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플, 왜 이렇게 힘들까?
혼자보단 둘이 낫고, 또 둘보단 셋이 낫다고들 하죠. 그런데 팀 프로젝트만 시작하면 왜 이렇게 늘 어렵고 힘들게 느껴지는 걸까요? 사실 팀플도 몇 가지 기본만 잘 지키면 훨씬 즐겁게 할 수 있어요.
우리 팀, 혹시 잘하고 있는지 같이 점검해볼까요?
자기소개, 이렇게 해보는 건 어때요?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자기소개는 꼭 필요해요.
나이, MBTI 같은 이야기 보다는, 팀플 경험이나 자신 있는 분야를 구체적으로 얘기해보세요.
예: "저는 자료 조사 정말 잘해요." / "PPT 만드는 게 제 특기예요."
이렇게 자신을 소개하면 자연스럽게 역할 분담이나 리더 선정도 훨씬 쉬워져요.
이미 서로를 잘 아는 상황일 경우, 팀원이 나도 모르는 나의 강점을 잘 찾아줄 수도 있어요!
본격적인 프로젝트 전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꼭 가져보아요!
역할 분담, 요렇게 하면 실패 확률 낮아져요
팀플의 핵심은 뚜렷한 역할 분담이에요. 예를 들면 자료 조사/ PPT 제작 / 영상 편집 / 발표 이런 식으로 나누면 각자 잘하는 걸 살릴 수 있어요. 하지만 역할을 정해도 아이디어 브레인 스토밍과 최종 결정은 다 같이 해야 합니다. (ex. 주제 선정과 결정 사항은 모든 팀원이 아이디어를 내고, 그 이유를 간단히 정리해보세요.)
리서치는 이렇게 해볼까요?
충분한 자료 조사는 기본!
•
출처 남기기: 조사한 자료엔 꼭 링크와 출처를 남겨두세요. 나중에 보고서 쓸 때 정말 편리하답니다.
•
핵심 요약: 팀원들이 이해하기 쉽게 간단하게 정리해두면 좋아요.
•
공유 습관: 리서치 결과를 노션, 구글 문서, 피그마 등 다 같이 볼 수 있는 곳에서 공유하고, 서로 꼼꼼히 읽어보는 게 좋아요. 서로의 자료에서 새로운 관점과 인사이트를 얻는 게 협업의 묘미죠!
마케터 Tip! : 여러 사례를 찾아보고 공통점/차이점을 분석해 벤치마킹 해보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 있어요.
PPT는 한 명의 담당자를 정하는 것이 효율적이에요
담당자를 정하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협업 할 수 있어요!
•
PPT를 여러 명이 나눠 만들고 한 명의 담당자가 레이아웃, 디자인을 수정
•
PPT 소재와 내용을 함께 기획한 후 1명이 PPT 제작(권장)
피그마 같은 온라인 툴을 함께 쓰면 실시간으로 의견을 반영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PPT는 발표를 도와주는 도구일 뿐, 미적인 부분보다 진짜 중요한 건 내용입니다!
시간 관리, 이것도 전략이에요! 
팀플은 마감 내에 얼마나 완성도를 챙기느냐가 중요해요. 예를 들어 1~3일: 자료 조사, 4~6일: 콘텐츠 제작, 7~9일: 발표 연습 이렇게 매일 일정표를 쭉 짜두면 마음도 한결 편하고, 일정 관리도 쉬워져요.
매일 짧게라도 진행 상황을 확인하며 계획대로 잘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게 핵심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팀플 기간 동안의 타임 테이블을 누락 없이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진행 상황도 자주 공유해보아요
공유 파일이나 스크럼 시간을 활용해서 하루에 두 번 정도, 간단하게 오늘의 진행 목표와 진척 상황 등 매일 무엇을 하고 있는지 서로 나눠보세요.
일이 겹치거나 빠질 일이 줄어들어서 훨씬 효율적으로 팀플을 진행할 수 있어요.
발표 준비, 이렇게 해보세요!
발표 = 자신감이에요. 그리고 자신감은 결국 얼마나 제대로 이해했는 지에서 나옵니다.
•
대본은 자료 조사 내용과 PPT를 바탕으로 팀원들 모두 같이 만들어보세요.
•
발표자는 내용을 더 가다듬고, 나머지 팀원들은 피드백을 주며 서로 보완해요.
•
마지막 제출 전에 모든 팀원이 한 번씩 자료를 검토하는 습관을 들이면 실수도 줄일 수 있답니다.
팀플은 단순히 ‘함께 하는 일’이 아니라, 서로의 힘을 모아 하나의 멋진 결과물을 만들어가는 여정이에요.
서로 믿고 응원하면서 함께 한다면, 그 끝은 반드시 빛날 거예요.
디지털 마케터 1기 여러분, 이번 팀플에서 멋진 추억과 경험을 만들길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