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데이터분석 10기 김경원입니다.
저는 도시공학과 졸업 후 대학원에서 도시계획을 전공한 이후 학술연구 및 엔지니어링에 근무하였습니다.
조금 더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데이터분석 직무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코딩이나 프로그램 쪽은 많이 서툽니다.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지원동기
도시공학 전공으로 데이터분석 관련 스킬을 더 배우고 싶어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TMI(무엇이든 좋아요!)
볼링, 복싱 좋아합니다.
볼링은 취미로 예전에 3년 가량 쳤으며, 최고 점수는 288점입니다
당시 에버리지는 180정도였고 현재는 잘쳐도 100 나올까 싶습니다.
집돌이입니다.
협업·의사소통 성향 체크리스트
1. 말하기 스타일
E (Expressive) : 말하는 걸 좋아하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한다.
I (Introvert/Listener) : 조용히 있는 편이지만 필요할 땐 의견을 낸다.
2. 소통 방식
F (Free Talking) : 바로바로 대화/채팅으로 소통하는 게 편하다.
D (Documented) : 정리된 문서/메시지로 소통하는 게 편하다.
3. 갈등 상황에서의 태도
A (Assertive) : 내 생각을 분명히 말하고 조율하려 한다.
L (Listener) : 먼저 듣고 양보하는 편이다.
4. 협업 시 선호하는 역할
아이디어 내고 방향을 잡는 걸 선호한다.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걸 선호한다.
5. 협업 속도 선호
Q (Quick) : 속도감 있게 진행하는 게 맞다.
C (Careful) : 차근차근 확인하며 진행하는 게 맞다.
6. 피드백 선호 방식
S (Straight) : 바로 솔직하게 이야기해주는 게 좋다.
K (Kind) : 부드럽게 돌려 말해주는 게 좋다.
7. 업무 진행 체크 선호
세세하게 나누어 작은 단위로 확인하는 게 좋다.
큰 틀만 정해두고 자유롭게 맡는 게 좋다.
8. 팀 내 소통 빈도 선호
자주 짧게 소통하는 게 좋다.
필요할 때만 소통하는 게 좋다.
서술형 질문
9. 협업 시 내가 가장 스트레스 받는 순간은?
(예: 소통이 늦어지거나 역할이 불분명할 때 힘들다)
→ 나에게 주어진 일이 명확하지 않을때
10. 협업 시 나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예: 정리나 일정 관리에 강점이 있어요 / 데이터 시각화에 자신 있어요 등)
→ 문서 정리, 자료 찾기
11. 나를 한 줄로 표현한다면?
(예: “빠르게 움직이되, 중간중간 확인받는 걸 좋아하는 스타일입니다!”)
→ 틀만 잡히면 추진력있게 나가는 스타일차분하고 조용하게 집중하는 스타일.
12. 나의 협업 MBTI는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나요?
IFA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