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2~3가지 정하기
2.
필요한 칼럼 추려보기
3.
정리 후 길래튜터님께 공유
키워드
- big keyword = healthy(건강) , 저당/저칼로리(+프로틴)
1. 가공식품 - 밀키트, 도시락 등
•
컬럼 - 소비자 성별, 매출액, 제품명, 제품타입,
•
[세부 목표] :
1.
저당 / 저칼로리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브랜드 : 남성의 비중을 높일 수 있는 목표
a.
남성들의 소비패턴 분석
2.
판매하지 않고 있는 브랜드 :
a.
가공식품 판매 분석
2. 영양제 (보충제) - 단백질, 오메가3 등 
→ 예민한 건강보조식품이라 광고 만들 때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제외키로 함.
⇒ ‘저당/저칼로리 관련’ 남성 소비 비율 높이는 마케팅 진행
⇒ 음식은 그냥 먹고 음료만 거의 저당으로 먹는건 의미가 없어서 음식을 바꾸는 마케팅으로 가는거 좋은듯 브레인 스토밍 결과 (+ 추가 생각해본 주제)
브레인 스토밍 결과 (+ 추가 생각해본 주제)
프로젝트 주제 초안
•
패스트푸드 → 저당으로
◦
현재 저당소스 , 저칼로리 버거 브랜드 없음
◦
다이어터 사이에서도 햄버거는 먹어도 되기때문에 더 인기가 높아질것같음
◦
◦
◦
◦
◦
2025 / 08/ 21 / 목 회의록
•
어떤 주제로 할까… 이것은 데이터 수급의 방향이라기 보다는 마케팅 트랙 부분을 어떻게 만들고 랜딩페이지 유입시켜서 트래픽 만들고 결과를 만들어서 결과를 어떻게 할 것인가. 그리고 그 효과를 우리가 어떻게 느낄 것인가.
•
시나리오, 데이터 수급, 호기심을 일으키는 랜딩 페이지 유입에 좀 더 집중.
•
데이터를 통해서 인사이트를 도입하는 것은 쉽지 않다.
•
결국에는 얼마나 랜딩페이지 유입을 이끌어내느냐가 목표가 될 것.
•
가설: 건강식품에 사람들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고 매출 상승도 방향 등.. (건강식, 인스턴트 푸드의 대척점), 페르소나 ⇒ ~~ 증진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한 행위를 했다.
•
최대한 마케팅 시간에 배운 툴을 다 돌려볼 수 있도록 노력할 것.
•
~~ 계층의 ~~만큼의 유입(랜딩페이지 유입)을 끌어올렸다로 결론을 내리는 방향 제안
•
마케팅 방안 설정하고 그 이후 시나리오를 설정해가면서 프로젝트를 진행 방향 제안
◦
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크롤링” 등의 과정을 통해서 만드는 것을 도와줄 예정
⇒ 마케팅 방향성 및 사용할 툴을 정하면 필요한 데이터들이 눈에 보이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