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진행 방향 (정리본)
1.
오픈서베이·뉴스 리포트 기반 가설 설정
•
예: “20대 여성은 국내 여행보다 해외 여행 선호” (출처: 오픈서베이 2024 여행 리포트)
•
예: “Z세대는 체험형 관광을 선호” (출처: 매체 기사)
→ 출처 명시해서 신뢰성 확보.
→ 팀이 다룰 문제 상황과 마케팅 목표를 정의.
2.
SAV(국민여행조사 등) 데이터로 가설 검증
•
세그먼트별(성별·연령·지역) 여행 지출, 체류일수, 교통수단 분석.
•
데이터 시각화(히트맵, 바 차트) → 리포트에서 제시된 가설과 실제 데이터 비교.
•
“리포트에서 주장한 것 vs 실제 응답 데이터” 차이를 보여주는 게 핵심.
3.
국내외 여행사 상품 벤치마킹
•
Klook, 야놀자,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에서 유사 상품 조사.
•
가격대, 타겟, USP(차별점) 정리.
•
“시장에 이미 이런 상품이 있다 → 우리는 차별화를 어떻게 할까?” 프레임으로.
4.
여행 상품 기획 및 소개
•
데이터 기반으로 타겟·컨셉 정의 (예: 2030 여성, 당일치기 힐링 패키지).
•
광고 전략: KPI = CTR (랜딩페이지 유입률).
•
소재 아이디어: 인스타 릴스/유튜브 숏폼, 네이버 키워드 광고.
•
성과 추적: 소재별 CTR 비교 후 개선 방향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