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젝트 정보
프로젝트 주제
이커머스 브랜드의 기존 고객 중심 매출 극대화 마케팅 기획
목적과 목표 설정
목적 : 마켓컬리의 기존 고객 이탈 관리 및 충성도 강화 전략
목표 : 기존 고객 충성도 유지 및 매출 증대
2. 프로젝트 결과물
PPT 자료
3. 팀 정보
팀 원 소개
4. KPT 회고
이번 프로젝트의 Keep, Problem, Try 요소를 고민하고 개선하기 위한 회고
Keep : 계속 이어가도 될, 만족하고 있는 부분
Problem :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
Try : Problem에 대한 개선 방안
Keep
Problem
Try
5. 서면 피드백
담당 튜터
[잘한점]
전체적인 디자인이 깔끔하고 가독성이 좋아요. 이 캠페인을 하는 이유를 설득하는 부분인 컬리의 위기요인이 한눈에 잘 들어와요. 고객 세그멘테이션에서 구체적인 수치 및 특징을 포함하여 적합한 적략을 수립했고, 오프라인 모임 아이디어는 실제 현업에서도 많이 쓰는 브랜딩 전략이라 인상 깊었어요. 각각의 실행전략 예시를 디테일하게 제시했고, PUSH 메세지에 수신거부라는 디테일을 포함한 점도 칭찬해요. 다만, 이커머스에서 판매링크가 포함된 페이지의 경우, PUSH 메세지에서 (광고)를 추가한다는 점만 알아두면 더 좋아요.
[생각해볼점]
아이를 2명 가진 주부 페르소나 니즈 혹은 페인포인트에 “단절된 소셜 네트워킹”이 포함되면 조금 더 타겟군에 맞는 적합한 메세지가 나올수도 있어요. (ex. 컬리 VIP : 나와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 등 공통점을 가진 사람들과의 만남의 장으로 추가 포지셔닝 통해 진입 장벽 약화 및 사회적 소속감 강화)
또한, 추가 기대 효과에서 VIP들의 오프라인 모임 참여 후기 외, VIP가 추천하는 컬리 BEST 상품과 같은 추천 큐레이션 매거진 발행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주춤하는 단골 혹은 맛보기 손님 등 검증된 퀄리티의 상품을 원하는 고객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할 수 있어요.
현재 잡아주신 RFM에서 R의 최대 주기가 30일이라, 전체적으로 주기를 좀 더 확장핵서 매체 플래닝 타겟군의 커버리지를 넓힐 필요는 없을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ex. 주춤하는 단골 R 최근 30일 내, 맛보기 손님 R 최근 90일 내)
부담당 튜터
잘한점
•
깊이 있는 조사와 고민
컬리 기업에 대해 다각도로 조사하고 고민한 흔적이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이는 단순한 과제 수행을 넘어 실제 브랜드 이해와 문제 해결 의지가 담긴 접근이었습니다.
•
구체적인 페르소나 작성
페르소나를 매우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작성하여, 실제 고객을 눈앞에 그리듯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돋보였습니다.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단순히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제시했습니다.
생각해볼 점
•
페인포인트와 니즈의 구체성
고객의 니즈와 페인포인트를 제시했지만, 그것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더 고민이 필요합니다.
◦
예: VIP 행사에 초대받으면 다들 "좋다"고 대답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자녀 돌봄이나 시간 제약 때문에 참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즉, 표면적인 니즈와 실제 전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합니다.
◦
클릭률은 높았는데 전환이 되지 않는 이유도 이런 현실적 제약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
니즈 검증 방법
그래서 기업들은 단순히 "이런 서비스 하면 좋으세요?" 같은 질문 대신, 심층 인터뷰(FGI, 고객 인터뷰)를 통해 진짜 니즈를 파악합니다.
◦
답정너 질문 대신 열린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
최근에 기억에 남는 경험은 어떤 것이었나요?
▪
특별한 이벤트에 초대받는다면, 참여하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으실까요?
◦
이런 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던지면 우리가 세운 가설이 실제 고객의 경험과 맞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