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청년 일자리 스테이션 동명
요약
•
광주 청년 최우선 고민은 취업/일자리(46.6%)이며 정책 인지도는 낮고(23.2%) 절반 이상이 정책을 잘 모름(64.5%)
•
정책 참여 경험률 29.0%로 실제 활용도가 낮음.
•
가장 필요한 정책은 취업·일자리 지원(55.4%)이며 인턴·체험(47.6%) → 정보 제공(36.9%) → 구직비용 지원(34.9%) 순이다.
•
홍보 부족·정보 접근성 미흡(42.5%)이 핵심 문제. 효과적 채널은 온라인(64.2%), 언론매체(52.3%).
•
동명 거점은 멘토링·자기소개서/포트폴리오 지도·강점 분석·모의면접 등으로 정책 체감도를 높이는 취업 지원 허브로 포지셔닝
데이터 전처리 및 시각화 예정 자료(추가 예정)
연령별 세그먼테이션 및 통계 산정 등 진행 예정 + 워드 클라우드
문제 정의
•
청년들의 가장 큰 문제점: 취업/일자리 문제에 대한 실질적 지원 필요 대비 정책 인지도/참여율 저조
•
원인: 홍보 부족 & 정보 접근성 한계
•
결과: 지원 프로그램이 있어도 발견-이해-신청 단계에서 이탈 발생 → 정책 체감도 하락
목표 (Outcome)
1.
광주 청년 스테이션 방문률 개선
2.
프로그램 참여율 제고
3.
홈페이지 AU 증가
핵심 타깃 (Who)
•
광주 지역 취업 준비 청년(대학생·졸업생·미취업 청년 등)
ㄴ 광주 지역 청년 중 청년 대상 일자리 프로그램을 모르거나 ‘어떻게 활용할지’ 모르는 층
•
왜? 15 ~ 39세로 타겟을 설정하였는가? 통계청 기준 15 ~ 29세로 기준되어있고 광주는 15 ~ 39세로 책정되어있다. 그래서 우리는 광주 지역이기에 그에 맞게 따랐다.
https://www.khan.co.kr/article/201912052053035
가치 제안 (What)
•
원스톱 취업 준비 허브: 동명 거점에서 멘토링, 자소서/포트폴리오 코칭, 강점 분석, 모의면접을 패키지로 제공
•
실전형 경험 연계: 인턴·체험 정보, 구직비용 지원 안내를 한 경로에서 탐색 가능
•
낮은 장벽의 초기 진입: 온라인 사전 상담 → 오프라인 집중 코칭으로 이어지는 단계형 설계
프로그램 구성 (How)
1.
1:1 멘토링: 직무/산업 탐색, 로드맵 설계
2.
서류 코칭: 자기소개서/이력서/포트폴리오 첨삭
3.
강점 분석: 역량 진단, 맞춤 개선 플랜
4.
모의면접: 질문은행 + 피드백 리포트
5.
정보 허브: 인턴·체험, 취업정보, 비용지원 안내
메시지/소구점 (Messaging)
•
“정책 몰라서 놓치지 않게, 동명에서 한 번에 해결하세요.”
•
“인턴/체험·정보·비용지원까지, 취업 준비의 필수 3종 세트를 한 곳에서.”
•
“온라인 예약 → 오프라인 집중 코칭으로 바로 결과를 만드세요.”
홍보·채널 전략 (Google Demand Gen 단일 채널)
•
Surface: YouTube & Shorts, Google Discover, Gmail
•
캠페인 구조 (3캠페인/퍼널별)
1.
TOFU — 광범위 관심/인구통계 (브랜드 인지도·방문 유도)
2.
MOFU — 홈페이지 유입 / 리타겟팅
3.
BOFU — 프로그램 의사표현(클릭) / 리타겟팅
퍼널 & 지표 (TOFU / MOFU / BOFU)
단계 | 목표/역할 | 핵심 타깃 | 메시지/오퍼 | 채널/포맷 | 주 KPI | 보조 KPI |
TOFU | 인지도·관심 형성 | 광주 취업준비 청년, 정책 초심자 | 현직자 1:1 무료 멘토링, 합격 자소서 템플릿, 한정 예약 오픈 | Demand Gen(YouTube/Shorts/Discover/Gmail) — | 홈페이지 세션수, CTR | 노출·도달, 조회완주율, 저장/공유수 |
MOFU | 홈페이지 유입 | 랜딩 방문자·저장·스크롤 60%+ / Engaged‑view 시청자 | 무료 멘토링 예약, 모의면접 체험권, 구직비용 가이드 | Demand Gen(리마케팅/데이터 세그먼트) | 홈페이지 CTA 클릭수 / 리타겟팅 | 체류시간, 스크롤 60%+, 이탈구간 |
BOFU | 프로그램 의사표현(클릭) | 프로그램 클릭자 | D‑1 알림 + 체크리스트, 참석 인센티브(템플릿), 합격 사례 | Demand Gen(Customer Match/리마케팅) | 홈→프로그램 클릭률 / 리타겟팅 | NPS, 후기·UGC, 추천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