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

[4주차] 소재 피드백 + 광고 집행 가이드라인

날짜
2025/09/09
미팅 일자
2025/09/09
서기
튜터

멘토님 코멘트

안건: 제안된 캠페인 기획안에 대한 피드백 및 향후 방향 논의

1. 캠페인 및 소재 기획 (태튜 아이디어)

통합 캠페인 아이디어: 워크웨어, 파티웨어 등 일상적인 상황을 '색깔'로 구분하여 다채롭고 풍성한 일상을 표현하는 통합 캠페인 아이디어가 매우 긍정적임. (예: 핑크 직장인, 에메랄드 그린 활동 등)
브랜드 이미지 강화: 기능성이 돋보이는 브랜드에 활동성을 더해, 컬러풀한 일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통일성 유지: 캠페인 주제(간호사, 걸스나잇, 육아)에 걸쳐 해시태그메인 키워드를 통일성 있게 사용하는 것이 좋겠음.

2. 랜딩 페이지 및 사용자 경험

랜딩 페이지 평가: 판매 페이지처럼 잘 기획되었으며, 브랜드 스토리도 잘 담겨 있음.
광고 목표 명확화: 광고 클릭 후 사용자가 어디로 랜딩되는지, 그리고 그곳에서 어떤 소비자 행동을 유도할지 명확하게 정의해야 함.
행동 분석: 사용자가 '더 알아보기' 버튼을 누른 후, 어떤 상품이나 옵션을 클릭하거나, 장바구니에 담는 등의 행동을 추적하여 분석해야 함.
체류 시간: 직접적인 구매 유도보다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목표라면, 페이지 체류 시간을 중요한 지표로 삼을 수 있음. 이 경우, 사용자가 더 오래 머무르도록 유도할 장치를 고민해야 함.
의도적인 설계: 광고 기획 의도와 랜딩 페이지에서의 사용자 행동이 일관성 있게 연결되도록 설계해야 함.

3. 광고 운영 가이드라인 (튜터 전달)

이슈 방지: 운영팀과 협의하여 제작된 광고 집행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준수해야 함.
가이드라인
주의 사항: 동일 계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광고를 반복적으로 집행하면 계정이 영구 정지될 수 있음.
문제 발생 시 대처: 광고가 차단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집행을 멈추고 튜터에게 공유하여 도움을 요청할 것.

4. KPI

일상복 포지셔닝을 좀 더 명확히 가져가고 싶은데 이걸로 문제정의를 했을 때 결론을 내릴 때 일상복 포지셔닝이 강화됐다는 KPI를 뭘로 볼 수 있을지
트렌드 쿼리수, 구글 서베이 BLS (현실적 어려움)
→ 나아가고자하는 방향성 가설 설정
“우리 가설이 맞다면 우리 소재가 이런 사람한테 맞을것같다.”

5. 현전 튜터님 추가 피드백

1. 광고 성과 및 KPI

효율성 판단: 패션 및 스포츠 업계의 평균을 상회하는 ROAS 2.5 이상을 달성하면 우수한 성과로 판단.
패션 업종 브랜드 A 평균 CTR : 2.31%
스포츠 업종 브랜드 B 평균 CTR : 2.17%
KPI 설정: 직접적인 구매 전환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브랜드 관심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페이지 체류 시간, 이벤트 수, 세션 수를 활용함. 단, 기존 데이터가 없어 구체적인 수치 목표 설정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
핵심 지표: 핵심 KPI는 CTR(클릭률)로 설정하고, 랜딩 페이지 내 지표들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함.

2. 랜딩 페이지 및 사용자 여정

페이지 수정: 현재 랜딩 페이지의 품질은 충분히 좋으므로 추가 수정은 불필요.
연결 방식: 광고 캡션이 특정 제품과 연결된다면, 일반 홈페이지 대신 제품 상세 페이지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 더 효과적.
사용자 행동 추적: 랜딩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체류 시간과 이벤트 수를 측정 지표로 삼기로 함. 특히, 구매가 불가능하더라도 '장바구니 담기'와 같은 버튼 클릭이 이벤트로 기록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3. 최종 발표

접근 방식: 실제 광고 집행의 한계를 고려하여, 정량적인 KPI를 제시하기보다는 가설 설정 및 검증 과정을 중심으로 발표를 구성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
발표 내용: '문제 정의 → 광고 집행 데이터 분석 → 가설 제시 및 검증'의 순서로 논리적인 분석 과정을 보여주어야 함.
결론: 랜딩 페이지는 추가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며, 광고 집행 후 얻게 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설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는 것이 최선이라 판단.
향후 계획:
팀원들과 논의하여 랜딩 페이지에서의 사용자 행동 및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의할 것.
캠페인 론칭 전 튜터와 최종 점검을 진행하여 문제를 예방할 것.

참고

코멘트 이후 시도해볼 Action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