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정책 참여 경험률도 29.0%에 그쳐, 실제로 정책을 활용하는 청년은 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청년들은 취업 및 일자리 지원(55.4%)을 가장 필요로 하는 정책으로 꼽았고, 구체적으로는 인턴·체험 기회(47.6%), 취업정보 제공(36.9%), 구직 비용 지원(34.9%) 등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홍보 부족 및 정보 접근성 미흡’(42.5%)이 지적되었으며,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는 온라인 채널(64.2%), 언론매체(52.3%)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곧, 청년들이 실제로 가장 필요로 하는 취업 준비 과정과 지원 프로그램이 존재하더라도 정책 인지도·참여율 저조와 홍보 부족으로 인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광주청년 일자리 스테이션 동명은 청년들의 취업 역량을 높이는 멘토링, 자기소개서·포트폴리오 지도, 강점 분석, 모의면접 등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정책의 실제 체감도를 높이는 허브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정책 인지도 및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 데이터적인 사고방식으로 접근하여 마케팅 방안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사용된 리서치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점수 계산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