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arch
Duplicate
🔗

[250725] 퍼포먼스 마케터와 데이터의 관계

진행일자
2025/07/25
잡담방 공유
시간은 팀 조율로 정하기!

선정 아티클

[링크]

팀원 인사이트 공유

영은님
혜선님
재이님
문수님
정민님

팀원 종합 인사이트 정리

팀원 모두의 종합 의견 또는 의견이 다를 경우 개별 의견을 적어도 괜찮습니다.
공통 인사이트
개별 인사이트
그래서 데이터를 다루는 흐름 전반을 이해하고 있어야 대시보드를 볼 때도 맥락이 한눈에 들어오고, 그 즉시 광고 세팅이나 퍼널을 어떻게 손보면 좋을지 인사이트를 얻기 쉬워진다고 생각한다.
산업과 조직 규모에 따라 DA나 DE를 통해 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단순 지표 하나 계산하려고 매번 요청을 넣고 결과를 기다리다 보면 순식간에 속도가 떨어진다. 간단한 분석 정도는 내가 바로 처리하고, 복잡한 작업만 전문가에게 넘기는 편이 오히려 효율적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기로 했다.

잡담방에 올릴 내용 작성하기

팀원 한 명이 대표로 올려주세요!
[ 群鷄一鶴, 오늘의 아티클 추천 ]
추천 이유 : 퍼포먼스 마케터로서 실무를 경험하신 분의 입장에서 퍼포먼스 마케터란 어떤 업무를 하는 직업인지,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를 알려주는 아티클이어서 지금 과정을 들으시는 분들께 한 번 보여드리고 싶어서 추천드립니다
팀 인사이트 : 퍼포먼스 마케터는 데이터 직군에 포함되는 것이 트랜드이지만 결국에는 ‘마케터’다.
공통 인사이트
퍼포먼스 마케터는 마케터임을 잊지 않기
마케팅에는 정답이 없는 영역! 사고를 확장시키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광고를 직접 세팅해보고 매체의 특성을 직접 느껴봐야 어떻게 효과적인 광고를 집행할 수 있는지 실감할 수 있을 것 같다!
퍼포먼스 마케터에게는 광고 매체의 대시보드가 더 익숙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개별 인사이트
데이터를 다루는 흐름 전반을 이해하고 있어야 대시보드를 볼 때도 맥락이 한눈에 들어오고, 그 즉시 광고 세팅이나 퍼널을 어떻게 손보면 좋을지 인사이트를 얻기 쉬워진다고 생각한다.
산업과 조직 규모에 따라 DA나 DE를 통해 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단순 지표 하나 계산하려고 매번 요청을 넣고 결과를 기다리다 보면 순식간에 속도가 떨어진다. 간단한 분석 정도는 내가 바로 처리하고, 복잡한 작업만 전문가에게 넘기는 편이 오히려 효율적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