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영상 기획안 디벨롭 및 방향 설정

Date
2025/10/31
Select
Done
심명성
오다은
류지훈
허주연
임주원

회의정리

영상마다 어떤 효과를 주어서 흐름을 표현할 것인지 시간이 흘러가게 빨리감기, 기차 등의 아이디어
컷씬마다 어떻게 영상 어떻게 구성할 건지 브이로그 형식, 사진 프레임 형식, 기차 안에서 바깥 풍경이 변경되는 컨셉 등
유리공예 요소를 칼로 자르는 ASMR 영상처럼 촉감을 강조하는 영상제작 도자기를 만드는 소리, 부채를 펴는 소리, 막걸리 따르는 소리 or 발효 되는 소리 등
역사 흐름을 보여주는 경우 나열식으로 하다 보면 교육용으로 되어 재미가 사라질 수 있다.
페르소나1 스토리보드
페르소나2 스토리보드
차라리 두 개의 스토리보드를 섞어서 감각적으로 효과를 보일 수 있게 영상 제작
전주에서 여수로 가는 KTX 노선이라면 기차 프레임 안에서 전주에서 할 수 있는 요소들을 시각이나 청각적으로 강조시키고 풍경도 보여주기, 여수에서는 다이나믹한 활동들이나 아르떼뮤지엄 같은 시각적인 요소들을 활용해서 영상을 제작하면 두 가지 요소를 적절히 섞을 수 있으면서도 장소도 알려줄 수 있어서 직관적일 수 있다.

영상 기획 요약

 기획 의도

감각적 흐름을 강조하는 홍보 영상 제작.
시각·청각 중심의 자극뿐 아니라 ‘시간의 흐름과 감각의 경험’을 동시에 표현.
단순한 역사 나열이나 정보 전달형 영상이 아닌, 몰입감 있는 체험형 영상으로 구성.

 영상 표현 방식 제안

1.
시간의 흐름 표현
시간의 경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빨리감기 효과, 기차 이동, 계절 변화 활용.
예: 기차 창밖 풍경이 빠르게 바뀌며 ‘한국의 여정’을 감각적으로 전달.
2.
컷 전환 및 구성 포맷
브이로그 형식: 실제 여행자 시점으로 체험 감정 전달.
사진 프레임 형식: 기억처럼 잔상 남기는 감정적 연출.
기차 창 프레임 콘셉트: KTX 노선도를 따라가며 지역별 풍경이 바뀌는 구조.
→ ‘이동’ 자체를 스토리의 축으로 삼아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
3.
감각적 사운드 연출 (ASMR 요소 중심)
유리공예를 자르는 소리, 도자기 빚는 소리, 부채 펼치는 소리, 막걸리 따르는 소리, 발효되는 소리 등
손끝의 감각과 사운드를 강조하여 촉각·청각이 살아있는 영상미 구현.

 예시 (기획 포인트)

두 가지 스토리보드 콘셉트(ASMR 감각형 + 시간여행형 기차 콘셉트)를 결합
감각적이면서도 직관적으로 지역과 경험을 보여주는 구조로 제작.
예시:
전주 → 여수로 이어지는 KTX 노선
전주 구간: 감각적·청각 중심 연출 (부채, 도자기 등 전통체험 ASMR)
여수 구간: 시각적·역동적 연출 (바다, 빛, 아르떼뮤지엄 등 다이나믹한 체험)
→ 한 편의 여정 속에서 시간의 흐름 + 감각의 확장 + 지역의 다양성을 동시에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