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T란?
잘한 것(Keep), 문제점(Problem), 앞으로 시도할 것(Try)을 구분해서 개인이나 팀이 경험을 정리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회고
작성 팁
•
Keep – 잘한 건 구체적으로!
그냥 “열심히 했다”보다는 → “기한 맞춰 초안 제출 완료”처럼 행동 중심으로 쓰기
•
Problem – 탓보단 관찰!
“팀원들 협업 안 됨” 보다는 → “회의가 없어서 업무 파악 어려웠음” 비난보다 상황을 객관적으로 써야 개선도 쉽다!
•
Try –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열심히 하자” → “회의 전에 아젠다 미리 정리해보기” 바로 실행 가능한 액션으로 작성
Keep(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
편안한 팀 분위기
◦
무겁지 않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니 내 의견을 부담 없이 말할 수 있어서 일이 수월하게 진행됨
◦
각자의 의견을 편하게 주고받으니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관점에서 넓게 해석할 수 있어 좋았음
•
피드백이 잘 이뤄짐.
◦
깊고 넓은 피드백이 제공되었고, 팀원분들이 성실, 열정맨들이셔서 빨리 변화가 일어나서 좋았음.
◦
•
높은 참여도
◦
주말에도 시간을 할애할 정도로 모든 팀원들이 성실하게 팀 프로젝트에 참여함
◦
진짜 대단….
•
뜨거운 열정
◦
과제에 임하는 태도와 마음이 한 뜻이어서 팀원들에게 감사하고 또 뿌듯하다 !
◦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어려워도 서로 코드 공유하며 각자 할 수 있는 역량을 최대한 서로에게 보여준것 같다.
•
데이터 기반 공동 분석 경험
◦
팀원 전원이 데이터를 직접 다루고 의견을 나누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어서 좋았다
•
협업!
◦
초반에 방황하긴 했지만,,, 정말 열심히 의견 조율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서로 보완해준 덕에 억척스러운 부분 없이 프로젝트를 아주 설득력있게 완성시킨 것 같다! 앞으로도 “의논”열심히 하는 건 킵 고잉!
◦
인정이욥,,,,,
◦
협업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된 것 같고, 실무에서도 협업이 중요하다고 많이 강조하셨는데 그 부분에 대한 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Problem(불편하게 느끼는 부분)
•
학습의 부족함
◦
파이썬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니 좀 버거웠음
◦
ㄹㅇ 인정…지피티야 고생했어
◦
22
◦
33……
•
프로젝트 데이터를 온전히 다 활용하진 못한 것 같다.
◦
몇 가지 데이터에만 갇혀서 생각한 것 같다.
◦
•
차트 활용
◦
바차트를 좀 남발했는데,, 사실 다른 그래프를 썼어도 됐을 것 같다.
◦
•
초반에 방향성 오류
◦
컨셉을 먼저 정하고 데이터를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접근하다 보니, 해석 과정에서 데이터와의 논리적 연결이 부족해 설득력이 부족했다
◦
•
◦
◦
Try(Problem에 대한 해결책)
•
프로젝트 전 충분한 학습 제공
◦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배웠던 내용들을 체화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학습 시간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음
◦
•
데이터 활용 방안
◦
다음 프로젝트는 좀 더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보면서 새로운 결과를 얻는 과정이 좀 더 필요할 것 같고, 어떤 데이터를 추가할 때 원하는 결과가 나올 지를 생각해보며 사고력을 키우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
차트 다각화
◦
KDE에 대해서 칭찬을 들은만큼 히트맵이나 파이차트 등도 다음 프로젝트 땐 활용해 보아야겠다.
◦
•
방향 전면 수정
◦
처음부터 끝까지 팀원 전원이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고, 각자의 의견을 공유하며 흐름을 구성했다.
서로 다른 시각이 모이니 데이터 해석이 더 풍성해질 수 있었다.
◦
•
튜터님께 모르는 것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을 때 자주 찾아가는 자세를 들여야 할 것 같다.
◦
초반에 갈피를 못 잡았을 때, 튜터님의 자문을 조금 더 일찍 받았더라면 하는 후회도 남는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