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woStone 브랜딩 & 마케팅 전략 기획

프로젝트 기간
2025/08/20 → 2025/09/24
키워드
뷰티
비건
TwoStone
세럼
녹화 영상
https://drive.google.com/file/d/1gagG7064QnqR6YpfnhepqnGeFH9Z-J-E/view?usp=sharing
코드 파일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qpxSbSFe-GOPjgP5W-6p2hjYBBEdfqbT?usp=sharing
3조

안녕하세요 내일배움 스파르타 캠프 퍼포먼스 마케터 1기 3조 < 3대 500 >입니다!
저희 조는 최종 프로젝트 주제로 뷰티 산업을 선정했습니다.
선정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데이터 확보 용이성
프로젝트의 가장 큰 난관은 데이터 수급 이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캐글에서 10만 건 이상의 세포라 리뷰 데이터를 확보했고, 추가로 올리브영 크롤링 을 진행해 최신 트렌드까지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직접 설문조사(응답자 208명)를 실시하여 소비자 인식과 구매 선호도를 확인했습니다.
이를 통해 분석 기반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2.
트렌드 민감성 & 마케팅 학습 효과
뷰티 산업은 트렌드 변화가 빠르고 고객 니즈가 분명합니다. 시장·고객·브랜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마케팅 경험을 쌓기에 적합하며, 특히 디지털·인플루언서 마케팅 효과를 확인하기 좋은 분야라고 판단했습니다.
3.
높은 친숙도 & 시장 확장성
국내 올리브영 매장 수는 4만을 돌파했고, 뷰티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의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변화하는 뷰티 산업의 흐름을 직접 탐구해 보고자 했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세포라 데이터셋에 포함된 ‘페이스짐’ 브랜드를 모티브 삼아, 가상의 기업 ‘투스톤’을 브랜딩 했습니다.

01. 프로젝트 개요

TwoStone 가상 브랜드 제작 배경

본 프로젝트에서 광고 효과를 직접 검증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주체가 필요했으나, 실제 페이스짐(FaceGym) 브랜드로는 광고 집행이 불가능했습니다. 이에 따라 가상 브랜드 ‘TwoStone’을 설정하여 실험적 광고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했습니다.

브랜드 차용 이유

 첫째, 브랜드 정체성
페이스짐은 비건·클린 뷰티 / 뷰티 디바이스 및 기술력 / 높은 소비자 만족도를 기반으로 하는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정체성을 차용하여,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둘째, 시장성
뷰티 시장은 비건·클린 뷰티 분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뷰티 디바이스 분야는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광고 실험을 설계하기에 매우 유의미한 시장적 맥락이었습니다.

 결론

따라서 ‘TwoStone’은 단순한 가상 브랜드가 아니라, 뷰티 트렌드세터로서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실험적 모델입니다. 본 프로젝트를 통해 저희 조가 지향하는 ‘기술력 기반 제품 개발 + 뷰티 디바이스 연계 전략’ 을 효과적으로 검증하고자 했습니다.

02 투스톤 사업 개요

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세포라 데이터 분석 결과, 기본적으로 복합성·지성·건성 피부타입으로만 분류되어 페이스짐만의 차별성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리뷰 텍스트 감성 분석을 통해 민감성 피부 소비자층의 니즈가 예상보다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대표 세럼인 비타민C 제품은 미백·항산화 효능으로 인기가 높지만, 자극 우려로 인해 민감성 피부층의 접근 장벽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페이스짐의 리뷰에서는 민감성 피부의 긍정적 반응이 다수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효과는 유지하면서도 진정·장벽 강화를 더한 리뉴얼 제품을 기획하여 “민감성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C 솔루션”을 핵심 USP로 설정하여 강점을 더욱 어필하였습니다.

2. 사업 목적

차별화된 비타민C 브랜드 구축: 항산화·미백에 그치지 않고, 민감성 피부까지 아우르는 틈새 포지션을 선점.
디바이스 연계 강화: 페이스짐의 핵심 자산인 디바이스와 세럼의 조합을 통해 ‘기술력 + 효능’을 소비자에게 각인.
리뉴얼 중심 홍보: 기존 제품 개선과 성분 업그레이드를 강조해 브랜드 신뢰도를 강화.
클린·비건 지향: 안전한 성분과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트렌드에 부합하는 브랜드 이미지 구축.

3. 주요 활동

데이터 분석 기반 전략 수립
리뷰에서 “민감성”, “자극 없음”, “진정 효과” 키워드가 높은 긍정 반응을 확인.
이를 제품 리뉴얼 방향성(비타민C + 진정 성분 + 장벽 강화 성분)에 반영.
제품 기획 & 리뉴얼
대표 제품 파악 : 디바이스 기기 > 세럼 > 모이스처라이징
기존 비타민C 세럼에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등 진정·장벽 성분을 추가.
핵심 메시지: “투명한 광채, 민감성 피부까지 커버”.
브랜딩 & 마케팅
브랜드명 “투스톤”: “두 가지 톤을 하나로, 균일한 피부 완성” 의미.
리뉴얼 스토리텔링: 우리 피부의 균형을 찾아가는 여정, 투스톤. 투명한 광채 피부를 만나다
민감성 피부 페르소나 기반 콘텐츠를 제작해 광고·SNS·리뷰 마케팅에 활용.

4. 기대 효과

민감성 피부 신뢰 확보: 기존 비타민C 제품의 접근 장벽을 낮춰 더 넓은 고객층 유입 가능.
브랜드 신뢰도 상승: 신제품 출시가 아닌 ‘리뉴얼’을 통해 품질 개선 의지를 강조.
확장 가능성 확보: 민감성 피부 케어를 브랜드 정체성으로 삼아, 추후 토너·크림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장 용이하도록 설계.

배경 & 문제 정의

❷ 프로젝트 목표

❸ 핵심 KPI

02. 데이터 활용

❶ EDA & 전처리

❷ 인사이트

❸ 타겟 정의

03. 캠페인 설계 및 집행

퍼널 전략

메시지 & 소재

❸ 매체 & 예산

04. 성과 요약 & 인사이트

❶ 성과 지표

❷ 인사이트

05. 팀 소개

이름
직급
주요 담당 업무
나는 어떤 마케터?
부리더
데이터 분석
팀 리드 & 조율
설문조사
- 데이터 좋아하는: 숫자를 보지만, 숫자에만 갇히지 않음 - 의견을 열어두는: 팀에서 묵히는 의견은 없다! - 분위기 메이커: 힘들 때도 웃겨줄 수 있음
팀원
서기
광고소재기획
발표
- 정리를 좋아하는 : 모든 기획은 정리에서 시작된다! 흐름을 구조적으로 설계하고, 방향 제시 - 데이터의 깊이를 더하는 : 가설 설정과 목적 탐색을 통해 데이터 조합 속 차이를 읽고 인사이트를 도출함. - 아이디어 기획 : 분석을 바탕으로 크리에이티브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발굴
팀원
데이터 분석
랜딩페이지제작
소비자 행동을 깊이 탐구하며, 분석적 사고를 통해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
팀원
데이터 분석
광고소재기획
ppt 디자인
광고집행
트렌드에 민감하면서도 데이터 기반으로 전략을 세우는 마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