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기획 마무리!
→ 뷰티 트렌드 주요 키워드
1.
슬로우 에이징
⇒ 기존 40대부터 시작하던 피부 노화에 대한 관리를 이제는 2030부터 시작. 진정ㆍ모공ㆍ탄력 과 같은 피부의 근본적인 건강을 관리하며 노화 예방.
⇒ 주름/콜라겐 등 피부 탄력에 대한 관심도 증가
b.
클린 뷰티
•
성분의 안전성을 중시하는 소비 인식 확산. 자사의 ‘vegan’, ‘without paraben’ 등 성분 관련 키워드 활용 가능
최종 프로젝트 기획서
메인 타겟층 설정
•
복합성 피부 타입을 가진 비타민C + 콜라겐 기능성 라인에 관심
이사람들이 콜라겐을 중요시하니까 안티에이징 제품에 관심있음or 피부과 자주 같은 정량적인 요소
아! 페르소나를 고려하는 거죠? 감사합니당
특정 웹사이트 활동자 타겟팅도 한 방법!
(특정 유튜브의 댓글도 타겟 가능)
•
가성비 보다 성분·효능·가치소비(비건)에 중심을 두는 21~31 고객층.
광고의 타겟층에 어떻게 녹일까??
어떻게 관심사에 등록 할지 어떻게 리타겟팅 할지 고려해보면 좋을 것 같다.
브랜드 제품 주요 기능
- 보습/건조 개선
- 안티에이징 (탄력·주름 개선)
페이스 세럼은 두 가지 제품으로 고객 세그먼트 분류
A 제품 : 콜라겐 + 펩타이드 + 항산화 조합
→ “탄력 강화 & 안티에이징 세럼”(Y 제품도 포함)
(현재 브랜드 제품 내 가장 수요 많음)
H 제품 : 히알루론산 + 나이아신아마이드
→ “수분 충전 & 미백·진정 겸용 세럼”
(전체로 봤을때 수요 꽤 많이 존재)
⇒ 브랜드에서 잘하는일 + 트랜드? = A제품
⇒ 콜라겐 탄력강화 + 히알루론산 성분을 넣었다. 그래서 복합성과 건조 둘다 잡을 수 있게.??(클래식)
시장 조사 및 경쟁사 데이터 분석
TOP 10 브랜드< 브랜드 수>
The Ordinary |
Drunk Elephant |
The INKEY List |
Sunday Riley |
Glow Recipe |
Caudalie |
Estée Lauder |
Peter Thomas Roth |
Tatcha |
Murad |
•
우리가 경쟁사에서 알아봐야 하는 것
1.
브랜드 별 주요 상품
2.
가격대 분석
3.
리뷰 어떤지? (긍정과 부정 키워드 이유)
4.
size 별 차이점도 존재하는지
Q. 이외에 추가적으로 비교분석할 주제가 있을까요?
•
예상 잠재고객 수 top10 (경쟁 브랜드)
brand_name | potential_customer_count |
Tatcha | 466 |
The Ordinary | 416 |
Glow Recipe | 339 |
Drunk Elephant | 329 |
Youth To The People | 325 |
fresh | 324 |
The INKEY List | 311 |
OLEHENRIKSEN | 277 |
Sunday Riley | 257 |
KORA Organics | 245 |
질문
1.
추가적으로 생각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여? < 우선 순위로 생각해 봐야 할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
광고비 25만원인데, 어떤 매체를 생각하는 것이 좋을까요? ( 메타만 사용 or 여러 매체 사용)
3.
저희가 그냥 좋은 성분 넣어봐도 되나요? ( 요즘 유행하는 성분)
4.
타겟을 20~30여성으로만.. 생각해도 되나엵?
5.
유튜브 메타를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면, 유투브는 노출 메타는 전환으로 목표를 둘 때, ~~`
→ 매체 간 리타겟팅은 운영이 좀 어려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
→ 구글 애즈 전환 광고 효과 좋아짐. 머신러닝이 끝나야 성과를 알 수 있다. 전환 상 회원가입 시 이메일, 연락처 등을 매핑가능…비용은 훨씬 싸다..?!?!(전환/디멘드젠 상 단가) 데이터 유입이 훨씬 잘 될 가능성 높음.
