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PPT 제작

상태
진행 중
담당자
마감일
2025/10/31 → 2025/11/05
설명
체크박스
제목! “다시 찾아도 새롭다, 또 다른 한국의 발견”
1.
시장 분석과 핵심 인사이트
a.
한국 관광 현황, 트렌드
항목
주요 데이터
인사이트
방한 외래관광객 수
2024년 16,369,629명
팬데믹 이후 회복세 확실, 관광 수요 완전 회복기 진입
주요 방문국가 비중
아시아 78.6% (중국 24%, 일본 20%, 대만 9%, 미국 8%)
근거리 시장 중심 구조, 시장 다변화 필요
서울 집중도
서울 78.4%, 부산 16.2%, 제주 9.9%
‘서울 원도심 중심’ 구조 고착 → 지역 이동성 개선 필요
재방문율
54.7% (전년 대비 1.4% ↓)
새로움 부족·지역 다양성 미흡이 원인
재방문 이유(+)
음식, K콘텐츠, 친절한 사람, 치안, 교통 편리
‘안전하고 편한 여행지’로 인식
재방문 장벽(-)
언어장벽, 결제·앱 인증 제한, 수도권 집중, 단조로운 코스
‘서울은 한 번이면 충분하다’는 피로감 존재
b.
국가(한국, 일본, 태국) 비교 표 - 관광산업의 차이
구분
일본
태국
한국
관광정책 방향
지방관광 루트·교통망 확충, DMO(지역관광조직) 운영
무비자·장기비자 확대, 도시 간 교통망 강화
K-콘텐츠/한류/지역축제 강화 수도권 중심 → 지방 활성화 노력 단계
핵심 콘텐츠 전략
온천·로컬 미식·전통예술 등 ‘지역 스토리텔링형 관광’
SNS·인플루언서 협업 중심의 ‘바이럴형 관광’
K-컬처·뷰티·쇼핑 중심, AI·로컬체험 확장 중
차별 포인트
지역별 개성·깊은 문화 체험, 고품질 서비스
축제·시장·자연 기반의 생동감 있는 경험
첨단 인프라, 안전, 미식, 한류 콘텐츠
약점 / 과제
비수기 지역 활성화 과제
인프라 품질·환경문제
서울 편중, 정보 접근성·언어 장벽
핵심 인사이트
‘지역의 이야기를 브랜드화’해 지속 가능한 재방문 동기를 만들어냈다.
‘젊고 감각적인 도시감성’으로 SNS 중심 반복 방문 유도
“서울 이후의 한국”을 제시해야 한다 — 첨단 교통, 계절 변화, 로컬 감성을 연결해야 한다.
c.
국가 비교 표 - 주요 도시별 외국인 방문 비중
국가
수도(명)
2위 도시(명)
2위 도시 대비 수도 방문객 비율
한국(2024)
서울 1314만
부산 293만
약 4.5배
일본(2024)
도쿄 1980만
오사카 1458만
약 1.36배
태국(2019)
방콕 2278만
푸켓 989만
약 2.3배
d.
문제점 정의 (재방문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
수도권과 K-컬쳐 편중: 외국인 관광이 ‘서울 중심의 한류 체험’으로 한정되어 지역 관광의 다양성이 부족함.
서울은 K-팝, 드라마, 뷰티 등 한류 콘텐츠 소비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지만,
이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의 관심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함.
지방 도시의 관광 자원(자연, 음식, 전통 문화 등)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아
외국인 입장에서는 ‘서울 외 지역에 특별히 갈 이유가 없다’는 인식이 형성됨.
결과적으로 “한류 소비형 관광”에 머물러, 지역별 체험 다양성이 떨어짐.
핵심 키워드: 정보 접근성 부족 / 홍보 불균형 / 경험 단조화
교통 인프라 부족: 서울 이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불편하거나 인식되지 않아 접근성이 낮음.
KTX나 고속버스 등 전국망은 존재하지만, 외국인에게는 이용 정보·언어 지원이 부족하고 접근성이 낮음.
인천공항·김포공항 중심의 항공·철도 허브 구조로 인해 서울 진입이 여행의 기본 루트가 되어 지방으로의 확산이 어렵다.
외국인 관광객 입장에서는 “서울 밖은 멀고 복잡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음.
핵심 키워드: 접근성 / 인프라 집중 / 정보 부족
e.
소개할 한국의 매력 요소, USP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
지역별 특색이 담긴 사계절 풍경 → 지역의 고유 매력에 대한 콘텐츠 소개
KTX 기차 여행으로 빠르고 낭만적인 전국 여행 → 교통 기반 여행 소개
f.
해결 방향: ‘지역 다양성 + 이동 경험 개선’
지역의 고유 매력을 활용한 분산형 관광 콘텐츠 소개
전국을 잇는 철도·교통 기반 여행 소개
2.
