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나이트근무 → 짐
걸스나잇
퍼널 단계 | 타겟 오디언스 | 채널 | 소구점 | 상황 | 캠페인 포인트 |
ToFU | 여성 | 메타 | |||
MoFU | 일상의 여러 상황 속에서 옷에 대한 편안함이 필요한 사람들
(육아, 직장인, MZ 여성으로 관심사 타겟해서 세분화) | 메타 | 다양한 상황 속에서 갈아 입을 필요 없이 편하게 착용 가능 | 1) 나: 육아맘
2) 너: 유니폼 입은 2-3교대 근무자로 밤샘 근무한 직장인
3) 우리: 걸스나잇 | |
BoFU | 리타겟팅 | 메타 |
타겟 오디언스
•
여성
•
일상의 여러 상황 속에서 옷에 대한 편안함이 필요한 사람들
채널
•
메타
소구점
•
다양한 상황 속에서 편안함 가능
상황
•
나의 편안한 순간 “육아” : 집에서 육아할 때도 편하고 옷 갈아입을 필요 없이 외출도 가능한 편안한 복장
•
너의 편안한 순간 “나이트 근무” : 교대 근무 후 바로 옷 갈아 입는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나의 일상
•
우리의 편안한 순간 “걸스나잇” : 꾸밀 필요 없는 자유롭고 솔직한 순간의 드레스코드, 갈아입지 않아도 완성되는 밤. 혼자가 아닌 친구와의 교감·자유로운 순간을 소중히 여김
1차 광고로 기대하는 목표
•
경쟁사와는 달리
•
관심사별 타겟 확인
랜딩 페이지 내 측정 가능한 KPI
•
장바구니
•
체류 시간 → 광고에 비해 랜딩 페이지 일치
•
회원가입 → 회원 정보 (어떤 타겟이 가장 많이 가입하는지)
•
방문자 수
•
페이지 뷰
등..?
→ 이걸 통해서 우리가 보고 싶은 것은?
→ 1차 마케팅 전략 + 랜딩 페이지 내 결과를 통해 2차 마케팅 기획
생각해 볼 것!
•
소비자가 들어와서 가장 먼저 하는 행동
•
랜딩 페이지를 홈페이지 내에서 어디로 할 건지 결정
•
광고 소재에 따라 유저가 해야 하는 행동 설계해서 유도
•
광고 기획 의도, 홈페이지에서 어떻게 행동 해야 하는지 같은 맥락에서 고민!
결론
대화 주제 : 광고의 목적 +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객들이 사이트에 유입해서 하는 어떤 행동으로 그걸 측정할 것인지
랜딩 페이지 = 상세 페이지
•
캡션 내용
•
광고 제품과 일치하는지 여부
→ 측정 지표: 체류시간 + 이벤트 수 확인
핵심 KPI
•
패션 업종 브랜드 A 평균 CTR : 2.31%
•
스포츠 업종 브랜드 B 평균 CTR : 2.17%
→ “업종 평균 CTR 상회했다!”
어떤 형태의 일상이더라도 괜찮아요. 모른다르는 모든 일상을 존중합니다.
내일 할 일
계정 생성
태그 심기
광고 세팅 후 집행
미디어 믹스 (가능하면?) → 진행 불가
퍼널
•
현튜님이 매체 타겟팅 + 퍼널 같이 진행한다고 하셔서 ToFu는 브로드하게 넣으면 될 것 같은데 어케 생각하시나요
퍼널 단계 | 타겟 오디언스 | 채널 | 소구점 | 광고 소재 | 캠페인 포인트 | KPI | 미디어 플랜 |
ToFU | 18-50세 사이의 대한민국 여성
→ 브로드하게 가져간다는게 연령대가 아니라 소비자 구체적 상황/니즈 없이(필터링 없이) 들어간다는 뜻 | - 메타 (da, mass 타겟팅)
- 구글 GDN
-네이버 메인(타임보드)
-카카오 비즈보드 | 소구 포인트: 일상은 획일적이지 않고, 정의될 수도 없음
브랜드 슬로건: Everywhere, Everywear
카피문구: 모든 일상은 다르고, 우리는 그 다름 속에서 함께합니다. | 1) 소비자들이 남긴 짧은 댓글(“내 일상은 아침 러닝”, “내 일상은 밤샘 공부”, “내 일상은 아이와의 산책” 등)을 텍스트 타일처럼 수집
2) 그 수많은 댓글 조각들이 모여서 MORUNDAR를 완성
3) 멀리서 보면 하나의 브랜드, 가까이서 보면 각각의 다양한 일상 이야기
| - 소비자 스스로 브랜드 일부가 되는 경험 제공
- 댓글 하나하나가 모두 다르지만, 모이면 MORUNDAR라는 하나의 메시지를 완성 → “다름=브랜드의 힘”이라는 시각적 은유
- 제품 USP보다는 브랜드 철학/이미지 중심 노출 | - 메인 : 노출/도달 | |
MoFU | 18-50세 사이의 일상의 여러 상황 속에서 옷에 대한 편안함이 필요한 사람들
| 메타(DA) | 다양한 상황 속에서 갈아 입을 필요 없이 편하게 착용 가능 | 1) 나: 육아맘(이미지)
(수민)
육아하는 사람이 집 안에서도, 밖에서도 언제나 모른다르와 함께하는 모습 보여주기(이미지 대조, but 같은 옷)
2) 너: 유니폼 입은 2-3교대 근무자로 밤샘 근무한 직장인(영상)
(수민) 출퇴근룩에 제약이 없는 유니폼 입는 직장인이 퇴근 후 옷 갈아입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운동하러 갈 수 있는 편안함을 제시
3) 우리: 걸스나잇(이미지)
- 걸스나잇이라는 시간을 통해, 우리는 편안함 속에서 자유롭게 웃고 떠들며 특별한 순간을 완성한다는 메세지 강조(편안한 자세 + 자유로운 무드) | - 일상에서의 운동복 → 일상복 전환
- 운동복이라는 스테레오타입을 일상 속 문화 코드를 사용해 자연스럽게 인식 개선 유도
| - 메인: CTR, CPC
- 보조: 페이지뷰, 웹사이트내 체류 시간, 상세페이지 체류 시간 | |
BoFU | 모른다르 페이지 방문, 메뉴/홈 버튼 클릭, 장바구니 담기 후 이탈한 사람, 구매하기 버튼은 눌렀지만 구매하지 않은 사람 | - 메타 (DA 리타겟팅)
- 홈페이지 (팝업)
- 카카오톡 알림톡(CRM)
- SMS
- E-mail
- 브랜드 검색광고
(브랜드 신뢰도 장치) | - 회원가입 혜택, 할인 프로모션, 고객 후기 이벤트
- (재이) 내 일상에 넣기 → CTA 버튼? | 1) 가격/기간 할인 혜택
→
2) 여러분의 일상을 담아주세요!
(구매 + 추가 프로모션)
→ 홈페이지 팝업
3) 장바구니에 담긴 제품이 아직 결제되지 않았다는 알림 + 장바구니 전환 유도 쿠폰 → SMS | - 기본 혜택을 통한 전환 유도
- 모른다르는 살만한 가치가 있다 → 한끝 전환
- 브랜드를 직접 검색할 만큼 의도 높은 고객을 경쟁사에 뺏기지 않도록 브랜드 검색광고 운영
- 일상 = 모른다르라는 브랜드 일관성 유지 | - 메인: CVR, CPA(구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