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

프로젝트 최종 정리

Tags
2주차
Archive
ETA
Main Task
Sub Task
담당자
링크
메모
상태
Done
생성 일시
2025/08/28 01:34
생성자
우선 순위
진행률 %
목차

주제 “ 패스트 푸드

패스트 푸드
핵심
저렴하면서 빠르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언제 어디서든 먹을 수 있는 간편식
문제
한끼 식사로 먹는 햄버거 세트의 열량이 한끼에 권장되는 열량을 39% 초과
패스트푸드는 열량이 높아 비만을 야기시키고, 포화지방이나 트랜스지방과 같은 신체에 유해한 지방의 함량이 높기 때문 → 패스트푸드를 자주 섭취할 경우 당뇨병이나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짐
주 2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약 27% 정도 높고, '관상동맥 심장질환(CHD)'으로 사망할 확률이 56%나 높음
한편, 유기농재료를 사용하거나 몸에 좋은 기름에 튀긴 패스트푸드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패스트푸드가 가지고 있는 건강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안되며, 불가피하게 먹어야 할 경우에는 건강에 유리한 방향으로 먹을 수 있도록 조리방법을 보완하는 것이 좋다. 소스를 저당으로 변경!
타깃
z세대 = 15~36세
1인 가구, 건강 라이프 선호
배달(주 2회이상) , 외식 및 테이크 아웃을 좋아함.
다이어트 및 건강관리에 관심이 많음.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음 = ‘헬시플레저’
제품 기획
소스 선택 가능 → 저열량 소스 / 일반 소스
기존의 햄버거보다는 저열량/저칼로리로 구성.
<gpt 소스>
“저당의 반전: 햄버거에서 찾은 건강”
“패스트푸드의 재발견: 저당으로 즐기는 건강식탁”
“No Sugar, New Burger: 건강을 입다”
“정크에서 헬시로: 저당 햄버거 실험”
“저당으로 바꾸는 한 끼, 새로운 패스트푸드”
“Healthy Bite: 저당 버거 프로젝트”
“패스트푸드의 진화, 저당의 식탁”
광고 아이디어
영상 : 햄버거 직접 구매해 촬영 // 릴스 or 스토리 광고 집행시 영상으로 소재 제작해 진행
영상 : 키오스크 (기존과 저당 칼로리 차이)
게임처럼 진행 - ex) 테트리스
주문 시 → 원래 칼로리에서 저당 소스를 넣으면 얼마나 떨어지는지를 보여줄 수 있게 구성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 - 영화 시나리오 > ai - midjourney
레퍼런스
맥도날드 - 버거킹보다 우리가 칼로리가 작다는걸 강조하며 광고
제품 아이디어
번 → (단백질 번/ 귀리번)과 같이 기존의 번보다 칼로리가 낮은 번 선택지 제공
필요한 칼럼
햄버거 이름, 햄버거 칼로리, 성분 (당성분), 가격, 원하는 사이드, 음료, 구매 시간대
햄버거 이름, 고객 리뷰
경쟁사 비교 (비슷한 포지션의 업체)

프로젝트 활용할 식품 트렌드 정리

패스트푸드 업계 트렌드

단백질 소비 증가 : 버거 패티
소스 혁신 : 올해 패스트푸드 업계에서 독특한 소스들이 인기를 끌 것
지속가능성 : 저칼로리 등 다양한 옵션이 현대 외식산업의 주요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참고용
햄버거 다이어트
불황에도 혼자 웃는 햄버거, 고물가 속 ‘가성비 한끼’로 주목

식품 업계 트렌드

1%의 변화면 충분, 원포인트업
완전한 비건이 아니더라도 채식 위주의 식사를 실천하는 움직임이 늘며 간식을 선택할때도 단백질이 포함된 간식으로 먹으려고 노력하는 작은 변화들이 시작되는 중 ⇒ 주문할때 소스 일반소스와 저당 소스를 선택하는 옵션을 만든다고 했으니까 이때 이 트렌드를 뒷받침해도 좋을것같음
헬시 플레저 ⇒ 사찰 버거와 같은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극락버거와 같이 비건 버거의 콜라보예시도 구체화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제로 칼로리 식품 : 설탕 대신 인공 감미료 사용해 단맛을 낸 식품
맛과 건강을 함께 챙기는 '헬시 플레저'에 대해 높아진 관심을 반영하듯 '저당'이라는 검색어의 비중이 전년 대비 230% 이상 급상승
축산에도 제로 열풍 시작 :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유통 채널 최초로 제로슈거 양념 불고기 출시 ⇒ 소스 뿐만 아니라 고기패티에 양념이나 튀김 양념에도 제로를 접목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
토핑경제(All About the Toppings)
마라탕, 요아정(요거트 아이스크림의 정석) 등 요즘 시장에서 잘되는 상품의 공통점은 뭘까? 휴대전화, 가방, 운동화에 텀블러까지 소비자들이 무엇이든 꾸미려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본품보다 추가하거나 부가적으로 더해지는 게 중요하다는 점이다. 피자에 비유하면 도우보다 토핑이 중요하다. 구매 그 자체보다 구매 후 직접 나만의 것을 완성해 가는 재미를 찾는 소비자의 심리를 이해해야 한다.

