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임재열(Data_10기)

MBTI
ISFJ
관심사
게임
IT
데이터 분석은 왜 배우나
하고 싶은 말
열심히 공부해서 취업하고 싶습니다.
사람
특기
협업 MBTI

메인 이미지

나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데이터 분석 10기에 들어온 임재열입니다!

지원동기

직업에 대해 방황하는 중에 데이터 분석가라는 광고를 보고 IT에 관심도 있다 보니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TMI(무엇이든 좋아요!)

핸드폰,컴퓨터부품,컴퓨터 주변기기에 관심이 많습니다. 게임, 고양이 좋아합니다. 게임은 보는건 많고 플레이하는 건 롤,모바일게임 밖에 안해요 ㅎㅎ

협업·의사소통 성향 체크리스트

괄호 속 알파벳과 영어 설명은 협업 MBTI 코드로 활용됩니다.
1. 말하기 스타일
E (Expressive) : 말하는 걸 좋아하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한다.
I (Introvert/Listener) : 조용히 있는 편이지만 필요할 땐 의견을 낸다.
2. 소통 방식
F (Free Talking) : 바로바로 대화/채팅으로 소통하는 게 편하다.
D (Documented) : 정리된 문서/메시지로 소통하는 게 편하다.
3. 갈등 상황에서의 태도
A (Assertive) : 내 생각을 분명히 말하고 조율하려 한다.
L (Listener) : 먼저 듣고 양보하는 편이다.
4. 협업 시 선호하는 역할
아이디어 내고 방향을 잡는 걸 선호한다.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걸 선호한다.
5. 협업 속도 선호
Q (Quick) : 속도감 있게 진행하는 게 맞다.
C (Careful) : 차근차근 확인하며 진행하는 게 맞다.
6. 피드백 선호 방식
S (Straight) : 바로 솔직하게 이야기해주는 게 좋다.
K (Kind) : 부드럽게 돌려 말해주는 게 좋다.
7. 업무 진행 체크 선호
세세하게 나누어 작은 단위로 확인하는 게 좋다.
큰 틀만 정해두고 자유롭게 맡는 게 좋다.
8. 팀 내 소통 빈도 선호
자주 짧게 소통하는 게 좋다.
필요할 때만 소통하는 게 좋다.

서술형 질문

9. 협업 시 내가 가장 스트레스 받는 순간은?
(예: 소통이 늦어지거나 역할이 불분명할 때 힘들다) → 나에게 주어진 일이 명확하지 않거나, 내게 너무 큰 범위일 때. (책임질 일이 많으면 잘 해야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힘들어하는 편)
10. 협업 시 나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예: 정리나 일정 관리에 강점이 있어요 / 데이터 시각화에 자신 있어요 등)
→ 문서 정리, 자료 찾기
11. 나를 한 줄로 표현한다면?
(예: “빠르게 움직이되, 중간중간 확인받는 걸 좋아하는 스타일입니다!”)
→ 차분하고 조용하게 집중하는 스타일.
12. 나의 협업 MBTI는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나요?
IDLCS, 꼼꼼 조율자형,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고 팀의 균형을 맞추는 꼼꼼한 조율자
체크 후, 본인의 알파벳을 모아 협업 MBTI 코드를 만들고 아래에 적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