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화자료
[강의 목표]
•
광고 기획 및 제작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마케터로서의 핵심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이미지형 광고의 주요 매체별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
•
이미지형 광고를 목적과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활용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목차]
인트로
•
이 광고 이미지를 보고 어떤 것이 눈에 들어오나요? 문제점? 잘한 점? 이유도 함께 말해볼까요?
같은 제품이라도 [디자인]이 붙으면 가치는 1000배 이상!
주니어 시절...
그 후…
마케터에게 광고 기획 & 제작 능력이 필요한 이유
부제 : 마케팅 하나로도 벅찬데, 디자인이 웬 말입니까
[참고] 요즘 마케터 이력서에는…
보는 시야가 넓어진다 - 전략과 디자인을 연결하는 눈
메인 카피
서브 카피
CTA 카피
이미지
기타
•
직접 제작해보면 ‘광고 한 장이 어떤 전략으로 구현되는가’ 를 몸으로 이해
◦
예: CTA 버튼 위치, 가격 노출 여부 등이 클릭률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직접 경험
•
색상 대비, 여백, 폰트, 시선 흐름 같은 시각적 언어 습득
◦
썸네일, 랜딩페이지, SNS 콘텐츠 등 모든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에 응용
→ 브랜드 전체 톤앤매너를 더 세련되게 다듬을 수 있음!
•
기획서로 보는 마케터에서 ‘성과를 보는 마케터’로 성장
나만의 경쟁력이 쌓인다
•
선호하는 인재 : 아이디어를 실행까지 연결할 줄 아는 사람
◦
“이렇게 하면 전환율이 높아질 것”과 같은 제안 가능
◦
보고서, 제안서의 퀄리티, 설득력, 신뢰도 ↑
◦
셀프 브랜딩까지 가능
•
데이터를 통한 학습이 가능
◦
“카피 A or B vs 이미지 A or B vs CTA 색상 A or B” 즉시 테스트가 가능한 실험 단위 설계
▪
바로 수정 → 업로드 → 데이터 확인 → 개선 가능
▪
반복될수록 어떤 이미지가 클릭을 부르는지 감각이 쌓여 퍼포먼스 감각이 정교해짐
▪
구체적이고 데이터 기반의 피드백 가능
예시
이미지형 광고 주요 채널
•
네이버 디스플레이 광고 (링크)
◦
게시 : 네이버 서비스(네이버 모바일, 스마트스토어 배너, 네이버 쇼핑, 밴드 피드, 웹툰 등), 네이버 제휴 네트워크 지면
◦
구성 : 이미지형 , 네이티브형, 이미지 슬라이드형, 동영상형
◦
주요 타겟 : 검색 의도 보유한 사용자
예시
•
메타 광고 (링크)
◦
게시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구성 : 피드형, 스토리형, 동영상(릴스)형, 콜렉션 광고형
◦
특징 : 감각적, 비주얼 중심, CTA 버튼 활용 가능, 캡션 내용 활용, 웨비나/자료 신청으로 잠재고객 확보(B2B 대상)
◦
주요 타겟 : 인스타그램 핵심 유저층 2040
예시
B2B 대상 (웨비나/자료 배포 등)
•
GDN (Google Display Network) (링크)
◦
게시 : 구글 서비스(구글, 유튜브 등), 구글 제휴 네트워크 지면
◦
반응형 광고란
◦
특징 : 자동화 우수(기사 중간에 나오는 이미지 광고), 리타겟팅 캠페인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채널
◦
주요 타겟 : 다양한 연령층
예시
•
카카오 비즈보드
◦
게시 : 카카오 서비스(카카오톡, 다음, 카카오페이지, 카카오맵 등), 카카오 제휴 네트워크 지면
◦
구성 : 배너형, 동영상형, 채널 메시지형 등
◦
주요 타겟 : 앱 중심 사용층, 국내 집중
예시
이미지형 광고 카테고리
•
이미지형 광고는 어떤 주제로 기획할까?
브랜드형 | 프로모션형 | 페인포인트형 |
후기형 | USP형 | 엔드베네핏형 |
비교우위형 | 경고형 | 리마케팅형 … |
실제로 이렇게 기획했어요
•
브랜드형
◦
목적 : 인지도, 호감도 형성
◦
핵심 소구 포인트 : 브랜드 철학, 감성, 라이프스타일 제안 (가치 중심 커뮤니케이션), 스토리텔링
◦
특징 : 핵심 브랜드 메시지를 던지는 경우가 많음
예시
•
프로모션형
◦
목적 : 단기 전환/행동 유도
◦
핵심 소구 포인트 : 특별 이벤트, 한정 할인, 기간 제한, 사은품 제공, 시즈널
◦
특징 : 지금 안하면 손해(FOMO) 자극
예시
•
페인포인트형(=문제 인식형)
◦
목적 : 고객 불편, 문제 공감 후 브랜드/서비스만의 해결책 제시
◦
핵심 소구 포인트 : 공감(이런 문제 있지 않나요?) → 해결 구조
◦
특징 : 질문을 던지는 경우 ↑
예시
•
후기형
◦
목적 : 신뢰감 형성, 사회적 증거 강조
◦
핵심 소구 포인트 : 실제 사용자 후기, 평점, 사진, 경험을 통한 공감
◦
특징 : 리뷰, UGC 기반
예시
•
USP 중심 (강점형)
◦
목적 : 제품 기능적 우위, 효율 강조
◦
핵심 소구 포인트 : 핵심 기능, 성능, 수치 제시, 왜 이 제품이 더 나은가?
예시
•
엔드베네핏형 (End benefit) → 페르소나에서 ‘니즈’ 제시하는 것과 동일
◦
목적 : 소비자가 얻는 ‘궁극적인 변화’, ‘이득’을 전달
◦
핵심 소구 포인트 : 감정적 만족, 삶의 질 향상, 문제 해결의 끝, 이상적 상태 도달
◦
특징 : 소비자 중심 메시지(제품이 아닌 소비자의 결과, 변화에 초점), 감성적 언어 사용, 각 타깃이 원하는 결과에 맞춰 메시지 구성
예시
•
기타
◦
비교우위형 : 경쟁 제품 대비 장점, 가격, 기능, 후기 차별점 강조
◦
경고형 : 절대 XX 하지 마세요 등 자극적 후킹 → 불안, 호기심, 긴장감 유발
◦
리마케팅형 : 브랜드/제품에 한 번이라도 관심을 보인 사용자 대상으로 맞춤형 재접근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