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 “마케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상상해 보자”
1단계: 시장·타겟 분석 문제점
•
데이터 불충분·왜곡 : 패션 트렌드의 급속한 변화로 리서치 데이터가 금방 구식이 됨
•
MZ세대의 다변화된 취향으로 명확한 세분화가 어려움
•
경쟁사 벤치마킹 오류 브랜드 고유성 상실이나 차별화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
2단계: 브랜드 포지셔닝 & 메시지 개발 문제점
포지셔닝 혼재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불명확
•
‘지속가능성’과 ‘합리적 가격’ 상충하는 메시지를 동시에 내세울 경우 메시지가 모호해져 소비자가 혼란을 겪음.
•
톤앤매너 부적합: 시즌별 컬렉션 변화에 따른 메시지 혼선, 메시지가 일관성이 없어짐. 논란이 되는 키워드나 표현을 잘못 사용할 위험.
3단계: 콘텐츠 제작 문제점
•
제작 리소스 한계
◦
고품질 화보/영상 제작 비용 대비 ROI 불확실성
◦
인플루언서 협업 시 브랜드 컨셉과 개인 스타일 간의 부조화
◦
콘텐츠 과잉·중복: SNS 채널별로 같은 콘텐츠를 변형 없이 게시하면 소비자 피로도 증가.
•
콘텐츠 차별화 어려움
◦
유사한 패션 아이템의 비슷한 연출로 브랜드 개성 부족
◦
계절성 상품의 제한된 스토리텔링 소재
◦
저작권 이슈(음악, 이미지) 및 모델 초상권 문제
4단계: 광고 집행·채널 운영 문제점
•
패션은 시즌성이 강한데 타이밍을 놓치면 광고 효율 급락. (예: 여름 시즌 광고를 늦게 집행)
•
CRM 운영 미흡함으로 앱푸시 알림 등 과도하게 발송하면 고객 부담 가중 및 브랜드 가치 훼손 우려
•
틱톡/인스타그램 등 플랫폼별 알고리즘 변화 대응 지연, 멀티 채널 운영 복잡성 증가
•
온라인 브랜드 경험과 오프라인 체험 간의 일관성 부족
5단계: 성과 측정 & 피드백 문제점
측정 지표의 복잡성
•
조회수, 좋아요는 높지만 실제 매출 전환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
•
ROI 산출 어려움: 패션 브랜드는 이미지·브랜딩 효과가 크지만, 이를 수치로 환산하기 어려움.
피드백 반영 지연:
•
패션 업계의 시즌성으로 인한 개선 사항 적용 시점 제한
1순위 문제 & 해결책
•
브랜드 아이덴티티 불명확 (2단계)
→ 브랜드 핵심 가치 3개 이하로 축소 → 소비자 인식에 혼란을 줄임.
•
광고 효율 저하·타이밍 미스 (4단계)
→ 시즌별 마케팅 캘린더를 제작해 패션 시즌(SS, FW, 한정 컬렉션)과 광고 집행 시점을 사전에 고정. 주요 캠페인은 최소 3개월 전 기획
•
성과 지표 왜곡 (5단계)
→ 단순 조회수/좋아요 대신 전환율·ROAS·재구매율 중심 KPI 설정.
→ 캠페인 목표를 브랜딩형 vs 퍼포먼스형으로 분리해 성과 측정.
2순위 문제 & 해결책
•
데이터 불충분·왜곡 (1단계)
→ 내부 구매 데이터 + 패션 리서치 리포트(Trend Report, WGSN 등) 병행 활용
•
CRM 운영 미흡 (4단계)
→ 고객 데이터를 세그먼트(충성고객·신규·이탈 위험)로 나눠 맞춤형 메시지 발송.
→ 간단한 취향 설문을 통한 초기 세분화 개선
→ 푸시 알림 개인화 (이름, 최근 본 상품 활용)
•
데이터 사일로 (5단계)
→ 온라인몰, 오프라인 POS, CRM 데이터를 통합하는 CDP(Customer Data Platform) 도입.
→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 매출/전환 추적 가능하게 구축
3순위 문제 & 해결책
•
세분화의 한계 (1단계)
→ 단순 연령/성별 구분 → 라이프스타일/가치관 기준 세분화 강화. (예: 미니멀리스트·Y2K 트렌드 소비자)
•
콘텐츠 과잉·중복 (3단계)
→ 채널별 콘텐츠 포맷 최적화 (인스타=룩북, 틱톡=숏폼, 유튜브=브랜딩 필름)
•
제작비·일정 압박 (3단계)
→ 내부 크리에이터 팀 + 외부 제작사 하이브리드 운영으로 비용 분산.
•
오프라인 이벤트 리스크 (4단계)
→ 온라인 RSVP 예약제 운영
•
피드백 반영 지연 (5단계)
→ 대규모 캠페인 전 소규모 테스트(프리런칭 광고) 후 빠른 개선
구분 | 브랜드 | 플랫폼 |
성공 요인 | 일관된 아이덴티티와 스토리텔링 | 데이터 기반 개인화 + 커뮤니티형 콘텐츠 |
실패 요인 | 트렌드에 치우쳐 정체성 훼손 | 차별화 부족, 할인 중심 마케팅 |
교훈 | "누구인지"에 집중해야 한다 | "누구에게 무엇을"에 집중해야 한다 |
스크럼 :
패션 마케터에서도 쇼핑몰을 할지 브랜드를 할 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이 다르다. 브랜드는 브랜딩을 더 강화하여 브랜드 자체에 타격이 가지 않도록 탄탄하게 준비해야 하고, 쇼핑몰은 고객 데이터를 중심으로 맞춤형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용어
•
CDP(고객 데이터 플랫폼**): 여러 소스에서 수집된 고객 데이터를 통합해, 개별 고객의 행동·구매·인구통계 등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일관된 프로파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데이터 사일로: 조직 내 데이터가 부서·시스템별로 고립되어 공유되지 않는 현상
•
RSVP : 주로 초대장이나 행사에서 참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