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질문
1.
다이렉트부터 오가닉 소셜까지 자연 유입의 트래픽 강화 방법
2.
인스타그램 및 구글 광고를 집행해서 paid social 강화 방법
a.
광고를 집행하면 최적화 된 광고 방식은 무엇일까?
b.
어느 채널에서 광고 하는 것이 적합할까?
3.
튜터님께 질문 사항
a.
방향성 질문
b.
데이터 양에 관한 질문
c.
더 많은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보고서 추출 방법
4.
질문 사항/ 인구통계 활용 가능 사이트인지(로그인 기능이 따로 없어서), 활용 가능하다면 어떻게 설정 가능한지. 직접 로그인이 없고 간편 로그인만 있는데, 구글만 집계만 된 것 같음
데이터들이 왜 필요한지?
•
타겟팅을 위한 데이터 수집 필요
•
주요 고객층에게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주 고객층이 아닌 고객층에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
공공데이터(통계)와 매핑해서 추론하는 방법이 있음
•
수집된 데이터 내용와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회의록에 기재
•
마케팅 주차에 배웠던 내용&스킬&툴 100% 활용할 수 있게 정리해보기
개인 질문
팀 질문 없이 개인 질문 시, 팀 질문은 작성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튜터 피드백
경빈 튜터 피드백
상담 배경 및 목적
•
주요 상담 요청 사항
◦
A블로그와 B블로그의 유입 데이터 구분 분석 방법 문의
◦
각 블로그별 랜딩 페이지 효과 측정 방법 확인
•
문제의 배경
◦
여러 블로그를 통한 마케팅 진행 중
◦
각 채널별 성과 측정 필요성 발생
◦
UTM 파라미터 설정 및 GA4 데이터 분석 방법 학습 필요
상담 내용 요약
•
주요 주제
1.
GA4에서 블로그별 유입 구분 방법
2.
UTM 파라미터 설정 방법
3.
GA4 레포트 생성 및 분석 방법
•
상담 내용 세부사항
1.
GA4 레포트 생성 방법
◦
탐색 > 자유 형식 보고서 활용
◦
이벤트 수, 첫 사용자 캠페인, 세션 캠페인 등 측정 기준 설정
◦
페이지 제목, 페이지 위치, 방문 페이지 등 세부 지표 확인 가능
1.
UTM 파라미터 설정 가이드
◦
기본 구조: ?utm_source=네이버&utm_medium=매체특성&utm_campaign=캠페인명
◦
권장사항:
▪
소문자 위주 사용
▪
한국어 사용 지양
▪
블로그별 구분을 위한 캠페인값 차별화
◦
예시:
▪
검색광고: naver_cpc
▪
블로그별 구분: blog_event_1, blog_event_2
1.
데이터 분석 방법
◦
캠페인별 이벤트 추적
◦
랜딩 페이지별 성과 측정
◦
GTM(Google Tag Manager) 활용
결론 및 향후 계획
•
실행 계획
1.
UTM 파라미터 설정 재정비
2.
블로그별 고유 캠페인값 부여
3.
GA4 레포트 템플릿 구성
4.
정기적인 데이터 분석 실시
•
필요 작업
1.
GTM 설치 확인
2.
UTM 빌더 활용 준비
3.
기존 URL 구조 점검
4.
새로운 캠페인 체계 수립
기타 메모
•
추가 참고사항
◦
UTM 파라미터는 내부 협의를 통해 표준화 필요
◦
매체별 특성에 맞는 medium 값 설정 중요
◦
검색광고(SA)와 디스플레이 광고(DA) 구분 필요
◦
콘텐츠별 고유 캠페인값 부여 권장
•
의뢰인 추가 질문
◦
GTM 설치 관련 문의
◦
UTM 세팅 상세 방법 확인 요청
•
특이사항
◦
데이터 분석 툴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보유
◦
실무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 요청
현전 튜터 피드백
주요 내용 및 결정 사항
1.
광고 캠페인 기획
•
토프(TOFU), 모프(MOFU), 보프(BOFU) 3단계 퍼널 전략 수립
•
GTM을 활용한 유입률 측정 계획
•
별도 광고 계정으로 운영하여 기존 인스타그램 광고와 데이터 분리
2.
KPI 설정
•
CTR 70%, CPA 30% 비중으로 KPI 가중치 설정
•
랜딩페이지 유입과 최종 전환 액션 측정 계획
3.
A/B 테스트 계획
•
모프(MOFU) 단계에서 A/B 테스트 진행
•
퍼널 별 차별화된 소재 제작 추천
액션 아이템(실행 계획)
1.
광고 소재 기획 및 제작
•
노션 페이지 랜딩 페이지 제작
•
프로그램별 차별화된 광고 소재 제작
2.
데이터 수집 체계 구축
•
GTM 설정 및 전환 추적 설정
•
기존 트래픽 데이터 분석
향후 일정
•
다음 주부터 광고 소재 기획 착수
•
광고 집행 일정 조기 시작 검토 중
•
KPI, 퍼널 구체화 작업, 필요 자료 수집 등 광고 집행 내용 구체화
기타 전달 사항
•
잘 하고 있다.
•
현전 튜터님을 2조로!
AI 제안
1.
데이터 활용 전략
•
[00:03] 공공기관 데이터 활용 언급에 따라, 통계청 자료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방식의 기획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2.
광고 실행 전략
•
[13:13] 프로그램별 다양한 소재 기획이 언급된 만큼, 초기에는 완전히 다른 버전의 소재로 테스트하여 명확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3.
회의 개선사항
•
다음 회의에서는 각 액션 아이템별 명확한 담당자와 일정을 지정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
KPI 측정 방식에 대한 더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참고
코멘트 이후 시도해볼 Action
1.
랜딩 페이지 제작
2.
광고 소재 제작
3.
고객 퍼널 구체화(Tofu 방법)
4.
필요 자료 수집 및 정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