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브랜드 소개
맥도날드를 선택한 이유
•
성별 선호도 분석 결과 1위( 남성 42%, 여성 58% )
•
브랜드 트렌드지수 1위
팀 소개
패스트 푸드 배경
배경
•
◦
햄버거 세트 1회 섭취시 한끼 권장 열량 39% 초과
◦
패스트푸드의 높은 열량은 자주 섭취시 당뇨병이나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짐
•
◦
약 2.5만명의 한국인 비건 → 패스트푸드 체인점 더 건강한 메뉴 아이템 도입 중
•
◦
탄단지 구성이 완벽하다.
업계 현황 및 전망
+ 긍정적인 현 상황도 가져오기 (페스트푸드의 구성이 탄/단/지 완벽)
•
시장 규모 :
더외식
◦
현재 국내 버거 패스트푸드 시장은 4조1천500억원 규모 → 2028년 약 5조원 규모로 성장 예상
문제 정의
배경
자사 데이터 앱의 별점이 떨어졌다.
⇒ 월별로 나눠서 변동성 보여주기 (2개)
+ 별점( 기준 : 2030 기준 ) ⇒ 배달정보가 있는 고객 데이터에서 추출 가능
1. 문제 확인
1점이 왜 이렇게 많을까? (가장 높은 비율 차지)
2. 리뷰 상세 카테고리 확인
맛에 대한 부정적인 리뷰가 높았다. → 그래서 리뷰의 키워드를 확인하기로 했다.
3. 1점에서 가져온 부정키워드 확인
맛에 대한 평가 중 짜다의 비율이 높게 나왔다. → 왜 햄버거에 짜다라는 부정 리뷰가 많을까?
4. 영양성분 비교
•
식품 종류별 영양성분 비교
다른 식품군에 비해 버거의 나트륨양은 평균에 속한다.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당류는 다른 식품 군에 비해 높았다.
•
패스트푸드 브랜드별 버거 영양성분 비교
맥도날드의 당류가 가장 높았다.
브랜드별로 따져보았을때, 맥도날드의 나트륨 양은 타 브랜드에 비해 낮았다. → 근데 왜 고객들은 짜다고 느꼈을까?
•
나트륨, 당류
한끼 권장량 대비 비율을 보았을때, 나트륨양은 한끼 권장량보다 평균 135.1% 높았다.
승인 : 평균 권장량 구하기
문제 정의 결론
•
맥도날드의 햄버거는 당이 높고, 나트륨은 한끼 권장량대비 평균 135.1% 높은 결과가 나와서 성분 구성이 좋지 않았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식품 트렌드
외식 트렌드
•
출처 : 2024 국내외 외식 트렌드
식품 업계 트렌드
•
◦
1%의 변화면 충분, 원포인트업
▪
전격적인 변화나 거창한 목표보다 도달할 수 있는 작은 목표로 성취감을 쌓아가는 행동
▪
키워드 :( 사진 대체 )
▪
( 발표 설명 ) 원포이트업 예시는 요리에 따라 소금의 종류를 달리 쓰고 샐러드엔 향이 좋은 고품질의 올리브유 한 방울을 더 하는 등 한 끗 차로 업그레이드되는 풍미를 즐기는 것도 원포인트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토핑경제(All About the Toppings)은 “추가 선택”이다.
▪
피자에 비유하면 도우보다 토핑이 중요하다. 구매 그 자체보다 구매 후 직접 나만의 것을 완성해 가는 재미를 찾는 소비자의 심리를 이해해야 한다.
▪
상품과 서비스의 부수적 요소인 토핑이 핵심 경제 요소로 부상한 현상
▪
키워드 : 커스터마이징
▪
( 발표설명 )본품보다 추가하거나 부가적으로 더해지는 게 중요하다. 업종에 상관없이 소비자가 상품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꾸밀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해야한다.
