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Day 7 = ppt 제작 AI 제작 및 편집, 배포 전략 11월5일

포맷 결정: 숏폼, 카드뉴스, 인터뷰 등 형식 선택
제작 실행: 메시지 시각화, 계획, 편집 요소, 저작권 검증
배포 전략: 플랫폼별 업로드 타이밍, 해시태그, CTA 포함
홍보 프로젝트 기획안
타깃 페르소나
소개할 한국의 매력 요소
홍보 프로젝트를 통한 기대 효과
숏폼 기획 의도 (500자 이내)
썸네일 1종 (Figma 제작)
채널 별 업로드 시 부가 항목 (SNS에 업로드 할 경우에만 작성)
인스타그램 : 캡션 및 해시태그
유튜브 쇼츠 : 고정 댓글
틱톡 : 캡션 및 해시태그
구성요소
핵심 질문
작성 포인트
예시 문장 구조
① 기획 배경
왜 이 주제를 선택했는가?
타깃의 Pain Point, 인사이트 기반으로 출발
“K-컬처에 관심은 높지만 실제 방문은 망설이는 외국인을 위해…”
② 핵심 목표
어떤 행동 변화를 유도할 것인가?
영상 시청 후 유입 or 인식 변화 목표 명시
“한국을 ‘멀게 느끼는’ 인식을 바꾸고, 첫 방문 의향을 높이고자 했다.”
③ 메시지 방향
어떤 감정·메시지를 전달할 것인가?
‘어떤 감정’을 중심으로 설계됐는지 명확히
“낯선 나라가 아닌, 설렘으로 다가오는 ‘첫 만남의 한국’을 표현했다.”
④ 형식·연출 의도
왜 숏폼 형식을 택했는가?
숏폼 특성(즉시성, 감정 후킹, 리듬감 등)을 언급
“짧은 러닝타임 속 시각적 리듬과 감정 몰입을 극대화해, 첫인상의 강렬함을 남겼다.”
⑤ 기대 효과
이 영상이 어떤 효과를 낼 것인가?
인식 변화·SNS 확산·조회/공유 KPI와 연결
“시청자가 ‘나도 가보고 싶다’는 감정적 동조를 느끼며 자연스럽게 확산되길 기대했다.”
K-컬처에 친숙하지만 실제 한국 방문을 망설이는 2030 외국인을 위해,
‘처음 만나는 대한민국’의 설렘을 감각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지하철만으로도 서울의 다양한 명소를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을 핵심 메시지로 삼고,
짧은 숏폼 포맷 안에 ‘쉽고 가까운 한국 여행’의 이미지를 심었다.
시각적 전환과 감정의 흐름을 빠르고, 느리게 구성해 리듬감을 주어 시청자의 몰입을 높였으며,
단순한 여행 정보가 아닌 ‘나도 저 순간에 있고 싶다’는 감정적 공감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