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및 결정 사항
1.
데이터 분석 현황
•
MDIS 로우 데이터 확보 및 전처리 완료
•
광주 지역 실업률, 청년 정책 관련 데이터 분석 완료
•
광주 청년 실업률 8.11% (전국 평균 2.11%, 청년 평균 7.46% 상회)
1.
프로젝트 방향성 재정립
•
기존: 광주 취업률/일자리 중심 → 변경: 취업 준비 프로그램 홍보 중심
•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의 실제 제공 서비스(교육, 멘토링 등)에 맞춘 홍보 전략 수립 필요
액션 아이템(실행 계획)
1.
데이터 보강 작업
•
취업 준비 프로그램 카테고리별 분류 및 정리 (담당자: 미정, 기한: 목요일)
•
네이버 키워드 도구를 활용한 취업 준비생 니즈 분석 (담당자: 미정, 기한: 목요일)
•
NCS 직업별 훈련 카테고리 참고하여 데이터 구조화 (담당자: 미정, 기한: 목요일)
1.
프레젠테이션 수정
•
광주 취업 관련 데이터(10-13페이지) 재구성 필요 (담당자: 미정, 기한: 목요일)
•
청년 정책 참여율 데이터 중심으로 내용 재구성 (담당자: 미정, 기한: 목요일)
향후 일정
•
목요일 전 중간 점검 회의 예정 (시간 미정)
•
목요일 최종 발표 예정
•
없음
AI 제안
1.
데이터 활용 방안
•
[01:34] 시점의 논의를 보면 실업률 데이터와 프로그램 내용이 불일치하므로, 청년 정책 참여율(29%)과 프로그램 제공 현황을 중심으로 데이터 재구성이 필요합니다.
•
[31:27] 시점에서 제안된 네이버 키워드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취업 준비생들의 실제 니즈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1.
회의 개선 사항
•
회의 초반부에 프로젝트의 실제 목표와 available 데이터 간의 gap이 있었습니다. 다음 회의 전 자료 공유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담당자 지정이 명확하지 않아 실행 계획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합니다. 다음 회의에서는 각 액션 아이템별 담당자를 명확히 지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