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0822]프로젝트 최종 기획

Tags
Archive
Main Task
ETA
Sub Task
담당자
생성 일시
2025/08/21 05:18
메모
상태
Closed
생성자
우선 순위
진행률 %
Task : 프로젝트 최종 기획서
진행 내용
알러브영 안에 입점한 브랜드입니다! (자사몰은 없습니다!) ⇒ 데이터를

프로젝트 제목

⇒ 알러뷰영(가제) 데이터 분석 (시장 트렌드 파악 및 자사 제품의 강 약점 파악)을 통한 신제품 마케팅 전략 도출

프로젝트 목표

⇒ 시장 트렌드 파악 및 자사 제품의 강 약점 파악 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 신제품 인지도 증진을 위한 트래픽 전환 유도를 목적으로 한 소재 기획.

문제 정의 (핵심 해결해야 할 것? 질문 1~2개 )

⇒ 신제품의 강점 약점 파악.
⇒ 현재 뷰티 산업 트렌드 파악
⇒ 뷰티 산업 내 자사 브랜드 점유율 확대 및 포지셔닝 재점검

데이터 출처 (관련 링크)

데이터 활용 계획

1. 데이터 전처리 계획
⇒ 활용 컬럼 정리 및 리뷰 데이터&제품 데이터 테이블 병합
⇒ 필요 시, 다른 구매 데이터와 결합 방법 논의
2. 마케팅 전략 구성 계획
⇒ 뷰티 산업 트렌드 자료 & 알러뷰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장 및 경쟁사 분석
→ 자사 브랜드 강점 및 타겟층 니즈 파악
→ 타겟층 니즈를 토대로 신제품 기획
→ 신제품 마케팅 전략 기획 및 광고 집행
3. 리포트 구성 계획 <합격>
1.
프로젝트 개요 - 배경 설정 및 문제 정의 - 브랜드 선정 및 레퍼런스(스킨드링크) 소개 - 목표 수립
2.
데이터 기준 & 분석 (상·하위 %) - 가설 설정 - 스킨케어 그룹 기준 설정 및 분석
3.
브랜드 분석 - 브랜드 데이터 분석 - 강점/약점 및 SWOT - 포지셔닝 설정
4.
마케팅 전략 기획 - 퍼널 분석 및 타겟 설정 - 광고 소재 기획 - KPI 수립
5.
성과 측정 및 향후 과제

예상 결과물 및 기대 효과

1. 리포트 주요 구성 
⇒ 개요(배경 및 문제상황,목표) → 데이터 분석(가설 설정, 시장 및 경쟁사 분석) → 자사 포지셔닝(강점/약점/SWOT) → 마케팅 전략 수립 → 기대 효과 및 향후 과제
2. 소재 구성
⇒ 메타, 구글(변경 가능)
3. 기대 효과 : 프로젝트 완료 후 얻게 될 데이터 인사이트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세요.
⇒ 뷰티 산업 트렌드에 맞는 제품 기획 및 홍보 방향에 대한 인사이트

역할 분담 (각 팀원이 여러 역할을 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역할 재분배가 가능합니다.

데이터 분석 : 진혁, 석민
소재 기획: 유진, 영은
광고 집행: 정민, 유진
성과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 진혁, 석민
PPT 제작 : 정민, 영은
(변경 가능)
<전처리 부분 >
1.
다 같이 데이터 뜯어 보기
2.
전처리 어떻게 할지 노션에 정리해 두기
3.
1명이 전처리 다 해보고 배포!
<튜터님 제안>
미디어 믹스 해보는 것 추천!!!!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 없이 해보는 걸 추천 >
어떤 상품, 기간, 운영 계획을 엑셀에 넣어서 어느정도 효율이 나올 것 같은지. ⇒ 튜터님과 함꼐 해보면 좋을 듯하다.
⇒ 면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랜딩페이지는 만들어 보는 것을 추천 (랜딩페이지 기획서 장석 해보기)
→ 랜딩페이지 유입 후 폼 작성 유도 까지 하는 것을 추천!
→ 랜딩페이지 맨 아래에 카드뉴스 구독 유도도 추천함!
→ 랜딩페이지 구상? ⇒ 사람들이 어디서 반응을 할지?? 생각해 보는 것을 추천.
→ “어떻게 이 광고를 보게 되엇나?” ,” 이 광고가 매력적인가요?” ⇒ 라는 질문을 통해서 점수 달라고 하기
→ 구글 폼에 들어온 사람들은 흥미를 느낀 사람들!! 이기 떄문에 충분히 좋은 경험임!
현재 상황에서는 어떻게 기획하고, 어떻게 생각햇는지에 초점 두기!!
impressions 칼럼에 곱하기 100 하기
구글폼 기준으로 접수 된 비디?!?! 로?? 더 낮게 정하는 것도 추천!!! ⇒ 구한다는 것에 의의 두기!!!!
1.
리서치 해보기 < 시장조사,구글 폼 만들어보기> ⇒ 저도 해보고 싶어여!!!!!!!!
2.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하려고 하는데 어떤 게 더 좋은지 받아보자!!! ⇒ 실 사용자의 의견을 포함 하였다.
예상치를 어떻게 정해야 해요?
1.
새로운 접근일 경우에는 케글에서 따로 캠페인 효율 데이터를 가져오자!!! ( *0.7정도로 계산함)
2.
관련 분야의 평균 cpr*0.7 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 한 달 집행 후 캠페인 전략을 다시 구성한다.
3.
케글에 있는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는 것을 추천 함.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