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T란?
잘한 것(Keep), 문제점(Problem), 앞으로 시도할 것(Try)을 구분해서 개인이나 팀이 경험을 정리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회고
작성 팁
•
Keep – 잘한 건 구체적으로!
그냥 “열심히 했다”보다는 → “기한 맞춰 초안 제출 완료”처럼 행동 중심으로 쓰기
•
Problem – 탓보단 관찰!
“팀원들 협업 안 됨” 보다는 → “회의가 없어서 업무 파악 어려웠음” 비난보다 상황을 객관적으로 써야 개선도 쉽다!
•
Try –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열심히 하자” → “회의 전에 아젠다 미리 정리해보기” 바로 실행 가능한 액션으로 작성
Keep(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
이세희
◦
각자 맡은 역할을 충실히 해내 좋은 결과를 만들어 뿌듯합니다!
◦
그리고 튜터님께서 프로젝트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잘 해주셔서 많이 배우며 성장했습니다.
•
한다혜
◦
이번 프로젝트 팀원 분배가 너무 잘됨 각자 맡은 역할 잘해주셔서 효율적으로 빠르게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했음
◦
•
손예인
◦
프로젝트 초반에 튜터님이 가이드라인을 잘 잡아주셔서 역할 분담이 원활했음
◦
프로젝트를 하면서 세션으로만 이해하기엔 불충분했던 부분을 충족할 수 있어서 만족했음
◦
팀원들이 각자 잘하는 부분이 다 달라 서로 보완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어서 좋았다
•
홍정민
◦
새로운 팀플 활동으로 단순 공부보다 재밌고 흥미로웠음. 결과물을 확인하는 게 뿌듯.
◦
팀원들과의 소통으로 내가 모르던 부분을 알아가게 되는 기쁨.
Problem(불편하게 느끼는 부분)
•
이세희
◦
데이터 분석에 대한 내용을 자세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시각화로 최고의 성과를 뽑아내지 못한것같아 아쉽습니다.
◦
처음 해보는 프로젝트라 초반에 갈피를 잡는것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예시가 있었으면 더 좋았을것같습니다( 다혜님 말 공감! )
•
한다혜
◦
팀플은 소통이 기본인데 속도가 다 다르다보니 이해 안되는 부분이 많아 팀에 도움을 못 줌 상당히 미안할뿐
◦
프로젝트 예시가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지만 예시가 없어서 더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이 가능했고 각 팀의 프로젝트 보는 재미가 있었음
•
손예인
◦
데이터 분석에만 집중하다보니 왜 분석하는지 근본적인 방향을 잃을 때가 많아 시간이 빠듯했다
◦
머릿속에 있는 개념만으로 팀이 분석하고 시각화하고 싶은 부분을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할 때가 많아 아쉬웠다
•
홍정민
◦
붕 뜨는 시간이 많은 느낌.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팀원끼리 알아서 해라 라는 느낌이어서 스스로 시간을 케어해야한다는 점.
◦
마케팅보다는 데이터 분석에 더 치중된 느낌. 과연 실무에서 이정도의 파이썬 실력을 요구하는 곳이 많을지? AI로 10초면 되는데 머리 싸매면서 코드짜는 거에 너무 많은 시간 소모
Try(Problem에 대한 해결책)
•
이세희
◦
잠을 많이 못잔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최상의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점이 아쉽습니다.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할때에는 컨디션을 더 잘 조절해 최상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다음에는 결과를 도출할때 더 다양한 방면으로 분석을 해 최고의 결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한다혜
◦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 팀원들과의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개인적으로 공부를 많이 해야겠다 느꼈음
◦
시간 날 때마다 파이썬 SQL등 복습 또 복습하기
•
손예인
◦
컨디션 난조로 이틀이나 날려먹어서 초반 방향 세팅을 잘하지 못한 거 같아 아쉽다. 다른 팀 자료 및 발표 그리고 튜터님 피드백 등 많은 부분에서 얻어간 것이 많아 다음 프로젝트엔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홍정민
◦
스스로 하루에 정해진 공부와 그에 맞는 스케쥴을 짜야겠다
◦
급한 프로젝트나 공부가 아니면 개인 공부도 하면서 하기 EX. 검광마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