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1조] 원하조

생성일
2025/09/26 03:23
프로젝트
기초 프로젝트
담당 튜터
부담당 튜터
팀 번호
1팀
프로젝트 명
원하조
목차

1. 프로젝트 정보

프로젝트 주제
이커머스 브랜드의 기존 고객 중심 매출 극대화 마케팅 기획
목적과 목표 설정
기존 고객 중심 매출 극대화 마케팅 기획

2. 프로젝트 결과물

PPT 자료

3. 팀 정보

팀 원 소개
이름
태그
MBTI
블로그 주소
한마디!
👑 Sub-Leader
🫅 member
ENFJ
이상한 마케터
🫅 member
🫅 member

4. KPT 회고

KPT 회고
이번 프로젝트의 Keep, Problem, Try 요소를 고민하고 개선하기 위한 회고
Keep : 계속 이어가도 될, 만족하고 있는 부분
Problem :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
Try : Problem에 대한 개선 방안
Keep
Problem
Try

5. 서면 피드백

담당 튜터
[잘한 점]
발표 멘트와 태도가 훌륭했어요 영상 실력
2p
이탈 위험층의 타임어택 개인화 프로모션은 빠른 구매로 직결되는 좋은 프로모션이 될 것 같아요!
4p
프리미엄 충성층의 페인포인트를 잘 도출했어요. ‘최소 시간으로 고급 식사 완성’이라는 니즈가 잘 보완이 됐어요.
이탈위험층도 취준생의 경제적 제약을 활용해 식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는 이탈 이유를 잘 설명했어요.
5p
각 고객군을 대상으로 매체 플래닝을 적절하게 설계했어요. 프리미엄 충성층의 뾰족한 전략 방안을 제시해서 인상 깊어요.
[생각해볼 점]
2p
컬리 강점이라는 것을 유추해서 알아야 하므로 소제목, 부제목을 추가하면 좋을 것 같아요.
‘프리미엄 고객 맞춤 경험 부족’에 대한 적절한 근거가 부족해요. (쿠팡, SSG는 프리미엄 고객 맞춤 경험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어떻게 컬리가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 되었는지?) ‘가격 대비 만족도 약화’도 동일.
3p
M이 총 객단가인지 평균 객단가 인지 알 수 없어요. 기획안만 보더라도 충분히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어야 해요.
이탈 위험층
빈도는 낮아도 최근 1~2개월 구매라면 구매 습관이 형성되는 단계로 볼 수도 있어 ‘이탈 위험층’이라는 고객군에는 적절하지 않아요. 이탈 위험층이라면 R 최근성부터 낮아야 하겠죠?
가격 민감층
핵심 전략에 첫 구매 후 연계상품 추천이 고객 특성과 맞지 않아요. (신규 구매 고객 X) → 단발성 구매 이후 연계 상품 추천 표현이 더 적절하겠습니다.
가격 민감성, 즉 소액 소비를 하는 사람은 알뜰배송 등 가격 이점을 강조하는 메시지 전략이 더 적절할 수 있어요.
5p
이탈위험층
휴면 고객은 이탈 고객과 정의가 달라요.
다이어트 프로모션이 도출된 이유가 부족해요. 앞서 페르소나에 다이어트 관심이 많다 정도를 추가하면 논리적 흐름이 보완된답니다.
가격민감층
KPI 숏츠 광고 신규 구매 비중 15% 이상 → 가격 민감층은 신규 고객이 아니라서 지표를 다시 설정해야 해요.
6p
과제 기준에 비해 서브 메시지가 많아요.. (약간의 오프 토픽..)
경쟁사를 쓰는 사람이라면 이 메시지를 보고 컬리를 쓸 것인가? → 메시지는 이탈을 막을 만큼 강력한 동기 부여가 필요해요. (다만, 컬리 전체 고객 대상으로 하는 캠페인이라면 훌륭한 브랜드 슬로건이 되겠어요 )
부담당 튜터
잘한 점
프리미엄 충성층 세그먼트를 위해 특별하면서도 창의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운 점이 눈에 띄었어요. 요즘 트렌드에 맞게 ‘셰프 레시피 + 관련 상품을 패키지지 발송’한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이탈 방지가 프로젝트 최종 목표인 만큼 한 단계 더 나아가서 ‘월 멤버십’ 모델을 적용한다면 지속적인 매출 창출에 더욱 효과적일 것 같아요. VIP 고객인 만큼 이탈리안, 한식 등 원하는 쿠진을 선택하게 하고, 선호하는 요일을 지정하게끔 한다면 더욱 특별한 초개인화 마케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이탈 위험층 세그먼트를 위해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다방면으로 타겟팅하는 전략이 좋았어요. 각각 조금 다른 메시지이지만 고객은 본인도 모르게 ‘컬리에 나에게 맞는 상품이 있구나’라는 인식을 갖게끔 하는 전략이네요. (+숏폼 영상은 정말 훌륭해요!)
생각해볼 점
다만, 이탈 위험층 세그먼트 타겟팅을 위한 채널 선택은 조금 더 고민이 필요해 보여요. 인스타 스토리 및 유튜브 쇼츠의 경우 모든 잠재고객이 보는 채널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우리가 원하는 고객들에게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해 한 번 고민해보세요.
시장 분석, RFM 기반 고객 세그먼트 분류, 페르소나 섹션에서 ‘이걸 왜 하는가?’에 대해 고민해보면 전반적인 흐름이 더 좋아지고 완성도가 높아질 거예요. 무슨 프로젝트이던지 최종적인 목표가 뭔지 확실하게 이해하고, 각 단계별로 그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 지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시장 분석에서 경쟁사에 대해 조사를 한 이유는 ‘컬리만의 USP와 위기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였고, 이는 우리가 타겟팅하고자 하는 고객군을 도출하고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치기 위함이에요.
기타
작성하신 KPT를 보니 튜터 피드백 세션을 통해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은 것 같아 보기 좋아요. 특히 “결과물을 보고 판단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봤다면..” 이 점은 앞으로 무엇을 하던 정말 중요한 관점이라고 생각해요. 인터뷰를 볼 때도, 지원을 할 때도, 일을 할 때도 ‘그들은 뭐가 궁금할까? 나에게서 듣고 싶은 내용이 뭘까?’를 한 번이라도 생각해보고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람은 분명히 눈에 더 띌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