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르는 단기 광고 효율 최적화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퍼널 전 단계에서 브랜드 인식과 구매 전환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
특히 인지 단계에서는 “일상복처럼 입을 수 있는 애슬레저 브랜드”라는 포지셔닝을 명확히 각인시키고, 이후 단계에서는 USP와 소비자 공감 내러티브를 결합한 크리에이티브 기획을 통해 지속적 탐색·재구매로 이어지는 매출 성장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특히 메인 시장에서 “일상복처럼 입을 수 있는 애슬레저 브랜드”라는 포지셔닝을 명확히 각인시키고, 서브 시장에서는 USP와 소비자 공감 내러티브를 결합한 크리에이티브 기획을 통해 지속적 탐색·재구매로 이어지는 매출 성장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Not To Do
•
원가를 의심하게 하는 정도의 프로모션
◦
예시) ToFu에서 할인 민감형 유저
•
안다르 포지셔닝 자체가 ‘일상복’에 가까우므로, 짐웨어나 운동을 강조하는 페르소나 또는 광고 소재 기획 지양
•
연령대 포지셔닝 제한
◦
특정 연령대에 국한하기보다 broader targeting 유지
가격만으로 브랜드를 소구하지 않는다
“1+1 특가, 무조건 싸다” 같은 카피 → 안다르 포지셔닝(일상복 기반 애슬레저)과 충돌
지나친 프로모션 강조 → 원가 신뢰도 흔들림
-> 즉, ‘싸서 산다’는 순수 가격 민감형 페르소나는 제외
But, BoFU에서는 ‘합리성’은 고려 가능
소비자 심리는 “싼 게 좋다”가 아니라 → “내가 쓰는 돈이 납득 가능해야 한다”
명품 직구 사례처럼, 고가라도 합리적으로 샀다는 확신이 있으면 전환으로 이어짐
-> BoFU 단계에서는 가격 민감이 아니라 가치 대비 합리성을 자극하는 메시지는 허용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