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회의
주요 내용
•
신규 제품 기획보다는 데이터 분석과 광고 기획 및 집행에 리소스를 투자
•
시장 성장의 원동력은 몇몇 큰 브랜드 위주임. 이러한 상황에서 신규 브랜드가 어떻게 포지셔닝?
•
양극화 시장(고급/저가)
•
브랜드 포지셔닝맵은 기능성을 토대로 여러 요소들을 고려해야 함
(시장 포지션 기반 차별화)
•
kpi 측정(ex. “장바구니 버튼”과 같은 버튼 하나를 만들어서 클릭률 조사)
피드백
1. 프로젝트 방향성
•
신규 브랜드/제품 개발에 과도한 리소스 투입은 지양
→ 신규 브랜드를 만드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기존 브랜드/제품을 가상으로 설정하고,
→ 데이터 분석·광고 전략 기획에 리소스를 집중하는 것이 더 적절.
2. 시장 분석 관련
•
여성 스포츠웨어 시장은 꾸준히 성장 중이나, 특정 몇 개 브랜드 중심으로 성장.
•
소비자 니즈는 고급 브랜드 지향 vs 저가 브랜드 지향으로 양분화되는 경향.
•
따라서 타겟 시장(고급 vs 저가) 선택 후 전략을 짜야 함.
3. 브랜드별 광고 특징
•
고급 브랜드(룰루레몬, 알로 등) → 브랜드 이미지, 엔도스먼트(홍보모델) 중심.
•
저가 브랜드(안다르, 젝시믹스 등) → 할인·프로모션 위주의 광고.
•
진출 전략을 짤 때 광고 접근 방식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
4. 포지셔닝 맵 제안
•
브랜드 포지셔닝 맵 작성 시,
◦
기능성
◦
가격대(고급/중저가)
등을 동시에 고려해서 차별화 가능 영역을 찾을 필요 있음.
5. 시장 구조 고려
•
현재 4대 주요 브랜드 점유율이 계속 상승 → 잘 되는 브랜드는 더 강해지고,
•
신규 브랜드가 들어오면 어떻게 점유율을 확보할지 고민이 필요.
6. KPI·성과 측정 관련
•
KPI로 CVR(전환율) 등을 제시했는데, 실제 전환 측정은 어려울 수 있음.
•
판매 기능 구현이 불가하다면, ‘장바구니 담기 버튼 클릭’ 같은 대체 지표로 성과 측정 가능.
7. 브랜드 이미지 측정 방식
•
현재 기획안은 소비자 인식된 이미지보다는
→ 브랜드가 의도적으로 내보낸 이미지를 파악하는 방향임.
•
이 부분을 명확히 구분해서 설명하는 것이 필요.
8. 데이터 수집 범위
•
유튜브/SNS 댓글뿐 아니라, 리뷰, 인기 카테고리 등 다양한 소스 활용 예정 → 적절함.
결론 정리
튜터님의 피드백은 크게 “리소스 배분(신규 브랜드 만들기보다 분석·전략 집중)”,
“시장 구조와 소비자 양분화 반영”, **“성과 측정의 현실적 대안”**에 초점이 있었음.
또한 포지셔닝 맵 구체화, 광고 방식 차별성 반영, 데이터 수집 폭 확대를 강조함.
기획안 보완 체크리스트
1. 프로젝트 방향성
신규 브랜드/제품 개발에 리소스를 최소화했는가?
기존 브랜드·제품을 가상의 사례로 활용하고, 분석·전략에 집중했는가?
2. 시장 분석
여성 스포츠웨어 시장의 성장 배경과 주요 플레이어를 설명했는가?
소비자 니즈의 양분화(고급 vs 저가) 현상을 분석했는가?
신규 브랜드 진입 시 **어떤 시장(고급/저가)**을 공략할지 명확히 제시했는가?
3. 경쟁사/브랜드 전략
**고급 브랜드(룰루레몬, 알로 등)**의 광고 특성을 반영했는가?
**저가 브랜드(안다르, 젝시믹스 등)**의 광고 특성을 반영했는가?
광고 전략에 있어 고급 vs 저가 접근 차이를 반영했는가?
4. 포지셔닝 맵
포지셔닝 맵을 작성할 때 가격대(고급/중저가) + 기능성(러닝, 요가 등) 기준을 모두 고려했는가?
차별화 가능한 시장 영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는가?
5. 시장 구조
4대 브랜드 점유율 상승 추세를 반영했는가?
신규 브랜드가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는가?
6. KPI 및 성과 측정
KPI에 CVR(전환율), CTR 등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설정했는가?
실제 판매 불가 상황에서 장바구니 담기 버튼 클릭 등 대체 전환 지표를 설계했는가?
7. 브랜드 이미지 분석
소비자 인식된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가 의도적으로 내보낸 이미지(광고 소재, 메시지)를 구분하여 설명했는가?
8. 데이터 수집 범위
유튜브/SNS 댓글뿐 아니라, 리뷰, 인기 카테고리, 온라인 피드백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확보했는가?
데이터 분석 방법론(예: 텍스트 마이닝, 키워드 빈도 분석 등)을 명시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