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확보
국가 통계 포털
데이콘
한국 관광 데이터랩
•
데이터 마켓
네이버 / 카카오톡 / 유튜브 / 캐글 ⇒ 2차
발제 때 알려주신 사이트 조사.. ⇒ 1차
[프로젝트 목표]
•
“본 프로젝트는 기존 고칼로리 가공식품을 저당·저칼로리 밀키트 및 도시락으로 대체하여, 시장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기획과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 핵심내용]
•
가공식품 시장을 조사하고 관련된 성분 정보와 판매 정보 데이터셋을 분석하여 인사이트 도출 예정입니다.
[분석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컬럼 및 내용]
•
기존 시장에 나온 가공식품 데이터
•
가공식품 판매 업체 데이터 (매출, 순이익, 판매량, 판매액, 판매 방식, 물품 구성)
•
밀키트 및 도시락 시장 분석.
•
필요 칼럼 리스트
◦
성별, 가공식품 종류, 제품 가격, 나이, 판매량, 매출, 판매방식, 칼로리
[1차 수급 자료 목록]
•
패스트푸드 → 저당으로
◦
현재 저당소스 , 저칼로리 버거 브랜드 없음
◦
다이어터 사이에서도 햄버거는 먹어도 되기때문에 더 인기가 높아질것같음
◦
◦
◦
◦
◦
특정한 브랜드(ex. 라라스윗)의 정보를 가지고 와서 데이터 분석 후 프로젝트 진행 ⇒ 회사 내부자료는 극비 사항으로 진행하기가 쉽지 않긴 함.
•
특정 사이트에 방문하면 리뷰, 후기에 대한 자료는 가지고 올 수 있을 것 같음.
•
오픈 마켓에 접속하면 “저당/저칼로리”의 카데고리에 해당하는 제품의 가격 및 판매 전략 등을 가져올 수 있음.
•
여기저기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합쳐서 이 데이터가 하나의 특정한 회사의 데이터라고 간주.
◦
실제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생각하고 진행
•
그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지향점, 철학, 판매전략, 상반기/후반기 판매 목적
•
모은 데이터를 분석해봤을 때 데이터와 브랜드의 지향점과의 차이점 분석
•
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제점 확인 → 문제점 해결방안 도출
•
광고 집행 시, 원래 있던 브랜드의 로고, 브랜드 명 이런거를 그대로 사용하면 상업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음으로 변경이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