•
◦
헬시플레저
▪
‘건강한(Healthy)’ + ‘기쁨(Pleasure)’을 합쳐 건강을 즐겁게 관리한다는 의미
▪
키워드 : 건강관리, 자기계발, LOW FOOD
▪
( 발표 설명 )MZ세대에게 있어서 건강관리란 단순히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을 넘어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자기개발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먹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고 절제하지 않고 밀가루나 쌀가루 대신 곤약을 사용한 떡볶이나 면, 두부로 면을 만드는 파스타 등 대체 식품을 활용해 건강하게 즐깁니다. 또, 제로칼로리 음료나 글루텐 프리 간식처럼 특정 성분을 빼거나 줄인 ‘로 푸드(Low Food)’를 선택합니다
*참고용
•
햄버거 다이어트
‘불황에도 혼자 웃는 햄버거, 고물가 속 ‘가성비 한끼’로 주목’
문제 해결 방안
패스트푸드 트렌드
•
◦
단백질 소비 증가 : 버거 패티
◦
소스 혁신 : 올해 패스트푸드 업계에서 독특한 소스들이 인기를 끌 것
◦
지속가능성 : 저칼로리 등 다양한 옵션이 현대 외식산업의 주요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 분석
•
샐러디
샐러디 저당 소스 바꾼거 > 사례 찾아 넣기
소스에 당이 굉장히 높다는 논문 찾기
기존 + 소스 업그레이드 옵션 레퍼런스 찾기
1. Heinz Tomato Ketchup
•
오리지널 케첩 → 이후에 “Reduced Sugar & Salt” (저당·저염) / “No Added Sugar & Salt” (제로버전) 라인업 추가.
•
소비자가 ‘기존 맛은 유지하고 싶지만 설탕은 줄이고 싶다’는 니즈 때문에, 오리지널은 유지하면서 저당 옵션을 붙였어요.
2. Coca-Cola / Pepsi (음료지만 동일한 패턴)
•
원래는 코카콜라, 펩시 오리지널만 있었음. 이후 다이어트 콜라, 코카콜라 제로슈거 같은 ‘저당/무당 옵션’이 추가됨.
•
즉, 오리지널을 없애지 않고 선택지로 확장한 대표적인 케이스.
제품 기획
•
옵션 추가 : 저당 & 저염 소스
목표
KPI 정하기
타깃
여성을 타깃으로 한 근거 ( 논문 및 자료에서 끌어오기 ) : 여성이 더 다이어트 및 건강에 민감하다
마케팅 방안 = 실행 전략
•
마케팅 방안 참고용
◦
데이터셋
•
음식 종류별 영양 성분
•
•
•
•
수요
패스트푸드점 만족도, ‘맛·메뉴’ 높고, ‘가격’은낮아 - KFC·맥도날드·버거킹 순으로 만족도 높아 -
"2024년 배민 이용자 월 평균 약 3.5회 배달 음식 주문"
수수료 인상이 부른 ‘자사 앱’ 경쟁...‘햄버거’는 성공, ‘피자’는 난항?
불황 속 질주하는 햄버거 시장 ‘한 끼 이상의 가치’를 잡다
2025년 햄버거 시장의 변화와 경쟁 구도 재편: 버거킹, 맘스터치, 한국맥도날드의 전략적 분석
•
배달 어플, 자사 앱 등 비대면 주문 방식이 대세
◦
할인쿠폰, 모바일 쿠폰, 적립 프로그램 이용률 증가
•
햄버거 시장은 현재 양극화 되어 있음
◦
가격이 저렴한, 끼니를 떼우기 위한 가성비 햄버거
◦
재료의 고급화가 진행된 프리미엄 햄버거
•
맛은 상향 평준화 되어 있음.
•
다양한 메뉴 개발에 많은 힘을 들이고 있음.
건강
패스트푸드의 영양함량 및 섭취실태 조사
햄버거 한 개, 혈당과 중성지방 어떻게 될까?
중학생의 생활습관, 식습관, 음식 선호도 및 식사빈도가 단맛 민감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맥도날드 (한국 공식 ‘영양분석표’)
•
현재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고 있음.
•
햄버거는 나트륨 함량, 지방 함량이 한끼 식사량에 비해 높은 편.
•
햄버거를 먹었을 때 혈당이 80 상승함.
•
영양성분을 확인하고 선택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음.
