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발표대본

Tags
발표
Archive
ETA
Main Task
Sub Task
담당자
메모
상태
Not started
생성 일시
2025/07/18 12:51
우선 순위
진행률 %
Task :
< 이세희 수정본 >
1 안녕하세요. 일취월장의 발표자 이세희입니다.
고객을 ‘타잔’처럼 생존하게 만드는 전략인
정글 프로젝트를 소개힙니다.
2 발표순서는 이와 같습니다.
3 이번 과제의 핵심은, 고객을 더 오래, 더 자주, 더 많이 구매하게 만들 수 있는 제품 전략과 마케팅 솔루션을 설계하는 것이었습니다.
4
분석의 시작은 언제나 전처리죠.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데이터의 뿌리를 단단히 다지는 작업부터 시작했습니다.ㅍ 5
먼저 먼저 라이브러리 임포트와 구글 드라이브 마운트를 통해데이터를 불러와 결측치를 처리했습니다. 6
다음은 Total PriceAdd-on Total 두 항목에 대해 박스플롯 시각화와 IQR 방식을 활용해 이상치를 제거했습니다. 7 또, 나이 그룹과 금액 총합 파생 변수를 생성했습니다.
8
이 다음 클러스터링을 진행했습니다. 클러스터 1번은 Completed 주문 수, 총 결제 금액, 재구매율 모두 높은 값을 보여 '우수 고객'그룹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9
클러스터 2번의 경우 구매 횟수나 금액은 많지 않지만 평균 평점이 가장 높아
향후 충성 고객으로 전환될 여지가 있는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10
반면 0번과 3번은 구매 완료 수가 낮고, 재구매율도 거의 없어
저활성 고객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11
이를 통해 저희는 타겟으로 삼아야 할 고객 특성과 부합하는 그룹을 확인, 스코어링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12
처음엔 ‘구매 완료 횟수가 많으면 좋은 고객이지 않을까?’
라고 접근했습니다.
13
“하지만 생각해보니, 이건 고객의 ‘양’만 본 거였습니다.”
14 그래서 저희는 ‘구매 이력의 질’까지 반영한 CLV SCORE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15
자, 그런데 여기서 고민이 하나 생겼습니다. Cancelled 이력에 대해 과연 얼마만큼의 패널티를 줄 것인가?
16
막연히 ‘1건당 마이너스 1점!’ 이런 식으로 설정하는 건 위험할 수 있습니다.
17
그래서 저희는 정량적 근거를 찾아 보다 설득력 있는 기준을 도출하기로 했습니다.
18
저희는 취소 이력이 없는 고객, 취소 이력이 있는 고객으로 나눴습니다. 이 둘을 기준으로 재구매율, 즉 ‘Completed 2회 이상’인 고객 비율을 비교했죠.
19
취소 이력이 없는 고객의 재구매율은 33.2%,
*있으면 고객의 재구매율은 16.4%**로, 무려 16.8%p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20 .
이 결과를 보고 저희는
취소가 1건 있을 때마다
약 0.17점 정도의 재구매 기대 감소가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21 그래서 Completed 주문 1건은 +1.0점, Cancelled 주문 1건은 -0.17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합산해 Order Score를 계산했습니다.
22 다음으로 평균 결제 금액을 계산했고, 23 평점도 앞서와 동일하게 평균값을 구해 컬럼을 만들었습니다
24
앞선 세 가지 요소를 합산해 주문 행동 점수: 40%/ 나머지는 30%로 설정해 CLV SCORE를 산정 했습니다.
그 뒤 CLV SCORE를 기준으로 고객을 4분위로 나눈 CLV GROUP을 설정했습니다.
CLV GROUP은 고객 충성도와 이탈 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지표로,
Jungle 전략의 핵심입니다.
25 “그럼 지금부터 각 그룹별로 가설 기반으로 분석하겠습니다. 먼저 a그룹입니다.
26
“첫 번째 가설은 ‘A그룹이 S그룹보다 스마트폰을 더 많이 샀을 것이다.’”입니다.
저희는 카이제곱 검정 값과 피 벨루값을 통해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습니다.
이에따라 A그룹스마트폰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타겟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7
또, SKU별 구매 수량을 비교해 보면,
특히 저가 스마트폰을 압도적으로 많이 구매한 게
수치상으로 드러났습니다.
28 A그룹의 마지막 가설인 헤드폰을 많이 구매했을 것이다입니다. 모든 그룹 중 가장 낮은 구매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헤드폰이 입문 유도 전략에 필요한 타겟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9
이에 따라 저희는 A그룹을 타겟으로 스마트폰 업셀링 전략과
헤드폰 체험 기반 매출 전환 전략을 도출했습니다.
30 다음, B 그룹에 대해 저희는 세 가지 가설을 세웠습니다.
