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TIP!
[4단계 질문 프레임워크]
1.
현재 상황 / 하고자 하는 목표
a.
현재 어떤 작업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하고싶은지를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2.
시도한 방법 / 현재 진행 상태
a.
어떤 방법들을 시도해보았는지 요약해주세요 (참고자료를 같이 가지고 오셔도 좋습니다.)
3.
어려운 점 / 막힌 지점
a.
무엇이 잘 안되는지, 어떤 부분에서 막혔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해주세요.
4.
문제관련 참고 자료 / 관련 코드
a.
관련 코드, 에러메시지, 문제 해결을 위해 참고한 자료 등을 공유해주세요.
팀 질문
•
전체적인 피드백 진행
전반적인 진행사항
•
스프레드시트로 공유
개인 질문
팀 질문 없이 개인 질문 시, 팀 질문은 작성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승인 질문
•
데이터셋의 행 갯수가 어느 정도여야 적합한 데이터셋인지 궁금합니다.
◦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
◦
갯수보다는 인사이트 도출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세희 질문
•
패스트푸드 성분이 나타나 있는 데이터셋을 분석하다 생긴 궁금증인데, 일단 버거와 other로 2그룹으로만 나눠서 비교하며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버거가 중점이라 일단 이렇게 했는데 버거와 치킨 이런식으로 세세하게 비교해 패스트푸드 성분을 제대로 분석하는게 좋은건지 아니면 이대로 마쳐도 괜찮은건지 궁금합니다!
◦
어떻게 나누는게 좋은게 아니라 어떻게 활용할건지가 더 중요함. 활용하는 목적에 따라 생각하는게 좋을것같음
진영 질문
•
저희가 조사하다가 최근 “헬스 페스트 푸드”라고 해서 샐러드, 포케와 같이 건강하지만 빠른 시간 내에 서비스 되는 음식이 떠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페스트 푸드”는 빠르게 서비스 되는 음식으로도 해석되고 조금은 불량한 음식인 인스턴트 푸드를 일컫기도 합니다.
데이터 셋에서 이 2가지 용어가 혼제되어서 나타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저희가 좀 더 중점으로 생각되는 페스트 푸드의 정의를 기준으로 진행해도 괜찮을 까요?
◦
용어를 정리하는게 명확해져서 좋을것같음
◦
인스턴트 = 패스트 푸드, 그 안에 건강한 음식이 포함돼 있으면 다른 이름으로 데이터를 한번 정제하는게 좋을것같음
◦
한번 더 정리하는게 훨씬 좋다
•
기존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걸 기준으로 새로운 고객 데이터를 설정할 텐데 고객 데이터 중 연령대, 성별에 대한 데이터를 구하기 힘든데, 이런 경우 데이터 기반이 아니라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및 방향성을 바탕으로 임의로 설정해도 되나요?
◦
태경 튜터님 : 빠르게 데이터를 찾아내는 거 말고, 10대가 단걸 많이 먹으니까 그들을 위한 건강한 영양성분이 담긴 패스트푸드를 제안한다 느낌으로 가야함
▪
분석하고 타깃 고객에게 필요한 성분들을 도출해내는게 중요한것같다.
•
보내주신 google sheet에서 실험 목표 파트에 있는 내용을 조금 이해하기 힘듭니다.
◦
혹시,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
태경 튜터님 : 최종 구조를 그냥 놔둔거라 지금 당장 답을 내서 맞춰 진행하자 보다는, 데이터셋들에서 나온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이런거 잡아 나가면 좋지않을까 싶어서 적어놓은거
멘토님 코멘트
참고
코멘트 이후 시도해볼 Action
•
수빈튜터님
◦
태경튜터님 의견 동의
•
현전튜터님
◦
•
태경튜터님
◦
각 연령대별로 과하거나 필요한 정보들이 없다
◦
각 연령대별 필요한 영양소와 영양성분 적합도가 도출될것같아 메뉴 구성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가닥을 잡는게 좋을 것 같음
데이터 분석 1차 피드백
1.
연령대별 필요 영양소 뽑을 수 있는 데이터 분석
2.
영양성분 적합도가 높은 데이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