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슬레저-수민
애슬레저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및 관심 있는 제품
애슬레저에 대한 사람들 인식
평소에 애슬레저룩을 고를 때 고민했던 것들에 대한 의견이 많음
운동에 열공하는 사람들은 아닐 수 있음 (가능성 추측)
→ 유튜브 내용 + 설문조사 내용 대조 후 인사이트 도출
→ 부츠컷 같은 디자인 제품, 소비자가 좋아하는 제품 +로 도출 가능
*전체적으로 구매를 안해본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 탑 퍼널 소재 기획으로 사용 가능할 듯
안다르 리뷰/하울 -윤아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적 반응
원단, 디자인, 소재 등 안다르가 강조하는 부분
구매 의사
안다르 룩북 (브랜드 광고 영상)
소비자가 느끼는 레깅스의 불편함 → 제품을 통한 문제 해결
안다르가 홍보하고 싶은 제품이 무엇인지
일상복이라는 usp를 가지고 광고를 했을 때
어떤 소비자가 영상을 시청하는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별 조합/코디 → 광고 의도에 따른 것
→ 우리가 광고 소재를 기획한다면: 일상복 느낌으로 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
→ 어떤 식으로 광고를 하고 소비자가 어떻게 호응하는지. 일상복에 대한 소비자 긍/부정적 의견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의견은 알기 어려움)
안다르 - 바지 카테고리
안다르 - 레깅스 카테고리
트렌드 데이터 조사 - 유튜브 댓글 크롤링 후 워드클라우드 작업
애슬레저 제품 관련 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설문조사 결과를 적절히 믹스할 예정)
1. 소비자들이 많이 말하는 제품: 애슬레저 의류 중 어떤 구매를 하는지(ex. 조거팬츠, 부츠컷 레깅스 등)
2. 애슬레져 시장에서 어떤 브랜드들이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가?
3. 애슬레져 시장에서 사람들이 의류를 볼 때 어떤 것을 중점으로 보는가? (Ex. 편해야 한다, 예쁜게 좋다)
4. 사람들이 애슬레저 브랜드들을 보면서 나눈 의견 -> 안 사본 사람이 많다, 외형적인 것만 보고 댓글을 많이 담
결론: 탑 퍼널 광고 소재 기획 시 적절한 정보
안다르 룩북 영상(광고 포함)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설문조사 결과를 적절히 믹스할 예정)
1. 안다르가 현재 밀고 있는 제품, 판매하고 싶어하는 제품 =
2. 일상복으로도 혼용이 가능한 안다르 제품에 대한 코디 및 반응(어떤 방식으로 코디를 원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음)
3. 레깅스에 대해 불편한 점을 이야기 하고 -> 부츠컷이나 와이드핏이 나와서 일상에서도 입을 수 있다
4. 안다르가 현재 일상복 위주의 제품으로 광고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볼 수 있음
결론: 현재 안다르가 밀고 있는 광고 소재 및 이에 맞는 소비자의 반응 파악
안다르 리뷰/하울 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
안다르 제품과 관련된 Pain point
•
소비자들이 안다르 제품을 볼 때 생각하는 것
•
긍정/부정 반응과 구매의사
•
할인의 민감도 정도
결론: 안다르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부정적인 의견 도출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것에 대한 의견
1. 운동복/필라테스복/요가복 으로 검색했을 때 조회수 기준(내림차순)으로 유튜브 영상 썸네일 및 제목 크롤링
(목적: 사람들이 어떤 내용에 반응하는지 알기 위해서)
2. 카테고리별 제품 리뷰 크롤링
(목적: 카테고리 별로 각 브랜드의 pain point 도출, 카테고리별로 어떤 브랜드가 많이 언급되는지, 운동복 시장에서 안다르의 입지는 어느정도인지)
레깅스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