31
보시는 그래프처럼 스큐1002와 슼1005에서 유독 높은 구매 비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32
스큐1002는 저가 스마트워치, 스큐1005는 저가 태블릿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저가 제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하는 것인지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33 확인 결과 b그룹은 전체 양상과 대동소이해서 복잡한 정보 탐색을 줄여 명확한 가성비 제품 마케팅이 필요합니다.
34 보시는 바와 같이 B 그룹은 테블릿을 가장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5
태블릿 시장은 고가 제품인 TBL345와 저가 제품인 스큐1002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보시는 그래프는 23년 9월부터 24년 9월까지 두 제품의 월별 판매량을 비교한 것입니다.
36
반면 스큐1002는 TBL345의 등장에도 판매량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두 제품 간 가격대 차이로 인해 고객층이 확실히 나뉘었기 때문으로 추론 가능합니다
37
또, TBL345의 경우 7월에 들어서 제품 수명 주기 이론 그래프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며 쇠퇴기에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8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TBL345의 쇠퇴기에 대응하며 가성비 이미지를 챙기고, 소비자의 탐색 과정을 줄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9 마지막으로 c그룹입니다.
40
스큐별 구매 건수를 분석한 결과, C 그룹에서 가장 많이 구매한 상위 3개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41
상위 제품들은 모두 저가형에 해당하는 제품이었고, 검정 결과 C그룹이 저가형 제품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42
또, C그룹은 1회 평균 결제 금액이 가장 낮고, 구매 횟수도 적었으며, 구매 주기도 106일로 가장 길었습니다.
43
이에 따라 C그룹의 고객 생애 가치를 높이는 다른 가능성을 탐색했고, 추가 물품 구매 현황을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44
확인 결과 C그룹이 추가 물품 구매 시 1회 평균 결제 금액도 상승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45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할인 혜택과 추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였습니다.
46
저희는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47 고객에게 단일 제품 사용을 넘어서 '연결의 경험'을 제공해야된다 생각했습니다.
48
이런 핵심가치에 따라 일취월장이 제안합니다. 'Welcome to Samsung's Jungle' 프로젝트
49 먼저 스마트폰 보상 판매 이벤트입니다. S그룹 대비 스마트폰 구매율이 높아서 목표는 중저가 스마트폰 구매고객을 고가 모델로 업셀링을 하는것입니다
50
분석 결과, 두 제품 모두 유의미한 손익률을 기록했고, 이는 매출 증대와 s그룹 전환 유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51 보여주고 넘어가기
52 다음은 헤드폰 홍보를 위한 서포터즈를 기획했습니다.
53
핵심 목표는 갤럭시 오디오 생태계 경험 확대로 S그룹으로 전환을 유도하는것이고, 콘텐츠를 통한 신규 고객을 유입할 수 있을것입니다.
54
두 번째, B그룹의 아이디어입니다.
55
b그룹은 고가 SKU의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탐색 없이 선택할 수 있는 가성비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56 그래서 저희는 제안합니다. ‘갤럭시 탭 타잔 키트’ 57 부담 없이 접근 가능한 라이트 모델과 정글 가이드북으로 구성했습니다. ‘정글 가이드북’은 연결법, 꿀팁까지 담아 사용자의 탐색 부담을 줄여줍니다.
58
‘정글’은 삼성 생태계, ‘타잔’은 입문자입니다.
“이 키트 하나면 삼성 생태계에서 생존 가능하다”는 인식과 함께,실속 선택임을 전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59
제품 디자인은 탐험·모래톤 색상으로, 실용적이고 정체성이 있는 패키지’로 구성했습니다.
60
또, 핵심 생태계 앱 사용법을 안내해 타잔이 생태계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61
정글은 복잡하지만, 생존은 단순해야 합니다.‘Tarjan Kit’는 삼성 생태계 입문을 돕는 매개체가 될 것입니다.
62
C그룹은 헤드폰, 스마트 워치, 테블릿 등 주변기기 위주로 구매해온 만큼, 이들과 연동이 쉬운 스마트폰인 스큐1004를 주력 마케팅 제품으로 채택했습니다.
63
이에따라 스마트폰 할인 푸시 알림을 제안합니다.
C그룹의 구매 주기인 3개월 마다 알림을 발송하며,
기간 한정 쿠폰을 발급해 재구매를 유도합니다.
64
C그룹은 전체 지불 금액에서 추가 제품 구매 시 금액 비중이 타 그룹보다 높아 추가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으니 추가 제품 할인 과 1 + 1 이벤트 전략을 세웠습니다.
. 65.
본제품과 추가 제품을 함께 구매할 경우 10% 할인을 제공하고
번들 1+1 이벤트를 진행해 추가 제품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두 전략을 통해 고객 생애 가치 증대까지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66
이상 팀 일취월장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디에이션 2
실행 및 진행 사항 정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