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난 논의에서 안다르의 '운동+일상' 메시지가 소비자의 '일상' 개념과 충돌하며 설득력을 잃고 있다는 문제를 명확히 했습니다.
이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상'을 새롭게 정의하고,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 두 가지 과제에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말 동안 해야할 것 !
1. 소비자 행동에 기반한 '일상' 정의하기
•
소비자 행동 분석: 소비자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 옷을 언제, 왜 갈아입는지 등 구체적인 행동 양식을 분석해 주세요. 단순히 '편안함'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넘어, '언제, 어디서, 왜' 안다르를 입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아야 합니다.
•
상황별 니즈 파악: 각 상황에서 소비자가 옷에 기대하는 기능(예: 업무 중 편안함, 외출 시 스타일)을 파악하고, 안다르 제품이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페인 포인트를 찾아주세요.
2. 경쟁 브랜드의 '일상' 정의 방식 분석하기
•
경쟁사 분석: 다른 브랜드들이 '일상복'을 어떻게 정의하고 마케팅하는지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
SPA 브랜드: 이들은 어떤 가치를 내세우는지 (예: 합리적인 가격, 기능성 소재)?
◦
애슬레저 브랜드: 이들은 '스타일'과 '기능성'을 어떻게 결합해 어떤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지?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경쟁사와 겹치지 않는 안다르만의 독점적 포지셔닝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대하겠습니다. > 킹받아요 > 22
재이
진우
민
수민
시현
윤아
일상 재정의
일상을 정의하지 않겠다.
→ 편안함 기반의 나, 너, 우리의 이야기 (안다르는 편하게 입는 옷이라는 것 강조)
광고 소재
나 - 밤샘 근무 (2-3교대 직장인 & 유니폼 착용) 퇴근 → 운동 → 기절
: 퇴근 후 갈아입지 않아도 된다는 효율성 부각
“귀찮아…집으로 갈래..” VS “귀찮지만…짐(GYM)으로 갈래” (영상 대조)
너 - 육아
: 야외에서도 같은 의상인데 머리만 정돈된 상태 VS 실내에서 헝크러진 머리 (이미지 대조)
우리 - 걸스나잇
: 역동적으로 다양한 자세 표현
L자 다리, 아빠 다리, 다리 찢기, 다리 올리고 있기 등 (이미지)
밤샘 근무(진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