타깃 페르소나 및 Pain·Needs 정의
구분
내용
이름
"Pim, 24세 태국인 여성 여행자"
직업
대학생
특징
- 자국에서는 보지 못하는 사계절 풍경을 보고 싶음 - 2~3년 전 서울 여행 경험 - 전에 방문했을 때는 한류·음식·쇼핑 위주 일정이었음 - 안전하고 깔끔한 여행지로 좋은 인상 - 그러나 ‘서울은 다 본 것 같다’는 생각과 ‘한국에는 케이팝 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재방문 고민 중 - SNS 헤비 유저
여행 행동 패턴
- TikTok/Instagram에서 여행 영감 탐색 - ‘감성’, ‘편안함’, ‘현지 감정선’을 중시 - 친구 추천·바이럴 콘텐츠에 영향 받음
채널 이용 습관
- 숏폼으로 다음 여행 아이디어를 얻음 (60초 이내) - ‘계절·색감’이 담긴 감각적 영상 선호 - 여행 전 ‘best photo spot in Korea’ 같은 키워드 검색
동반 형태
1~2인 자유여행 (친구·연인)
페인포인트
1. 첫 방문에서 이미 한류·음식·쇼핑 중심의 ‘정형화된 코스’를 경험해, 새로운 발견에 대한 기대가 낮음. 2. 서울 외 지역은 교통 장벽 때문에 이동이 어렵고 불편할 것이라는 심리적 거리감이 있음.
니즈
1. 서울 밖에서도 ‘새로운 한국’을 경험할 수 있는 참신한 여행 동기 필요. “새로운 일상의 한국을 발견하고 싶음” 2. 쉽고 직관적인 이동 경험을 통해 ‘멀고 복잡한 한국’을 ‘가깝고 편한 여행지’로 느끼고 싶음.
3.
핵심 콘셉트 및 스토리라인
a.
업로드 채널: 인스타
b.
콘셉트: “서울로 끝나지 않는 여행, 기차로 이어지는 전국투어”
i.
핵심 아이디어: 서울을 벗어나 전국 곳곳의 ‘다른 분위기, 같은 한국’을 보여주는 기차 여행형 숏폼 콘텐츠
ii.
기획 배경: “서울 빼면 갈 곳이 없다”는 인식에 반박하며, 한 번 더 방문할 이유가 충분한 ‘새로운 한국’을 제시
iii.
콘텐츠 포맷: 전국 4계절 도시(전주–부산–강릉–평창)를 잇는 시즌별 여행 릴스 시리즈
c.
톤앤매너: “경쾌하고 리드미컬한 여행의 흐름, 감성적인 계절 전환”
d.
핵심 카피: “Zoom out. Korea is bigger.” — 시야를 넓혀봐. 한국은 더 커.
e.
숏폼 기획 의도 (500자 이내)
i.
‘서울 빼고는 갈 곳이 없다’는 인식과 더불어 ‘서울 밖은 교통이 불편하다’는 편견을 깨고, 한국의 전국적 접근성과 사계절 매력을 보여주는 숏폼 영상이다. 기차를 매개로 한 전국 여행을 통해 “한 번 더 방문하고 싶은 한국”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Zoom out. Korea is bigger.”라는 문구로 시야 확장과 이동의 편리함을 함께 강조한다. 짧은 영상 내에 여행의 리듬감과 지역의 다양성을 담아, 외국인 관광객이 ‘다시 찾고 싶은 새로운 한국’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f.
기대효과:
외국인 관광객 재방문 유도 → 서울 중심 관광에서 벗어나, “다시 찾고 싶은 한국” 이미지 형성
교통 인식 개선 효과 → KTX·SRT 등 전국 주요 도시 간 간편한 접근성 시각화로 이동 불편 인식 완화
지역 관광 활성화 → 전주·부산·강릉·평창 등 비수도권 지역의 매력 확산 및 방문 촉진
KPI(전환):
CTR (Call-to-Action 클릭률) ≥ 2.5%
영상 완시율 (Completion Rate) ≥ 60%
저장·공유 비율 (Save + Share Rate) ≥ 10%
관광 콘텐츠 클릭 후 페이지 체류시간 ≥ 30초
4.
콘텐츠 제작(및 배포 전략)
a.
썸네일 1종 (Figma 제작)
b.
영상
5.
향후 확장 방향
a.
콘텐츠 확장: 사계절 테마 확장, 각 계절별 디테일 시리즈 — “전국 사계절 투어의 다음 챕터 – 한 계절을 깊게, 한 감성을 더 진하게.”
b.
참여 확장: #ZoomOutKorea 해시태그 릴레이 — 각국 여행객이 느낀 ‘다른 한국의 매력’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