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

최종 프로젝트 기획서

프로젝트 제목

광주청년잡아부러 프로젝트

팀 구성

팀명: 이의 있음!
김민규, 라혜선, 정준영, 문정문, 설재웅

프로젝트 주제

[개요]
이를 위해 사이트 내 이벤트 로그를 분석하고, 도출된 인사이트로 광고 소재를 제작·집행합니다. 아울러 온에어된 캠페인을 비교·평가해 고효율 소재를 선별하고, 예산을 최적화해 최적의 광고를 운영합니다.
[배경]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광주 실업률은 3.0%로 전년동월 대비 +0.6%p 상승했습니다. 지역 고용지표가 악화된 만큼 구직 지원 서비스의 실사용(AU) 확보가 더 중요합니다.
2025년 7월 광주·전남 고용동향.pdf
2.3 MB
동 달 전국 청년(15–29세) 실업률은 5.5%전체 실업률(2.4%)의 2배+ 수준입니다. ‘청년 타깃’ 플랫폼의 도달·활성 사용을 키워야 체감 효용이 납니다. 뿐만 아니라 광주 청년(15–29세)의 실업률은 7.5% (2025년 2분기, 통계청 KOSIS 지역지표)로 전국 평균(6.7%)을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런 상황을 청년들이 인지하지 못할 리 없죠. 실제로 광주전남 지역 청년의 가장 큰 고민 1위가 일자리(46.6%)였으나, 청년 정책 인지율은 23.2%에 그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광주 동구에서 제공하는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사이트 역시, 내부 GA 기준 7월에 피크를 달성한 것이 확인 되지만, 8월에 들어 수치가 급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또, 유입 인원들이 1주차 만에 2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하락 구간의 초기에 대응해, 캠페인 유입과 리텐션 액션을 기획 및 실행해야 합니다.
[주제]
GA 이벤트 분석 및 A/B 테스트를 통한 ‘광주청년일자리 스테이션’ AU 확대 프로젝트
[설명]
지역 고용 위기 국면에서 도달→활성→전환 퍼널을 설계해, 퍼포먼스 캠페인과 리텐션 액션으로 8월 AU 급락을 반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데이터
구글 애널리틱스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analytics.google.com
카카오 관리자
네이버 관리자
캠페인 소재 서칭
메타 광고 라이브러리link iconAd Library
구글 광고 투명성 센터link iconadstransparency.google.com
카피가 강한 세상에 www.adim21.co.kr
트렌드 파악
네이버 데이터 랩 검색 광고 트렌드 link icon네이버 데이터랩
구글 트렌드 link iconTrendsGoogle 트렌드
구글 키워드 플래너 통한 오가닉 서치 개선 ads.google.com

프로젝트 목표

고용노동부 산하 지역사회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랜딩 페이지 유입을 늘린다

문제 정의

분석 중점
지난 활성화 수 스파이크(spike) 요인 분석 : 청년 일자리 스테이션은 지난 7월 1일과 8월 3-4일 AU가 이례적으로 튄 후 나머지 기간에는 급락하는 모양세를 보이고 있다. 해당 원인을 분석하고, 타깃 오디언스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들의 USP를 파악해 광고를 기획한다.
부정 인식 요인 분석: 현재 청년들의 진짜 문제는 구직을 해도 퇴사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첫 직장 구직 이후 퇴사까지 현재 18개월 가량이 걸리는데, 이것은 이전대비 크게 줄어든 수치다. 퇴사의 원인으로 청년들이 지목한 것은 “일이 나에게 맞지 않는다”로 해당 선지를 선택한 비중이 60%에 육박했는데, 굳이 트러블을 일으키고 싶지 않아서, 또 이직 과정에서 불합리한 대우를 받을까 해당 선지를 선택한 것은 아닐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튜브 “청년 일자리” 검색 시 노출 되는 영상 중 조회 수 상위 3개의 뉴스 댓글을 분석해, 진짜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본다. link iconYouTube"그냥 제가 퇴사할게요"…진짜 문제는 '취업 후' 시작 / SBS / 모아보는 뉴스
A/B 테스트: 온 에어 캠페인을 2주간 비교 분석해,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한다.
시각화 중점
광주시 구직 청년 취업 인식 요인 API 통한 워드 클라우드를 통한 구직 트렌드 분석
광주시 청년 구직률 시각화를 통한 사회적 요인 분석
전체기간 GA 트래픽 증감률 시각화를 통한 AU 상승 방안 설계
페이드/오가닉 별 USP 분석 시각화를 통한 맞춤형 솔루션 제공
A/B 테스트 결과 시각화를 통한 광고 최적화
문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은 7월 AU 피크 후 8월 급락하여, 하락 초기에 캠페인·리텐션 액션으로 저점을 높이고 저점 구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음.

