사용 행태 월요일 접속률이 가장 높지만 평균 이탈 위치도 낮고 완독률 또한 낮은 편 -> -> 많은 사용자가 시도는 하지만 완독까지는 가지 못함
수요일은 접속자가 세 번째로 많지만 이탈 위치가 가장 높으며 완독률 또한 높은 편 → → 수요일 독서 집중도가 높다는 해석 가능
완독률 높은 요일: 목요일 > 화요일 > 수요일
접속자 수가 많은 요일과 완독률이 높은 요일이 일치하지 않음 월요일은 접속자 수가 많으나 완독률은 상대적으로 낮음. 특히 금요일은 접속자 수와 평균 이탈 위치, 완독률 모두 낮음
=> 금요일의 사용자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전략 필요, 주말을 겨냥한 흥미로운 컨텐츠, 프로모션 진행
다니엘님 보고계신가요 이거 완전 재밌네요… 옛날 그 귀신 괴담에 나올것같은 st => 완독률이나 이탈 위치가 높은 화수목에 완독을 위한 프로모션을 통해 완독률을 더 높일 수 있음
ㅋㅋㅋㅋㅋㅋㅋ 글자가 막 저절로 써지니까 무섭네요…
수요일은 접속자 수가 세 번째로 많고, 평균 이탈 위치와 완독률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는 수요일 사용자가 집중도가 높아, 책을 끝까지 읽거나 중간에 이탈하지 않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요일은 접속자 수, 평균 이탈 위치, 완독률 모두 가장 낮은 편이다. 따라서 금요일에는 사용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끌어올릴 수 있는 별도의 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말로 이어지는 금요일에 맞춘 흥미로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3.
시간대 별 접속 분석
우와 그래프 예뻐요
전체적으로 오전 10-오후 2시, 오후 7-오후 8시 접속자 수가 활발
오전: 40대(6시), 60대 이상(7시)이 이른 오전에 높은 접속률
점심시간: 10대 이하(13시), 20대(12시), 30대(14시)가 주로 점심시간 전후에 활발하게 접속
저녁: 50대 19시에 가장 활발하게 접속
마케팅 해결 방안 오전 시간/ 저녁 시간에 중요 공지, 이벤트 신규 콘텐츠 출시를 알리는 집중 프로모션 운영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결과
1.
6개월 이상 미접속자의 이탈 사유와 전체 이탈 사유가 동일할 것이라는 가설은 맞았으나 사용자의 이력(가입일)등 의 데이터가 부족하여 불편 사유로 인하여 얼마나 이용이 지속되었는가는 검증이 불가하였다.
⇒ 6개월 이상 미접속자 대상 무료 체험, 재가입 쿠폰, 알림 메시지 등 리타게팅 전략이 효과적일 가능성 있다.
대부분의 이탈 사유가 추천 실패로 자발적 이탈 사유(예: 추천 실패, 너무 김, 지루함)에 맞춘 전략이 필요하다.
⇒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개선이 필수적이다.
2.
주말이 제일 완독률이 높을 것이는 가설과 다르게 오히려 평일인 화-목요일이 완독률이 제일 높았으며 접속자 수와 완독률 사이에 명확한 상호 관계가 없다. 접속 날짜와 완독 날짜가 분리되어 있고, 사용자는 접속한 후 며칠간 독서를 진행하며 완독 날짜는 접속과 다른 요일일 가능성이 높다. 우리의 목표는 완독률 향상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한 완독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접속 대비 완독이 낮은 금요일/ 완독률이 높은 화~목요일 등을 분리하여 지속적인 읽기를 유도하는 컨텐츠 를 다르게 설정 후, 요일별 다른 큐레이션을 제공하여 완독률을 높이는 전략을 전개할 수 있다.
수요일은 접속자 수가 세 번째로 많고, 평균 이탈 위치와 완독률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는 수요일 사용자가 집중도가 높아, 책을 끝까지 읽거나 중간에 이탈하지 않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요일은 접속자 수, 평균 이탈 위치, 완독률 모두 가장 낮은 편이다.
수요일에 접속하요 금요일까지 꾸준하게 사용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끌어올릴 수 있는 별도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말로 이어지는 금요일에 맞춘 흥미로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3.
독서에 시간 투자를 못하는 현대 사회인(20-50)들이 많을 것이다 라는 가설이 뒷받침되려면 20-50들의 주된 근무시간이 9-6시까지의 접속 수가 적어야 했는데 40대를 제외한 나머지 나이 대에서 10-2시에 활발한 접속 수를 보였다.
시간대 적으로 오전 10시-오후 2시, 오후 7시-오후 8시 접속자 수가 활발함으로 오전 10시-2시 / 저녁 시간 7시-8시에 중요 공지, 이벤트 신규 콘텐츠 출시를 알리는 집중 프로모션 운영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