데이터셋 분석 인사이트

성분 → 핵심데이터

음식 별 성분 정보
전국통합식품영양성분정보_음식_표준데이터.csv
4.4 MB
결과
햄버거가 다른 종류의 음식 종류 데이터와 다른 점
칼로리
코랩 링크 : link iconGoogle Colab
식품 대분류 코드 (01) = 밥류
식품 대분류 코드 (02) = 식품 대분류명 (빵 및 과자류)
식품 대분류 코드 (03) = 식품 대분류명 (면 및 만두류)
식품 대분류 코드 (04) = 식품 대분류명 (죽 및 스프)
식품 대분류 코드 (05) = 식품 대분류명 (국 및 탕)
식품 대분류 코드 (06) = 식품 대분류명 (찌개 및 전골류)
인사이트
link iconFastfood Nutrition → 패스트 푸드 관련 정보가 성분이랑 함께 담긴 데이터 BUT, 당분 관련 내용은 X
결과
다른 패스트푸드와 비교
코랩 링크 : link iconGoogle Colab
인사이트
맥도날드 메뉴 분석 + 영양성분 한끼 권장량 비교
버거 별 한끼 권장량 성분 비교
카테고리 별 칼로리, 당류 산점도 (버거만)
카테고리 별 콜레스테롤, 칼로리 산점도 (버거만)
카테고리 별 콜레스테롤,포화지방 산점도 (버거만)
카테고리 별 나트륨, 칼로리 산점도 (버거만)

고객(배달) → 서브 데이터

인사이트
요일별 매출 , 주문량 비교
나이
음식별 정리
음식 종류 별 연령대, 성별 분포
아이템별 성별 평균 가격
성별 - 남자가 더 많음 → 다이어트 하는 여자들을 불러와 더 높이겠다
인사이트
버거 가격 평균 → 높게 구매한 사람과 낮게 구매한 사람
인사이트

리뷰

인사이트
감성
요인
특이점
긍정
맛있음, 메뉴 다양성, 양 많음, 경험 즐거움, 가격 대비 가치
일부 리뷰에서 여행/거리 강조(“5000마일을 여행해서도 올 가치”)
중립/긍정
선택 가능, 메뉴 구성
버거를 선택한 사람/아침 식사 등
부정
버거 조리 상태(과익힘),버거 익힘 정도
일부 리뷰에서 버거 상태 불만
특수
글루텐프리 피자, 비건 메뉴, 전채 요리
건강/식이 옵션 제공
link iconMcDonald's Store Reviews ⇒ 맥도날드 매장 리뷰
별점별 비율 (1등: 1점 / 2등: 5점)
감성분석 (워드클라우드) - 긍정 / 부정 키워드 따로
세희 분석
인사이트
link iconMcDonalds Yelp! Reviews ⇒ 맥도날드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한 고객의 평점, 리뷰, 도시, 감정 등에 대한 내용.
부정 키워드
코랩 링크 : link iconGoogle Colab
인사이트

전체 데이터 인사이트

당은 낮으나 안 먹는게 좋으니 줄이는게 낫다.
콜레스테롤,지방,나트륨은 항상 높음.
고객들의 리뷰에서 “메뉴가 다양해서 좋다/특별메뉴”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대다수 ⇒ 메뉴 옵션 다양화
고객의 비율이 남성이 더 많으며,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의 비율이 높다. ⇒ 여성고객 유치를 집중으로 함.
샐러드와 같은 사이드 메뉴에서 여성의 구매력이 높았기에 “헬시플레저”라는 트랜드에 발맞춰 샐러드와 같이 건강을 챙길 수 있는 방법 강구 필요.
10~30대, 50대에서 6대 4정도의 비율로 나름 고른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 10~30대 주 타겟 / 50대 서브 타겟
남성 / 여성의 높은 구매가 이뤄지는 날짜에는 변동이 있었지만 동일하게 수요일에 높았다.
아침 8시, 점심시간, 저녁 8시 쯔음에 구매량이 급격히 상승했다. ⇒ 시간대별 수요가 다르기에 시간대별 이벤트 구상 (eg. 할인 이벤트 / 한정 메뉴)
최종 아이디어 후보
저염패티 → 패티에 소금 없는 옵션 ⇒ 패티 종류 일반식/저염식
요일별 할인 / 시간대별 할인
요일별 한정 이벤트 (한정 메뉴 or 세트 구성)
저당소스

경쟁사 분석

패스트 푸드 브랜드 조사

햄버거
버거킹
프랭크버거
맥도날드
롯데리아
피자
도미노피자
파파존스
치킨
60계
푸라닭
굽네치킨

시장 분석

시장 규모
수요
건강
고객 성향
핵심 인사이트
1. 가성비 vs 프리미엄 전략의 중간점을 찾는게 중요 2. 배달, 포장의 시장이 커지는 만큼 그에 맞는 마케팅이 필요함. 3. 1인 가구가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이기 때문에 1인 메뉴에 집중 (+ 사이드) 4. 패스트푸드에서 건강을 찾는 프리미엄 전략이 먹힐 것으로 보임. 5. 패스트푸드에서 개선되기를 바라는 것은 영양, 위생, 가격 → 개선 필요 6. 섭취 빈도는 20~30대가 가장 많음 (가성비) →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 건강과 가성비를 함께 챙기는 소비자들 등 현재 주 소비층과 더불어 ‘건강’이라는 트렌드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야 함.
하루 당섭취량 - 성별에 따른 차이
남성: 하루 최대 37.5g
여성: 하루 최대 25g
지방 함량도 줄인 소스를 하는게 좋을것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