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arch
Duplicate

튜터님의 피드백 도착

진행일자
2025/07/21
선택
피드백
특이사항
총평: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 방식과 논리적인 전개 능력이 매우 뛰어남
기존 멤버십의 문제와 기존 CLV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CLV 지표를 자체적으로 정의하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을 세분화하고 각 등급에 맞는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한 점은 매우 인상 깊음
이탈 위험 고객을 예측하기 위해 머신러닝을 활용한 부분 또한 데이터 분석 기술을 비즈니스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접목한 좋은 사례로 볼 수 있음
프로젝트의 핵심인 CLV를 중심으로 문제 정의부터 해결방안 제시까지 내용을 일관되게 전개시킨 점이 돋보임
잘한 점:
삼성전자의 기존 멤버십 정책이 중요 고객을 선별하지 못하고 CLV가 명확히 정의되지 않아 마케팅 타겟팅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매우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함
기존 CLV의 '총 구매 금액' 중심의 한계를 지적하고, 행동 데이터를 포함한 New CLV의 필요성을 도출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인사이트임
New CLV를 기반으로 고객을 5단계(Blue Diamond ~ Blue Sky)로 분류한 것은 실제 마케팅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세그먼테이션으로 보임
CLV 등급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이 뛰어남. 각 등급의 특성을 고려한 혜택(할인, 전용 CS, 무료 배송, 특정 상품 프로모션 등)과 전략이 상세하게 설명했음
슬라이드 디자인이 깔끔하고, 핵심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으며, 적절한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아쉬운 점/더 시도해볼 수 있는 점:
제안된 마케팅 전략들이 실제 비즈니스에 어떤 구체적인 성과(예: 매출 증대율, CLV 평균 상승률, 특정 고객군 전환율 등)를 가져올 것인지 수치로 제시한다면 제안의 설득력이 더욱 높아질 것임
새로운 CLV 지표를 정의할 때 각 요소에 부여한 가중치(0.4, 0.3, 0.2, 0.1)에 대한 명확한 근거(예: 통계적 분석 결과, 비즈니스 우선순위 등)를 설명하면 전문성이 더욱 부각될 것임
제안된 마케팅 전략들을 실제 삼성전자에서 적용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효과를 측정하고 검증할지(A/B 테스트 설계, 핵심 성과 지표(KPI) 설정, 측정 기간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한다면, 제안의 실행 가능성이 더욱 돋보일 것임
현재 주어진 데이터로는 파악이 어렵지만 추가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여 각 CLV 등급으로 분류된 고객들이 왜 그런 등급에 속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행동 패턴 분석을 추가한다면, 맞춤형 마케팅 전략의 근거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음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튜터님께 방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