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Duplicate
🎮

최유영

0. 스팀(Steam)

1. 고객 세그먼트 및 특징

세그먼트
R(최근 접속일)
F(90일 결)
M(90일 동안 평균 객단가)
관찰되는 특징
마스터 (VIP)
0~7
4↑
10만원↑
브랜드 충성도↑, 커뮤니티 내 영향력, 수집 성향, 복귀율이 매우 높음.
플래티넘 (잠재 충성)
0~7
4↑
15,000원~30,000원
‘할인게임’ 컬렉션, 위시리스트 활용도 높음, 친구들과 함께 구매, 가격 민감도
골드 (고액 신규)
0~7
2~3
50,000원↑
주문장르 편향, 친구와 동시 구매
실버 (이탈 위험)
31~60↑
2~3
50,000원↓
대규모 할인 시즌 구매 집중, 위시리스트 유지
브론즈 (저가∙비활성)
8~30
1~2
20,000원↓
최후의 제안, 새로운 가치 제

2. 타겟 세그먼트 캠페인 기획

세그먼트 #1: [마스터(VIP)]
전략: 수집 욕구를 자극하여 플랫폼 내 활동을 극대화하며 “명예”와 “희소성”을 부여함으로 플랫폼에 대한 충성도를 강화한다. 스팀을 단순하게 게임 플랫폼을 넘어 자신만의 특별한 컬렉션을 만드는 공간으로 되게 한다.
KPI: 최근 접속일 평균 7일 + 10만원↑
채널: (이유: ) - 스팀 알람(푸시): 특정 수집 목표를 달성했을 때 즉각적으로 축하 메시지와 보상을 알린다.
- 스팀 포인트 상점: 스팀 포인트를 활용한 독접 아이템을 판매하여 수집 욕구를 자극함.
- 이메일/개인 메시지: 새로운 수집 아이템 출시 시 소식을 알린다.
메시지:
- “OOO님! 마스터 등급 여정에 어울리는 ‘한정판 이모티콘’이 공개되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러 가세요!”
- “OOO님, 특별한 프로필을 원하시나요? 스팀 프로필 상점에 새로운 마스터 등급 전용 아이템이 출시되었습니다. 님의 특별한 컬렉션을 완성하세요!”
세그먼트 #2: [플래티넘]
전략: 이미 구입한 게임을 분석하고 숨겨진 취향을 발견해 새로운 게임을 추천해주는 전략.
KPI: 최근 접속일 평균 7일 + 객단가 30,000원↓
채널: (이유: )
- 스팀 내 개인화 추천: 고객이 최근에 플레이한 게임을 기반으로 추천해준다. 플랫폼 내에서 즉각적인 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채널.
- 이메일/개인 메시지(푸시 알림): “OOO님이 재밌게 플레이하신 ‘A 게임’의 후속작이 나왔습니다.”와 같은 개인화된 메시지를 보낸다. 고객의 기존 경험과 연결되어 강력한 구매 동기를 제공한다.
- 스팀 커뮤니티/포럼: 구매한 게임의 커뮤니티 활동을 유도해 게임 몰입도를 높이고 관련 게임 구매를 촉진한다.
메시지:
- “플래티넘 OOO님, 가장 좋아하는 ‘FPS’ 장르의 새로운 쟁탈전이 시작됩니다. 지금 바로 도전해보세요!”
- “OOO님께서 ‘A 게임’에서 수많은 모험을 즐기셨군요! 님의 뛰어난 실력을 새로운 세계에 펼쳐보세요. 좋아하실 만한 게임들을 특별히 선별했습니다.”
- “OOO님! ‘A 게임’의 엔딩을 보셨군요! 여정에 이어질 새로운 스토리가 곧 시작됩니다. 사전 구매하시면, 이전 게임의 유산이 담긴 ‘한정판 아이템’을 보상으로 드립니다!”
세그먼트 #3: [실버]
전략: ‘잠재적 휴면 고객’으로 분류하고 재방문 및 재구매를 유도하는 전략.
KPI: 최근 접속일 31일↑
채널: (이유: )
- 이메일/개인 메시지: 접속하지 않을 때, ‘휴면 고객’에게 개인화된 메시지를 보낸다.
- 스팀 내 알림(푸시/배너): 우연찮게 접속했을 때 바로 눈에 띄도록 로그인 시 팝업이나 알림으로 알린다.
메시지:
- ”OOO님, 가장 좋아하는 장르의 전문가이신 님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곧 출시될 신작의 ‘독점 데모’를 누구보다 먼저 즐겨보세요!”
- “OOO님, 위시리스트에 담아둔 게임의 역대급 할인이 시작되었습니다. 님의 위시리스트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3. 디자인 (세그먼트 #3[실버])

[디자인 삽입]

최유영 (튜터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