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목적이랬죠?
개인정보 파트는 지원자에 대한 기본 정보 파악과 함께 연락 가능한 수단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름, 연락처, 메일과 같은 컨텍 포인트와 자기소개, 그리고 추가로 어필 자료들을 이력서 상단에 배치해요.
항목 | 항목을 요구하는 이유 |
이름 / 연락처 / 메일 | 합격 후 면접 일정이나 채용 안내를 전달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정보예요.
채용 플랫폼을 활용할 경우, 플랫폼에 등록된 연락처와 메일로 연락합니다. |
자기소개 / 한 줄 요약 |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요약된 정보를 제시하는 공간이에요.
짧은 한 문장으로도 ‘이 지원자, 궁금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요. |
기타 링크
(포폴, 깃허브 등) | 이력서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나의 성과를 실제로 보여줄 수 있는 추가 자료입니다.
특히 디자인, 개발 등 시각적 결과가 있는 직무는 이 항목이 실력을 증명하는 역할을 해요. |
[1] 이름 / 연락처 / 메일 / 사진
•
가급적 틀릴 일 없는 기본적인 지원자의 정보입니다.
◦
연락처 - 취업준비 기간 중, 번호 등을 바꾸게 된다면 채용 플랫폼 내의 개인 정보를 업데이트 해 주세요.
◦
메일 - 메일로 채용 절차를 안내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자주 확인하는 메일을 대표 메일로 설정하고, 알림을 설정해 두거나 매일 특정 시간에 확인하는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
증명사진은 꼭 넣어야 하나요? 아무 사진이나 써도 되나요?
◦
(특별히 요구하는 기업 이외에는) 사진이 필수 항목은 아닙니다.
◦
다만, 사진의 첫 인상을 통해 지원자에게 좋은 인상을 얻을 수 있으니 깔끔한 증명 사진이나 잘 나온 사진 등이 있다면 활용해 주세요.
◦
잘 나온 사진이요
?
▪
AI 이미지 X, (스타트업의 경우) 나의 긍정적 / 좋은 면모를 보여 줄 수 있다면 일반적인 사진도 OK
▪
일반 사진의 경우, 배경이 깔끔하고 지원자의 얼굴을 가리지 않아야 함 (모자, 선글라스, 마스크 X)
[2] 자기소개 / 한 줄 요약
•
이 항목은 필수가 아닌 선택 항목이지만, 잘 작성하면 지원자에 대한 첫인상을 빠르게 요약할 수 있어요.
◦
채용 담당자가 “이 사람, 꽤 궁금하네”는 느낌을 갖게 만드는 역할을 해요
◦
자기소개는 길게 쓰기보다는, 다섯 줄 내외로 요점만 담는 것이 좋아요.
가장 일반적인 구성은 나의 대표 강점 키워드 + 이에 대한 근거 사례 입니다.
•
일부 이력서 양식에서는 자기소개 전체가 아니라 이름 옆에 간단한 ‘한 줄 요약’ 형태를 요구하기도 해요.
•
너무 과장되거나 추상적인 표현은 피하고, 30~40자 정도의 간결한 문장으로 작성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구성은 지원 직무와 연결된 언어로 표현하는 것 입니다.
[3] 기타 링크 (포폴, 깃허브 등)
•
디자인 계열 : Figma 등의 디자인 툴 포트폴리오, Behance, 브런치, PDF (구글 드라이브) 등
•
개발자/데이터 계열 : GitHub, GitLab, 기술 블로그, Tablue 대시보드, 포트폴리오 (노션, 슬라이드) 등
•
콘텐츠/마케팅 계열 : 소셜 계정, 작업물 캡처 정리본, 영상 링크, 포트폴리오 (노션, 슬라이드) 등
•
권한이 없는 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지 제출 전 확인해야 합니다.
◦
Notion, Google Drive, Figma 등은 공유 권한을 설정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아요.
◦
링크가 열리지 않아 확인이 불가능합니다는 서류 탈락의 흔한 사유입니다. (** 알려주지 않아요!)
•
반드시 클릭 가능한 형태로 넣어주세요. (링크 직접 추가 또는 하이퍼링크)
링크 직접 추가하기 | ||
하이퍼링크 활용하기 | ||
비활성화된 링크 | github.com/user, github.com/user | |
URL이 너무 긴 링크 |
[4] 경력 사항
•
지원자가 해당 직무에 필요한 역량 혹은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경험입니다.
•
직무 적합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항목이기 때문에, 관련이 있다면 꼭 적어주세요.
•
직접적 경험: 예를 들어 개발자로 지원하고, 실제 개발 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있다면
→ 해당 프로젝트 또는 회사에서 맡은 역할과 기여도, 문제 해결, 결과 중심으로 정리해 주세요.
•
간접적 경험: 예를 들어 UXUI 디자이너를 희망하지만 이전에 SNS 콘텐츠 디자인 업무를 했던 경우
→ 담당한 역할과 결과가 디자인 직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요약해 주세요.
•
선택 사항 1 : 사회 경험을 어필하고 싶다면 기본 정보와 역할 정도만 짧게
→ 기본 정보(근무 기간, 회사명) + 담당 역할과 간단한 성과를 짧게 정리해 주세요.
•
선택 사항 2 : 이력서 전체의 간결함을 우선시하고 싶다면, 비관련/짧은 경력은 생략 가능
→ 비관련 직무의 긴 경력이라면, 공백기가 있지 않았음을 알리기 위해 [선택 사항 1]로 !
참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직무 명칭이 아닐 때
Copyright 2025. ⓒ TeamSparta All rights reserved.