→ 획득은 메타/ 빠른 성과는 구글 (더 많이 얻으려면)
→ 어느 지면에 노출을 하는가. 메타는 인스타그램 집중 노출 가능.
→ 구글은 네트워크 지면, 유튜브 지면 확장이 되어서 다양해짐. 단가 저렴 브로한 타겟 가능. 타겟팅 해볼 수 있는 영역 다양.
연령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음 → 네이버 데이터랩 함계열분석 해야함
연령 / 시즌에 따른 편차를 분석해서 판매전략 짜는데 참고하기
메인타겟층 설정 - 제품 위주로 하다보니, 확실하지 않고 추상적.
2030 고객층으로 해도 구체적인 연령대 설정이 필요.
소재 기획에 있어 제품은 하나로 통합? 통일? 하는 게 편하다.
성분 구성은 자유롭게.
디멘드젠 or 메타 로 하나 매체 선정해서 타겟하기.
화장품 광고 규제 알 수 있는 사이트 추천 -
규제 빡세다ㅠㅠ 식약처 보고서 검수 포함시켜야함.
메타나 구글 애즈는 보다 수월.
헉 신고….
우리는 프젝이니까… 그런 화학적 문제는 널널하게 가셔도 됩니당.
어느 지면에 노출을 하는가?
메타의 경우 주로 여성유저가 사용하는 인스타그램에 집중노출 하는 장점이 있음
스토리나 피드 등 넓은 지역에 노출해 브랜딩, 전환 가능
구글의 경우 네트워크 지면도 활용 가능하며 유튜브 피드 화면도 활용 가능해 단가도 저렴하고 브로드한 타겟도 가능함
구글 디멘드젠은 타겟팅을 해볼 수 있는 영역이 다양함 키워드, 웹사이트 등(자유도)
분석적인 측면에서도….걱정이 많습니다. 길래튜터님…..
헉 그렇군요 저는 구체적이지 않은 것 같아서 걱정이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능성 성분을 담은 세럼!
사실 세포라 데이터를 봤을 때, 트리트먼트가 제일 비중이 많았고, 그 중에서 페이스 세럼이 제일 많았습니다.
말은 만들겠습니다!
→ 리뷰수가 인지도와 비례한다는 말은… 좀 핀트가 안 맞는다. 추가적인 검색량 데이터 보충 필요!
→ 미국 인지도 대비 한국에서 검색량이 적다던가 .. 등 근거 보완!
→ 태생은 미국이지만,,,, 한국인으로 귀화했습니다.
→ 신제품 기획을 하려는 이유! 문제인식 과정 넣기. 근거 보충!!
기기는 한번 사면 추가 수익 기대가 힘드니까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해야한다??
피티 발표처럼.
문제 정의 → 광고 기획
흐름을 명확하게 표현!!
왜 광고를 진행해야 하는지?
이유가 부족하다. 채우기!!
설득력 넣기
현재 개연성이 부족함. → 누가 들어도 잘 이해할 수있도록 → 이 캠페인을 왜?? 해??
10월에는 이제 환절기니까. 광고를 진ㄴ행 할때. 수분감을 강조.
여름이 지나고 탄 피부, 잡티 개선을 위한 브라이트닝 성분 강조
광고주 한테 우리가 광고를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PPT 발표라고 하면 왜 우리가 이 부분에서 문제라고 생각해서 어떻게 광고 마케팅 전략을 짯다. 라고 분명히 포인트가 있을 것
왜 문제라고 생각했는지. 설명해주는 부분이 필요하다.→ 근거가 필요하다. ( 뉴스& 리포트 확인해 보기) 데이터 적인 부분 트렌드 데이터를 확인 해 봐라.
이 부분이 튜터님이 말씀해 주신 부분.. 적은거에엵.. 알아서 써주세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