데이터 활용 계획

 활용 데이터 정리
플랫폼 내부 데이터
구글 애널리틱스(GA): 광주청년일자리 스테이션 사이트 방문자 수, 이벤트 로그, 유입 경로, 전환 데이터
광고 관리자 데이터
메타 비즈니스 관리자(Facebook/Instagram 광고 성과 지표)
카카오 비즈니스 관리자(카카오톡 채널·광고 성과 지표)
네이버 광고 관리자(검색 광고 성과 지표)
외부 빅데이터/뉴스 데이터
빅카인즈(BigKinds): 청년 고용·일자리 관련 뉴스 빅데이터 수집 및 키워드 분석
유튜브 뉴스/영상 댓글 데이터: 청년 구직 관련 부정 인식 요인 분석
캠페인 소재/광고 사례 데이터
메타 광고 라이브러리
틱톡 크리에이티브 센터
구글 광고 투명성 센터
캐릿, 카피가 강한 세상에
검색 트렌드/키워드 데이터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 광고 트렌드)
블랙키위, 키워드사운드 (연관 키워드 분석)
구글 트렌드 (검색 트렌드 파악)
구글 키워드 플래너 (오가닉 검색 최적화)
 데이터 전처리
GA 로그 데이터: 이벤트명/세션/전환 경로 기준으로 이상치 제거, 결측치 처리
뉴스·댓글 데이터: 불용어 제거, 형태소 분석(Konlpy 등) 후 워드 클라우드 생성
광고 성과 데이터: 매체별 CTR·CPC·전환율 통합 테이블 구축 → 비교 분석
분석 방법
트래픽 분석: 월별/일별 AU 추세 → 스파이크 원인 규명
세그먼트 분석: 유입 채널별, 기기별, 인구통계별 세분화
퍼널 분석: 도달→활성→전환 단계별 이탈률 측정
A/B 테스트: 광고 소재·카피·랜딩 차이에 따른 성과 비교
부정 인식 요인 분석: 유튜브 뉴스 댓글 텍스트마이닝 → 불만·퇴사 원인 추출
마케팅 전략 구성 계획
전략 방향
AU 확대 + 리텐션 강화+CTA를 목표로 설정
트래픽 급락 구간(저점) 반등에 집중
ex) Tofu AU(주간 신규 유입 407명) 상승 목표 유저들이 광주 청년 일자리 스테이션에 유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x) Mofu1주차 이탈요인(100% > 4.7%) retention 목표 유저들이 광주 청년 일자리 스테이션에 재방문 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x) Bofu2주차 이탈요인(4.7% > 2.4%) retention 목표 Tofu/Mofu 결과를 기반으로 유저를 리타겟팅, 2개의 광고 소재를 제작해 A/B테스트를 진행한다. Q. 왜 각단에서 A/B를 진행하지 않고 마지막에만 진행하는지? A. 예산과 집행 기간 문제
세부 실행
1.
퍼널 설계
도달(광고/검색) → 활성(사이트 체류·이벤트 참여) → 전환(회원가입·상담 신청)
도달→활성→전환 단계별 이탈률 측정
2.
캠페인 기획
광고 소재: 인사이트 기반 청년 공감형 메시지 제작
매체 믹스: 메타·네이버·틱톡 중심, Paid/Organic 통합 운영
A/B 테스트: 카피·비주얼·CTA별 2주 단위 실험 후 고효율 소재 선별
3.
리텐션 액션
리마케팅 캠페인: 사이트 방문자·영상 시청자 대상 맞춤 타깃팅
커뮤니티/콘텐츠 연계: 지역 청년 공감 스토리, 일자리 성공 사례 공유
4.
성과 관리 및 최적화
KPI: AU, CTR, 전환율, CPA 중심
GA + 광고 관리자 통합 대시보드 구축 → 실시간 모니터링
고효율 소재에 예산 재배분

예상 결과물 및 기대 효과

예상 결과물
GA 기반 트래픽 분석 리포트
청년 구직 인식 요인 시각화 자료(API 기반 차트/그래프)
매체별 캠페인 성과 비교표
광고 소재
최적화된 광고 세트 및 리타겟팅 전략안
리포트 주요 구성
프로젝트 개요 및 목표
배경, 문제 정의, AU 확대 필요성
데이터 분석 결과
GA 이벤트 로그 분석 (트래픽 변동, 세그먼트별 유입)
뉴스/댓글 기반 부정 인식 요인 도출
구직 트렌드 분석 (워드클라우드, 키워드 트렌드)
캠페인 설계 및 실행
A/B 테스트 구성 (광고 소재별 성과 비교)
Paid/Organic 전략 비교
리텐션 액션 계획
성과 측정 및 최적화
KPI 달성 현황 (AU, CTR, 전환율 등)
예산 재배분 및 고효율 소재 선별
최종 인사이트 및 제언
청년 맞춤형 메시지 전략
향후 확장 가능성 및 개선점
기대 효과
AU 반등 통한 활성 사용자 수 증가. 부가적인 신규 청년 구직자 유입 기대
A/B테스트 통한 최적의 광고 전환
청년 정책 인식 재고 및 부정 인식의 긍정 전환을 통한 브랜드 신뢰도 강화

프로젝트 일정 계획

1주차 : 주제 선정 및 기획안 작성
2주차 : 데이터 전처리 및 시각화 자료 준비
3주차 ~ 4주차 : 9월 1일 또는 2일 부터 A/B광고 집행
5주차 : 중간 점검 및 튜터 피드백을 통한 타겟 맞춤 전략(p-value 산정 통한 유효 결과 도출) link iconSurveyMonkeyStatistical Significance Calculator for A/B Testing
6주차 : 9월 22일까지 광고 집행, 9월 23일 A/B 테스트 결과 정리 최종 결론 도출 및 최종발표회
November 2025
Today
S
M
T
W
T
F
S

역할 분담

설재웅 메타 광고 집행 핸들링
김민규 PPT/발표
라혜선 자료조사/서기
문정문 콘텐츠 기획 및 디자인
정준영 분석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