고객 성향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점 가격정보 제공 실태조사
"고객층 소비패턴 바뀌면 패스트푸드도 변해야죠"
햄버거 프랜차이즈 만족도, ‘주문과정’ 높고 ‘가격·부가혜택’ 낮아요
연령대별 자주 가는 외식업종 달라…2030 선호하는 건?
패스트푸드 소비 30~40대 남성이 주도한다
연령에 따른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선택, 만족도 비교
양극화 깊어진 美 외식업계…패스트푸드 지고 캐주얼 다이닝 떴다
맥도날드·피자헛, 美 외식업계 ‘5달러 메뉴’ 경쟁 가열
국밥 만원 시대 그에 반해 햄버거 가격은 왜 그대로 일까
온라인 마케팅 동향 리포트_패스트푸드
•
햄버거를 소비하고 있는 고객의 대부분은 저소득층
•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높은 편
•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패스트푸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음.
•
20-30대는 술집, 40-50대는 분식, 패스트푸드점을 이용 많이 함.
•
50대 이상은 건강과 영양을 고려한 메뉴 선택을 하는 편
•
12,18시 식사 시간에 이용하는 고객이 대부분.
◦
점심시간 : 직장인 / 저녁시간 : 가족 단위 방문 / 심야시간 : 야식
1. 가성비 vs 프리미엄 전략의 중간점을 찾는게 중요
2. 배달, 포장의 시장이 커지는 만큼 그에 맞는 마케팅이 필요함.
3. 1인 가구가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이기 때문에 1인 메뉴에 집중 (+ 사이드)
4. 패스트푸드에서 건강을 찾는 프리미엄 전략이 먹힐 것으로 보임.
5. 패스트푸드에서 개선되기를 바라는 것은 영양, 위생, 가격 → 개선 필요
6. 섭취 빈도는 20~30대가 가장 많음 (가성비)
→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 건강과 가성비를 함께 챙기는 소비자들 등 현재 주 소비층과 더불어 ‘건강’이라는 트렌드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야 함.
데이터 분석
타깃 설정
•
20대30대
•
성별 = 여성
•
건강 라이프 / 다이어트 선호 = ‘헬시플레저’
•
(광고 돌리는건 전체 → 성과보고 좁히기)
가격 형성 자료 모음
마케팅 방안에 사용할 수도 있는 자료 모음
경쟁사 분석
햄버거 브랜드 조사
햄버거
버거킹
프랭크버거
맥도날드
롯데리아
•
마케팅
제품 기획
•
소스 선택 가능 → 저열량 소스 / 일반 소스
•
기존의 햄버거보다는 저열량/저칼로리로 구성.
<gpt 카피라이팅 참고 자료>
“저당의 반전: 햄버거에서 찾은 건강”
“패스트푸드의 재발견: 저당으로 즐기는 건강식탁”
“No Sugar, New Burger: 건강을 입다”
“정크에서 헬시로: 저당 햄버거 실험”
“저당으로 바꾸는 한 끼, 새로운 패스트푸드”
“Healthy Bite: 저당 버거 프로젝트”
“패스트푸드의 진화, 저당의 식탁”
광고 아이디어
•
영상 : 햄버거 직접 구매해 촬영 // 릴스 or 스토리 광고 집행시 영상으로 소재 제작해 진행
•
영상 : 키오스크 (기존과 저당 칼로리 차이)
◦
게임처럼 진행 - ex) 테트리스
◦
주문 시 → 원래 칼로리에서 저당 소스를 넣으면 얼마나 떨어지는지를 보여줄 수 있게 구성
•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 - 영화 시나리오 > ai - midjourney
레퍼런스
•
맥도날드 - 버거킹보다 우리가 칼로리가 작다는걸 강조하며 광고
제품 아이디어
•
번 → (단백질 번/ 귀리번)과 같이 기존의 번보다 칼로리가 낮은 번 선택지 제공
필요한 칼럼
•
햄버거 이름, 햄버거 칼로리, 성분 (당성분), 가격, 원하는 사이드, 음료, 구매 시간대
•
햄버거 이름, 고객 리뷰
•
경쟁사 비교 (비슷한 포지션의 업체)
퍼널분석
•
후보1. 건강 → 다이어트 좁혀가는 느낌으로
•
후보2.
건강, 다이어트 키워드를 같이 가져가도 좋을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