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 목차
1.
시장 분석과 핵심 인사이트
a.
국가(일본, 태국, 중국) 비교 - 관광산업의 차이
b.
한국 관광 현황, 트렌드
c.
문제점 정의
i.
서울과 k-culture 중심 (다 봤다는 인식) → 서울 외에 특색 있는 다른 지역 홍보
ii.
물가 부담 → 무료 관광지, 현지 맛집 소개 (교통 편리성)
d.
소개할 한국의 매력 요소 (USP)
i.
지역별 사계절 풍경
ii.
무료 관광지/로컬 맛집
2.
타깃 페르소나 및 Pain·Needs 정의
구분 | 내용 |
이름 | "Pim, 24세 태국인 여성 여행자" |
직업 | 대학생 |
특징 | - 자국에서는 보지 못하는 사계절 풍경을 보고 싶음
- 2~3년 전 서울 여행 경험
- 전에 방문했을 때는 한류·음식·쇼핑 위주 일정이었음
- 안전하고 깔끔한 여행지로 좋은 인상
- 그러나 ‘서울은 다 본 것 같다’는 생각과 ‘한국에는 케이팝 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재방문 고민 중
- SNS 헤비 유저 |
여행 행동 패턴 | - TikTok/Instagram에서 여행 영감 탐색
- ‘감성’, ‘편안함’, ‘현지 감정선’을 중시
- 친구 추천·바이럴 콘텐츠에 영향 받음 |
채널 이용 습관 | - 숏폼으로 다음 여행 아이디어를 얻음 (60초 이내)
- ‘계절·색감’이 담긴 감각적 영상 선호
- 여행 전 ‘best photo spot in Korea’ 같은 키워드 검색 |
동반 형태 | 1~2인 자유여행 (친구·연인) |
페인포인트 | 1. 수도권과 K-컬쳐 편중으로 인한 여행 경험의 단조로움
2. 높은 물가로 인한 재정적 부담 |
니즈 | 1. ‘한국=서울’이라는 인식을 깨고, 계절·지역별 이색적인 경험을 하고 싶다
2. 돈을 절약할 수 있는 관광지를 방문하고 싶다 |
3.
핵심 콘셉트 및 스토리라인
a.
업로드 채널: 인스타
b.
콘셉트
c.
톤앤매너
d.
메시지/카피
e.
스토리라인 기획
f.
후킹포인트!!!
4.
성과 목표 및 KPI 설정
a.
목표: “서울에서 시작된 관심을 전국으로 확장해, 한국을 K-POP 중심 관광지에서 벗어나 사계절과 로컬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여행지로 브랜딩해서 재방문을 유도한다.”
b.
기획의도
c.
KPI
•
‘전환’에 집중
•
영상 시청 지속 시간
5.
콘텐츠 제작(및 배포 전략)
6.
기대효과 및 향후 확장 방향
홍보 프로젝트 기획안
•
타깃 페르소나
•
소개할 한국의 매력 요소
•
홍보 프로젝트를 통한 기대 효과
•
숏폼 기획 의도 (500자 이내)
•
썸네일 1종 (Figma 제작)
영상 제작
•
콘셉트 (소개할 한국의 매력 요소)
•
톤앤매너
•
메시지/카피
•
스토리라인 기획
•
프롬프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